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현신-
dc.creator전현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34-
dc.description.abstractA classical essay has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education in a way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with which learners could expand and deepen their outlook on the world and life, and sense of values by conveying their ancestors' views of the world and life in various ways. A classical essay written in Korean has enriche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ecause in contrast to the classical essay written in Chinese, it was mostly written by women who were underprivileged at that time, it shows delicate emotions of people in those days, and it effectively vitalizes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However, classical essays have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literature learning and teaching in comparison to the study of poetry and novel learning and teaching. With the exception of classical essays of Lee Kyubo and Park Jiwon written in Chinese, many classical essays written in Korean, such as Dongmyeong-ilki, Jochim-mun, Kyujungchiu-Jaengronki, Hanjung-nok, Kyechuk-ilki, have neither been given careful educational consideration nor been the subject of study of techniques and principles in learning and teaching.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present techniques and principles in a classical essay learning and teaching with an example of "Dongmyeong-ilki"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lassical essay written in Korean. "Dongmyeong-ilki", writte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s a traveler's journal which is included in an essay collection called "Euiyudang-ilki". This work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because it is the only record of an excursion written by a woman among the other classical prose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male authors since May 1948 when Lee Byungi published this work. It has received literary recognition due to its distinguished description and original metaphorical expression showing the author's command of Korean. It has been in a school textbook since classical essays were first included i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Now it is in the 10th grade textbook and literature textbook which is an elective subject for further learning along with the short travel sketch, Buksan-nu. However,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has not been conveyed to the students because of the orthographic mistakes in textbooks and the lack of study about the work.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examine an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 and the problems in "Dongmyeong-ilgi" learning and teaching, and look into an appropriate way of learning and teaching classical essays written in Korean.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this article is going to present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techniques of "Dongmyeong-ilgi". They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other classical essays written in Korean, such as Kyujungchiu-Jaengronki, Jochim-mun , and Kyechuk-ilki, because the techniques are devised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본 연구는 국문수필의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대표적인 교과서 수록 국문수필인 「동명일기(東溟日記)」의 교육적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국문수필은 고전 수필이 교과서에 수록되기 시작한 광복기 이후부터 꾸준히 교과서에 수록되며 한문수필보다도 먼저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그동안의 문학 교육 연구에서는 국문수필에 대한 교육적 검토에 대해 소홀히 대해온 측면이 있다. 이는 고전수필에 대한 연구 부족과 맞물려 있으며 이는 동시에 국문수필의 다양한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에 대한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문수필의 교육학적 연구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 국문수필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효율적인 국문수필의 교수-학습 방안으로 작품의 장르적 이해를 고려한 교수-학습, 작품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텍스트 상호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구체적 대상인 「동명일기(東溟日記)」의 전문(全文)을 교육적 시각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와 함께 Ⅱ장에서 밝힌 국문수필의 교수-학습 방향에 따른 작품의 교육적 의의로 밝혀 놓았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작품의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수필 수업 모형을 기초로 하여 국문수필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배경지식 활성화 및 장르 이해 단계, 작품의 개별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텍스트 분석 단계, 사대부 문학과의 비교 학습을 통한 텍스트 심화단계, 관련 고전 여성문학과의 연계를 통한 텍스트 확장 단계, 텍스트 내면화 및 정리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실제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 학습지를 각 단계별로 함께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결론과 함께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는 그동안 문학 교육 연구에서 소외되어 온 국문수필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과 대표적 국문수필인 「동명일기(東溟日記)」에 대한 교육적 분석의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Ⅱ장에서 제시한 국문수필의 교수-학습 방향을 개별 국문수필 작품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2008년 개정에 맞추어 화법, 작문, 독서 및 문법과 연계된 국문수필의 다양한 교육적 활용 및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도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사 검토 = 2 C. 연구 방향 = 6 Ⅱ. 국문수필교육의 현황 및 교수-학습 방향 = 7 A. 국문수필교육의 이론적 배경 = 7 1. 국문수필의 개념 및 특성 = 7 2. 국문수필의 교과서 수록양상 = 11 B. 기존의 수필수업 모형 = 15 C. 기존수필의 교수-학습 방향 = 21 1. 작품의 장르적 이해를 고려한 교수-학습 = 21 2. 작품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 23 3. 텍스트 상호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 25 Ⅲ. 동명일기의 성격과 교육적 의의 = 26 A. 작품의 작자 및 배경 문제 = 26 1. 작품의 작자 및 시대 배경 = 26 2. 의유당일기(意幽堂日記)의 작품 성격 = 30 B. 동명일기의 내용 분석 = 36 C. 동명일기의 교육적 의의 = 48 1. 국문수필로서의 가치 = 48 2. 여성기행문학으로서의 가치 = 51 3.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작품의 가치 = 54 Ⅳ. 동명일기의 교수·학습 방안 = 61 A. 동명일기의 교과서 수록 양상 = 61 1. 본문 및 학습활동 분석 = 63 2. 교수-학습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66 B. 「동명일기」교수-학습의 실제 = 68 1. 배경지식 활성화 및 장르 이해 단계 = 71 2. 작품의 개별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텍스트 분석 단계 = 72 3. 사대부 문학과의 비교학습을 통한 텍스트 심화단계 = 75 4. 관련 고전여성문학과의 연계를 통한 텍스트 확장 단계 = 76 5. 텍스트 내면화 및 정리 단계 = 78 C. 동명일기 교수-학습 지도안 = 79 Ⅴ. 결론 = 84 참고문헌 = 87 부록 = 89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77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국문수필 동명일기(東溟日記)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Korean Essay "Dongmyeong-ilgi" Learning and Teaching : A Study of Korean Classical Essay Learning and Teaching, and a Significant Contribution of "Dongmyeong-ilgi" to Korean Classical Essa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Jeon, Hyun shin-
dc.format.pageiv,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