View : 5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은미-
dc.creator강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20-
dc.description.abstract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a place stress on inquiry and aim at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s by making an inquiry. To attain the object a constructivist approach is adopt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whether teacher's guides were exactly in line with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a.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a constructivist approach was made in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a: 'a conceptual change process through inquiry learning.' And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set up analysis criteria. The 7th science teacher's guides were analyzed in each lesson by the selected analysis criteria to explore if the guides conformed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a.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Are the 7th science teacher's guides designed to bring a conceptual change in each sess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vist approach principles? 2. Do the 7th science teacher's guides designed to offer inquiry learning in each sess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vist approach principl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nalysis criteria about conceptual change and inquiry learning were prepared. In terms of conceptual change, Driver's model presented in an introduction to teacher's guides was employed, and as for inquiry learning, inquiry process that was the basis of inquiry was selected as an analysis criterion. The energy segment of the elementary fourth-grade science teacher's guides was analyzed by the selected criteri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guides dealt with conceptual change process at an ordinary level, but scarcely paid regard to the preconception of students, though that was the foundation of constructivist approach, and scientific concepts weren't covered in full. Indeed,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quiry learning was provided in most of the relevant sessions in compliance with the curricula, and that was consequently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s in large part. However, there was still room for improvement, since contents for practicing inquiries systematically was not presented at all. In addition, reference materials for guiding students on a scientific, interesting and easy inquiries were not presented. To redress the problems, the teacher's guides should provide major scientific concepts in a systematic manner, and give a full explanation about principles and theories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And plenty of alternative concepts that are linked to major scientific concepts should be provided. As to inquiry learning, the curricula should provide contents for practicing inquiry process systematically in a way to be appropriate at each grader's developmental stage, and include more expository and differentiated materials for teachers to guide student‘s inquiry process.;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그 구성 방향에서 탐구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탐구를 통해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주의적 접근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러한 구성 방향이 지도서의 차시별 내용에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이 의도하고 있는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을 ‘탐구 학습을 통한 개념 변화의 과정’으로 조작적 정의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준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준거를 통해 제7차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별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이라는 교육과정의 의도가 실제적인 교육과정 문서에 효과적으로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과학 교사용 지도서 차시별 내용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인 개념변화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제7차 과학 교사용 지도서 차시별 내용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인 탐구 학습 내용을 포함하는가·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에 언급된 개념변화와 탐구학습에 대한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다. 개념변화의 경우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제시된 Driver의 모형을 이용했으며 탐구학습의 경우 탐구의 기본이 되는 탐구과정을 분석의 준거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준거를 통해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에너지 영역의 차시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념 변화의 과정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별 내용에 보통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구성주의 학습의 출발점인 학생들의 사전 개념(conception)이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최종 목표인 과학 개념(concept)의 내용이 빈약하다는 점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탐구 학습의 내용은 교육과정에서 이를 명시한 차시에 그 내용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어 교사용 지도서에 상당한 정도 반영되어 있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탐구를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는 내용이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것과 어려운 탐구 과정을 과학적이면서 쉽고 재미있게 안내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용 지도서에서 단원의 주요한 과학 개념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교사가 해당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 바탕이 되는 원리나 이론을 심도 있게 해설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원의 주요한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대안적 개념도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탐구 학습의 측면에서는 학년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탐구 과정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내용을 교육과정에 추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탐구 과정을 과학적이면서도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는 발문, 예시, 활동 등을 포함한 해설 자료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 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 6 1.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 6 2.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 7 3.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과 기능 = 9 B. 과학과 구성주의 교수 · 학습 = 10 1. 과학과 구성주의 = 10 2. 과학 개념학습 = 13 3. 과학 탐구학습 = 20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 설계 = 24 B. 연구 대상 = 25 C. 연구 절차 = 27 D. 분석 방법 = 3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9 A. 개념 = 39 1. 학습 목표 = 39 2. 학습활동 및 내용 = 41 B. 탐구 = 61 1. 학습활동 및 내용 = 61 Ⅴ. 결론 및 제언 = 72 A. 결론 및 논의 = 72 B. 제언 및 한계점 = 77 참고문헌 = 79 부록 = 82 【부록-1】교사용 지도서 분석: 코드 개발 = 82 【부록-2】 교사용 지도서 분석 = 86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81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구성주의적 교수·학습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4학년 에너지 영역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s from a Constructivist Approach : the case of the fourth-grade energy segment of the 7th national elementary curricula-
dc.creator.othernameKang, Eun Mi-
dc.format.pagex,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