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중등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중등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econdary school teacher self-assessment of teaching profession : As compared with the self-assessment of other profession
Authors
김경애.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중등교사교직전문성전문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연구의 목적 교육의 발전 없이는 국가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교육의 안정과 발전은 교육을 직접 담당하는 교원에게 달려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교원의 사기와 의욕은 침체되어 교직의 위기 상황은 날로 그 심각성을 더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직을 전문직의 기준에 비추어 타전문직과 비교함으로써 오늘의 교직현황을 분석하고 교사의 사기와 자부심을 고취하고 교직 전문성 확립에 접근하려는데 그 목적을 둔다. B.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질문지법을 통한 조사연구에 의해 수행되었다. 질문지는 교사들의 직업의식을 타전문직과 비교 연구하기 위한 타전문직용 질문지Ⅰ과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의 정도를 파악 분석하기 위한 교사용 질문지Ⅱ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은 타전문직 종사자 117명과 시내 중등교사 164명으로 모두 281명이며 자료처리는 백분율에 의하여 처리했으며 문항 검증은 5%수준에서 유의도 검증(x^(2) 검증)을 하였다. C. 연구 내용 1. 교직의 침체성은 현직 교원의 이직을 증가, 사범대학 졸업자의 교직 기피현상, 교직의 사회 경제적 지위하락 등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2. 전문직의 조건에는 일치된 견해가 없다. 이에 여러 학자의 견해를 종합 정리하여 다섯가지 평가 기준을 세웠다. 가. 전문적 지식과 기술 나. 자율성 다. 사회 봉사성 라. 전문직 단체 마. 사회적 평가 3. 전문직의 다섯가지 평가기준에 의해 이론적으로 교직의 전문성을 분석하였다. D. 연구의 결과 1.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타전문직과 비교하여 교직이 훨씬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들의 교직관도 확고히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교사로서의 인격적 인간적 자질면에서의 직전 교육에 대한 불충분성을 지적하는 율이 높게 나타났다. 현직교육의 필요성은 느끼나 실시되는 것을 원하지 않아( 60.4%) 적극적 자기 발전의 욕구가 침체된 상태이다. 2. 상사나 상부로 부터의 압력으로 교육적 자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학교 교육에 적극적인 참여도가 낮았다. 특히 남자보다는 여자가, 경력이 높은 사람보다 낮은 사람이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3. 사회 봉사에 관한 기능은 타전문직에 비해 교사들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국가 사회발전에 있어서 교직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 98.8%) 그러나 교직에 대한 적극적 소명 의식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사들로 구성되는 자율적 단체인 전문직 단체의 역할에 대해 대다수( 71.3%)가 무지하여 교직 단체의 소극적 역할 수행을 반영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교직단체에 대한 요망 사항은 교권의 옹호와 신분보장면에 높게 나타났다. 5. 교사들은 타전문직 종사자들 보다 자신의 계층을 낮게 평가( 중하)하고 있으며 자신의 직업에 대한 긍지도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에 대한 만족도도 타전문직보다 낮아서 될 수 있으면 그만 두겠다는 비율이 25.6%를 차지하였다. 특히 이러한 교직 기피 현상은 젊은 교사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E. 결론 및 제언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교직이 타전문직에 비해 자기 직업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정도가 매우 낮으며 교사들의 교육철학적인 면에서 교직관은 뚜렷이 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들은 교직이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에는 적극 찬동하고 있으나 현실에 있어서는 교직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으며 사명감은 극히 희박하다. 이같은 모순된 반응을 보이는 것은 교육계 내의 비민주적인 행정에서 오는 자율성의 침해, 전문적 소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막대한 양의 일상 잡무, 특히 낮은 경제적 대우가 그들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바 이것은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장애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교사들 스스로는 전문적 지식과 소양을 갖추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하고 전문직 단체는 교권의 옹호를 위해 능동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국가는 이를 위해 정책적 제도로 뒷받침하는 삼자의 노력이 일치 되어야 할 것이다.;Quality of education cannot be improved without positive profession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Today, teachers in Korea are not enjoy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spirit is much depre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self-assessment of teaching profession as compared with the self-assessment of other professions. This study is approached by bibliographical study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 Ⅰ & Ⅱ developed on the basis of profession criteria. The questionnaire I was sent to 200 man of other professions (55 doctors, 33 judical officers and 29 ministers) and 117 returned. The questionaire Ⅱ was sent to 20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164 returne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was tested at the 0.05 level. Concerning the criteria of profession, there is no consensus of opinions among reseachers in the field. Of the several lists of criteria surveyed in the literatures, the following criteria were the most commonly found :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autonomy; social service ; professional organization; social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self-assessment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was very low as compared with other profession. Their view of teaching profession was not established. 2. Some of the teachers felt undue interference in teaching by their directors and higher officials. 3. More teachers than other profession regard their occupa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jobs related with national social development. However teachers' positive vocational awareness for their occupation was very low (6.7%). 4. Many of the teachers did not know about the role of their professional organiz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cts on negative lines. 5. Teachers evaluated themselves lowly in social status than other profession. Teachers' rate of satisfaction with their occupation was lower than other professio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1. Teachers should be released from daily heavy secretarial works which do not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2. Professional organization should take more effort to raise teacher status. 3. Administrational improvement allowing more autonomy in teaching should be achieved. 4. Nationwide effort should be made to raise teacher's economic stat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