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유치원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행동에 관한 연구
Authors
전진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행동과 실외놀이영역에 따라 교사의 행동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외놀이에서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개입 형태는 어떠한가? 1-1. 개입 동기는 어떠한가? 1-2. 개입 대상은 어떠한가? 2.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행동은 어떠한가? 3. 실외놀이영역에 따라 교사의 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학급크기, 교육프로그램 및 실외놀이 환경이 유사한 유치원 7곳에서 교사 3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각 교사의 실외놀이 활동을 비디오로 녹화하고, 녹화한 것을 보면서 관찰범주에 따라 관찰기록지에 기록하였다. 한 교사당 15초씩 60회를 관찰하여 총 1800회를 관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관찰범주별로 분석한 후에,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개입동기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요청에 의해서 개입하는 경우는 13.7%인 반면에 유아의 요구에 상관없이 교사가 먼저 개입하는 경우는 86.3%로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교사 주도적으로 개입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개입대상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이 2명 이상의 유아를 대상으로 개입하는 경우는 42.8%이었고, 개별 유아를 대상으로 개입하는 경우는 57.2%로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개별적으로 개입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둘째, 실외놀이에서 교사의 행동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관찰(34.8%)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다음으로 놀이참여(15.9%), 정서지원(12.3%)이 가장 많았고 반면에 시설관리(1.4%), 환경조성(0.3%)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교사의 행동을 살펴본 결과 경력이 적은 교사는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 생활지도, 관찰, 시설관리 등의 행동을 더 많이 하였으며 반면에 경력이 많은 교사는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놀이참여, 정서지원, 환경조성 등의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학력에 따른 교사의 행동을 살펴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생활지도, 관찰, 방치 등의 행동을 더 많이 하였으며 반면에 학력이 높을수록 놀이참여, 대화, 환경조성 등의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셋째, 실외놀이영역에 따른 교사의 행동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물·모래 영역에 가장 많이 머물렀다. 그리고 물·모래 영역에서 교사들은 관찰(37.5%)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다음이 놀이참여(18.4%), 정서지원(11.2%), 보호(8.4%)가 가장 많았고 반면에 환경조성(0.7%), 교수(0.5%)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이 두 번째로 많이 머무르는 영역은 대근육 활동 영역이었다. 대근육 활동 영역에서 교사들은 관찰(33.3%)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다음이 놀이참여(15.2%), 정서지원(14.2%), 안전지도(7.1%)의 순이었고 반면에 대화(4.5%), 시설관리(0.4%)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이 세 번째로 많이 머무르는 영역은 개방된 영역으로 교사들은 관찰(36.2%)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다음이 놀이참여(15.9%), 보호(13.4%), 정서지원(12.2%)의 순이었고 반면에 대화(5.0%), 방관(1.8%)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이 가장 자주 머무르지 않는 영역은 자연생태관찰영역과 휴식영역이었다. 교사들은 자연생태관찰영역에서 관찰(47.9%)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수(16.7%), 정서지원(16.7%), 생활지도(12.5%)의 순이었다. 그리고 휴식영역에서 교사들은 갈등해결(71.4%)를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으로 보호(28.6%)의 순이었다.;This study analyzed a teacher's behavior at the outdoor play and a teacher's behavior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ground realm. thereby aiming to seek for some desirable role of a teacher at the outdoor play. According to the study objective above, the researcher set up the study questions below. 1. In outdoor play, what forms of involvement does the teacher have? 1-1. How is the motive of her involvement? 1-2. How is the object of her involvement? 2. At outdoor play, how is the teacher's behavior? 3. How is the teacher's behavior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ground are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30 teachers of seven kindergartens with similar class sizes, similar educational programs, and similar outdoor play surroundings. Study method was to record each teacher's outdoor activities into video, to watch the video tape carefully, and to register each case into observation sheet according to observation category. Each teacher was observed by the researcher for 60 times of 15 seconds a time, and all teachers were observed for a total of 1800 times.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observation categor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yield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s motive of involvement in outdoor playground, in 86.3% it was teachers that first tended to intervene into matters voluntarily, not involvement by young children's request. As a result of checking teacher's collective forms of involvement in outdoor playground, 57.2% tended to interact with young children on a personal level. Second, as a result of seeing into teacher's behavior in outdoor play, the teachers had observation(34.8%) the most, and the second most were play involvement(15.9%), emotional support(12.3%), while facility management(1.4%), environmental provision(0.3%) were almost not seen. The shorter career one had, the more acts she had of rule guidance, observation, facility management etc., while the longer career one had, the more acts she tended to have of play involvement, emotional support, facility guidance, etc. And the lower education one had, the more acts she had of rule guidance, observation, leaving alone, etc., while the higher education a teacher had, the more acts she tended to have of play involvement, conversation, facility guidance, etc. Third,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teacher's behavior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ground areas, there was the most stay long in water·sand play realm. And the teachers in water·sand play realm had observation(37.5%) the most, and the second most were play involvement(18.4%), emotional support(11.2%), protection(8.4%), while environmental provision(0.7%), instruction(0.5%) were almost not seen. The teachers were the second most stay long in gross motor activity realm. And the teachers in gross motor activity realm had observation(33.3%) the most, and the second most were play involvement(15.2%), emotional support(14.2%), safety direction(7.1%), while conversation(4.5%), facility management(0.4%) were almost not seen. The teachers were the third most stay long in open realm. And the teachers in open realm had observation(36.2%) the most, and the second most were play involvement(15.9%), protection(3.4%), emotional support(12.2%), while conversation(5.0%), onlooking(1.8%) were almost not seen. The teachers were very little stay long in nature ecology observation realm and rest realm. And the teachers in nature ecology observation realm had observation(47.9%) the most, and the second most were instruction(16.7%), emotional support(16.7%), regulation guidance(12.5%). And the teachers in rest realm had trouble solution(71.4%) most, and the second most were protection(28.6%).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