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유선-
dc.creator김유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reading of poetry as narrative help the improving on creative literary ability. First of all, this method specifically observed ‘the learning goal of poetry in the textbook’ and ‘tendency or problems of learning activities’ and ‘the learner′s poetic experience in the daily life and school’, through the interview of students. Analyzing of textbook and learners are based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eventy on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the 3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s need the strategy of poetry interpretation and ability to structure the subjective meaning of poetry in the textbook activities and especially in the learner′s aspects. Also this research shows that learners should be provided the chance to appreciate literature in a creative way.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Narrative’ in the way of implying universality and experience as a principle of organizing stories from the accidents which are given meaning in the time and a principle of making stories in the internalized human life. Based on definition of narrative, this method suggests ‘The reading of poetry as narrative’ in a perceptional way of accepting internalized story as a strategy of poetry interpretation, especially when we face the literary text.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expects that creative literary ability as ‘Meta cognitive ability of finding a way of internalizing one′s interpretation of literature with an interest of the literature itself’ can be improved. There are four stage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in the reading of poetry as narrative to improve the creative literary ability. The stages are Creative broadening -> Narrative structuralization -> Expressing of understanding -> Internalization. Each stage includes sub-stages and various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The Creative broadening has sub-stages such as activation of background intelligence, association of ideas and expressing the feeling in the specific sentences. In the learning activity to activate the background intelligence, there is a guessing the contents through the title. The learning activity of association of ideas suggests the association used mind map and association used meaning relationship of poetic diction. In the activity of expressing the feeling in the specific sentences, there are an expressing feeling (emotion) which is acquired from poetry, expressing narrator (tone) of poetry and expressing the intention (subject) of poetry in a sentence. In the sub-stage of Narrative structuralization, there are finding narrative clue with filling the blanks and setting up the narrator self and structuring story. The activity of finding narrative clue with filling the blanks suggests character, background and searching an element of an accident. Setting up the narrator self includes establishing activity of speaker. Structuring story includes deciding the accident which the speaker wants to emphasize and activity of setting up story′s order. Expressing of understanding is the stage of restating, and this stage is constructed with making outline and story board, and writing a finished article and representing it. Internalization stage is one to internalize the reading of poetry as narrative and to inspire the creative literary ability. This stage is consisted with discussion and teacher′s arranging up process.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the class was proceeded with narrative reading of the poetry "Flower", written by Kim Chun-su. The class was consisted of three periods and objects are fift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third grade in the middle school. First period was the Creative broadening, and it was about the guessing the contents after seeing the title and association through poetic diction. Second period was the stage of Narrative structuralization, so this stage was about finding a narrative clue with filling the blanks and setting up the narrator self. Third period was the stage of Expressing of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this stage was activated with making the story board, writing the finished article, discussing and internalization. All these three processes were activated in the class and after finishing the class teacher carried out question and answer examination. In the consequences, the narrative reading of poetry enhances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class and inspires the learners′ interests of poetry. Also, this method is proved that this is a good way to improve the creative literary ability. According to the study, the reading of poetry as narrative is a strategy for the learner to bring the poetry into the life with reading the poetry as a story and is a strategy to improve creative literary ability. Also, students can be raised as “desirable human beings wh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and culture, and actualize the selves through the acceptance of literature and creative activities.” This is the pursuit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n.;본 연구의 목적은 시의 서사적 읽기가 학습자의 창의적 문학 능력 신장에 기여하는 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교과서에 실린 시 작품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의 경향성과 문제점 및 학습자의 일상에서와 학교에서의 시 경험에 대해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교과서 분석 및 학습자 분석은 중학교 교육과정과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은 71명의 서울시내 중학생에게, 면담은 3명의 서울시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교과서 활동 및 학습자 측면에서 시 해석의 전략과 학습자의 주체적 의미 구성 능력이 필요하고, 학습자가 창의적으로 문학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간 안에서 의미를 부여받은 사건들로 이야기를 조직하는 원리’이며 ‘인간의 삶 전반에 내재되어 있는 이야기 구성의 원리’로 보편성과 경험을 의미화하는 방법으로 서사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문학 텍스트를 대할 때 학습자가 내부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받아들이는 인식의 차원인 서사적 시 읽기를 시 해석의 전략으로 제안한다. 이를 통해 ‘문학 작품에 흥미를 가지고 이를 해석하여 내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하는 고차원적 인지 능력’인 창의적 문학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창의적 문학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서사적 시 읽기의 교수-학습 활동은 창의적 확장 -> 서사적 구조화 -> 이해의 표현 -> 내면화의 단계를 거치게 되며 각 단계는 하위단계와 다양한 구체적 학습활동을 포함하게 된다. 창의적 확장은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연상하기, 구체적 문장으로 느낌 표현하기의 하위 단계를 가진다.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학습활동은 제목을 통해 내용 유추하기가 있고, 연상하기의 학습활동은 마인드맵을 활용한 연상과 시어의 의미 관계를 활용한 연상을 제시한다. 구체적 문장으로 느낌 표현하기의 활동은 한 문장으로 시에서 얻은 느낌(정서) 표현하기, 시의 화자(어조) 문장으로 표현하기, 시의 의도(주제) 문장으로 표현하기가 있다. 서사적 구조화의 하위 단계는 빈 부분 채우면서 서사적 단초 찾기, 서술자아 설정하기, 이야기 구성하기가 있는데 빈 부분 채우면서 서사적 단초 찾기의 활동은 인물, 배경, 사건 요소 탐색하기가 제시되었고, 서술자아 설정하기는 말하는 이 설정하는 활동, 이야기 구성하기는 강조할 사건 정하기와 이야기 순서 정하기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이해의 표현은 서사적 재진술하기의 단계로 개요표, 스토리 보드 만들기, 완결된 글 쓰고 발표하기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내면화하기 단계는 시의 서사적 읽기에 대한 내면화 및 창의적 문학 능력을 고취하기 위한 단계로 토론과 교사의 전체 정리 과정으로 구성된다. 교수-학습 활동을 바탕으로 김춘수의 <꽃>을 서사적으로 읽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총 3차시로 구성되었다. 1차시는 창의적 확장의 단계로 제목 보고 내용 유추하기와 시어를 통한 연상하기, 2차시는 서사적 구조화의 단계로 빈 부분 채우며 서사적 단초 찾기와 서술 자아 설정하기, 3차시는 이해의 표현 및 내면화하기 단계로 스토리 보드 만들기, 완결된 글로 쓰기, 토론하기 및 내면화하기를 활동을 하였으며 수업 후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서사적 시 읽기는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시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며, 창의적인 문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임이 증명되었다. 이처럼 서사적 시 읽기는 학습자로 하여금 시를 이야기로 읽어내어 삶으로 가져오는 방법이면서 학습자의 창의적 문학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전략이다. 또한 이를 통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문학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하여 문학 능력을 길러, 자아를 실현하고 문학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바람직한 인간”을 길러낼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선행연구 = 3 C. 연구 방법 = 7 Ⅱ. 시 교육의 현황과 서사적 읽기의 가능성 = 10 A. 교과서차원의 시 교육 현황과 문제점 = 10 B. 학습자차원의 시 교육 현황과 문제점 = 20 C. 서사적 시 읽기 교육의 가능성 = 38 Ⅲ. 서사적 시 읽기를 통한 창의적 문학 능력 신장 = 42 A. 서사적 시 읽기의 개념과 의의 = 42 B. 서사적 시 읽기의 방법 = 48 C. 서사적 시 읽기와 창의적 문학 능력 = 57 Ⅳ. 창의적 문학 능력 신장을 위한 서사적 시 읽기 교수-학습 설계 = 61 A. 서사적 시 읽기의 과정과 교수-학습 활동 = 61 B. 창의적 문학 능력 신장을 위한 서사적 읽기 교수-학습 지도안 = 75 Ⅴ. 실제 적용 및 분석 = 92 A. 서사적 시 읽기를 통한 창의적 문학 능력 신장 활동 = 92 B. 수업 결과 분석 = 106 Ⅵ. 결론 = 112 참고문헌 = 117 부록 = 122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938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서사적 시 읽기를 통한 창의적 문학 능력 신장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Methods of Improving on Creative Literary Ability through the Reading of Poetry as Narrative : Targets are middle school learners-
dc.creator.othernameKim, Yu sun-
dc.format.pageviii,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