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주연-
dc.creator노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89-
dc.description.abstract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the object of pan global, concern as It has been caused through human and the government and many parties have been put all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se effort have limited points as basic solving method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after the fact method.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on education has to be highlighted for the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which is active and effective. The concer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4th educational course in Korea is being highlighted and England is on the trend of emphasizing important poi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process of new material education. Korea has been practiced environmental education by becoming independent and newly establishing environment subjec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on Korean's 7th educational course while England handles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and science. The independence of environmental subject has a merit to teach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subject on systematically and generally but has many problems such as the position of assembled subject taken the content of subject involved little by little, deficiency of the teacher's training to teach environmental subject, uncertainty of possibility to adopt environmental subject in school.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practiced comparing and analysing England subject which deals with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geography subject importantly in order to intensify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geography deeply involved as the o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 have chosen 4 subjects consisting of 2 subjects of social(geography) subject from Korean and England 7th grade respectively for this study.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practiced the analysis of quantity, quality on the base of the frame of analysis and summarization is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Korean's social and geography areas takes an estimated 6 percentage and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England's geography subject takes 20percentage. This shows that the atten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England geography subject is very high. Secondly,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he main content for both countries of natural disaster and environmental change and Korean subject handles evenly the subject of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gainst England subject. However, the area of korean's social and geography mainly consists of the center of regional geography and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distributed on various units and the content of unit is disturbed due to too much duplication while the subject of England geography can be easily understood as the unit of environment is separated independently. However, we can expect to more effective study as fundamental method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 is proposed definitely. Thirdly, various and plentiful study material for Korean and England has proposed. However, on the case of Korean subject, material concentrated on pictur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levance of material falls behind and distribution is not proper and the utility of material against England subject is low. Considering reformed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on the case of Korea. Firstly, concrete and systematical composition of content with quantity increa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get practical education effect for right value and attitude of posi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delivery of fragmentary knowledge. Accordingly, quality supplement of content is necessitated.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geography subject handled relatively as per the proposal on the process of national education on the case of England and we can take an exemplar it due to concreted and systematic composition. We would like to propose few points as follows for geography subject to become the representativ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base this study result. Firstly, the fram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alysis is to be needed to re-organization to intensify environmental education on geography subject. Secondly, we need an alternative to get educational effect for th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as knowledge, understanding, function, value and attitude. ;환경문제는 인간을 통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범지구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나 단체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사후대책으로 환경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서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적극적이고 실효성이 있는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이 부각되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제 4차 교육과정 이후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고, 영국의 경우에도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양국의 환경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한국의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고등학교에 '환경'과를 독립·신설하여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서는 환경교육의 내용을 지리, 과학에서 다루고 있다. 환경교과의 독립은 환경교육 내용을 한 과목으로 체계적·종합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관련교과에서 내용을 조금씩 가져온 조립식 교과로써의 위치, 환경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 양성의 미비, 학교에서의 환경교과 채택 여부의 불확실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의 대상으로서 관련성이 깊은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의 강화를 위해서,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는 영국 교과를 기준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과 영국의 7학년 사회(지리) 교과서 각각 2권씩 총 4권을 선정하였다. 환경교육의 내용은 분석의 틀에 근거하여 양적·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사회과 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 내용은 전체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국의 지리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은 전체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영국의 지리 교과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환경교육의 내용은 양국 모두 '자연 재해 및 환경 변화' 영역의 내용이 가장 많았고, 한국 교과서가 영국 교과서에 비해서 환경교육 내용에 관한 주제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과 지리영역은 주로 지역지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교육 내용이 여러 단원에 분산되어 있으며, 단원별 내용이 중첩이 많아 산만하다. 반면 영국의 지리 교과에서는 환경 단원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내용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한국과 영국 모두 다양하고 풍부한 학습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교과서의 경우는 자료가 사진에 편중되어 있으며, 환경교육 내용과 자료의 연관성이 떨어지고 배분이 적절하지 못하면 자료의 활용도가 영국에 비하여 낮다. 본 연구를 통한 환경교육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첫째, 환경교육 내용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요구된다. 둘째, 환경교육 내용이 단편적인 지식 전달에 치중되어 있어 환경교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 정립이나 태도를 기르기 위한 실천적인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내용의 질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영국의 경우에는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바에 따라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이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받을만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 교과가 환경교육의 대표적인 교과가 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안을 해본다. 첫째,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을 강화되기 위해서는 환경교육 분석의 틀이 재편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환경교육 목표인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의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절차 및 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9 A. 환경교육의 의의와 필요성 = 9 B. 환경교육의 목표 = 11 B. 환경교육과 지리교육 = 14 Ⅲ. 한국과 영국의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 16 A. 한국의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 16 B. 영국의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 20 Ⅳ. 한국과 영국의 사회(지리)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비교·분석 = 23 A. 단원별 내용구성 체계 분석 = 23 B. 환경교육 내용의 양적 분석 = 27 C. 환경교육 내용의 질적 분석 = 34 D. 환경교육 내용의 학습자료 비교 = 47 Ⅴ. 요약 및 결론 = 52 참고문헌 = 56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7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과 영국의 7학년 사회(지리)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