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주-
dc.creator김수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5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that makes children who is in low-income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cial-skills, and develop more programs that would help their self-esteem and social-skills continuousl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boys and girls in age of 8 to 11 in low-income from a in B city, Seoul. 5. The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otal 14 programs of Group Art Therapy. After that, their teachers in juvenile welfare examined the preliminary and post tests of quantitative.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ocial-skills of the low-income family children.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as that the self-esteem and social-skills would be improved. The results of preliminary and post examinations for the group were analyzed by Maston Evalation of Social Skills With Yongsters(MESS) and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for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Inventory by Coopersmith(1967) for self-esteem. The result of study was following: Th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dealt with the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esteem' and 'social-skills', which verified positive influence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essed in this study. In personal analyzation there were improvements of self-esteem especially through 'Making mask', and 'Imitating Their Body'. Through HTP, targets became more positive and stable than before and forms their self identity. By analyzing self-esteem index it came to know that, because all targets get higher score on the tot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all improved. Secondly, t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the program of group art therap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social-skills. In personal analyzation it came to know that social-skills improves by acquiring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Cooperation Working' and 'Making Wishing Tree'. At analyzing result about social index, because all targets got higher score at post-examination than at ante-examination, the social-skills through th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improved. It is an experience going through daily conflicted in a group. This experience gets to re-construct perception on the past experience. Also, they experience read their experience revealed at their pictures and the participating children have positive feeling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rt work, so they can take a first step for a social life. It is an experience in which they naturally experience confidence and achievement in completing the work through group art treatment ac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e Group Art Therapy contributes the improvements of self-esteem and social-skills of the low-income family. It also suggest the proper programs providing mutual interchanges help the social nature of the children in low-income improve significantly. Through this study the comprehension of well-being about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low-income family children is as follows. This study utilized the group art therapy that is not linguistic but an emotional expression activity. The expression of unconscious emotion, the attainment of self-confidence through the therapy and the acquirement of personal relation ability have values to be able to improve the hurted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erefore, in these days as the need and utilization for art therapy increase, if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a group social work and art therapy is utilized, it would be effective as a specialized social service program to heal the children suffered from their poverty.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B동에 소재하는 방과 후 공부방에서 오후 6시까지 시간을 보내야하는 저소득층 가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5명을 선정하였으며, 집단의 아동들은 총 14회기의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하였다.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질적 방법으로서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구대상자들의 행동변화를 개인단계별로 분석하였고, 그림투사검사(HTP)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방법으로써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점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일 아동을 3시간 이상 지도하는 방과 후 공부방 담당교사와 부모 인터뷰를 참고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전 과정은 준비단계, 초기단계, 실천단계, 종결단계로 나누었다. 준비단계에서는 공부방 지도교사와의 면접을 통해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진행을 계획하였으며, 실질적인 프로그램 진행단계인 초기단계부터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이해를 위해 집단의 목표와 규범을 정하고, 구성원의 자기소개를 통한 라포 형성 및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표출하고, 매체 활용의 어려움을 완화하였다. 실천단계에서는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바람직한 행동방향을 모색케 하였다. 마지막 종결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과정에서 경험한 느낌과 생각을 미래에 적용하고 스스로 자신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연구문제는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 행상에 효과적인가 하는 것으로,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한 집단은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 실시 전과 비교하여 일반적, 사회적, 가정에서, 학교에서의 자존감이 향상될 것이며, 협동, 자기주장, 공감, 자기조절의 사회적 기술이 행상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참여자들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에 참여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개인단계별 분석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중 특히, '투명인간이 된다면'과 '가면 만들기', '신체 본뜨기' 작업 과정을 통해 자아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면서 자아존중감이 향상 되었다. HTP 그림투사검사에서는 대상자들이 사전보다 사후 검사에서 긍정적인 인식변화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였다. 자존감 척도 분석 결과에서는 참여자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첫째,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에 참여한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다. 개인단계별 분석에서는 여러 프로그램 중 '내가 원하는 도시 건설해보기', '소원나무'를 통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공감이나 협동, 자기주장, 자기조절 등과 관련된 부분에서 대인관계기술을 습득함으로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HTP 그림투사검사에서는 사후 검사에서 사전보다 인간관계나 외부 환경에 적응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이나 자기조절 등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 척도 분석 결과에서는 모든 대상자가 사전보다 사후 검사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을 통해 무의식의 감정을 표출하고, 작품 활동을 통한 자신감의 성취와 사회적 관계 기술 능력의 습득은 저소득층 아동의 손상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는 점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미술치료 = 6 1) 미술치료의 정의 = 6 2) 집단미술치료 효과 = 8 2. 자아존중감 = 10 1) 자아존중감의 정의 = 10 2)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 11 3. 사회적 기술 = 13 1) 사회적 기술의 정의 = 13 2)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 = 15 Ⅲ. 연구 방법 = 17 1. 연구 대상 = 17 2. 연구 도구 = 19 1) 자아존중감 검사 = 19 2) 사회적 기술 검사 = 20 3) HTP(House, Tree, Preson) 검사 = 22 4) 집단활동 관찰 = 22 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 23 3. 연구 절차 = 25 4. 자료 분석 방법 = 25 Ⅳ. 연구 결과 = 27 1.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 실시 전, 후 아동의 자존감과 사 회적 기술의 통계적 분석 = 27 2.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검증 요인 = 28 3.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검증 = 30 4.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HTP 검사 분석 = 34 1) 아동 A (男, 8세) = 34 2) 아동 B (男, 8세)= 38 3) 아동 C (女, 9세) = 41 4) 아동 D (男, 9세) = 45 5) 아동 E (女, 10세) = 49 5. 프로그램 진행 과정의 변화 추이 = 53 Ⅴ. 논의 = 62 1. 결론 및 논의 = 53 2.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67 Ⅵ. 참고문헌 = 69 부록1 Matson의 아동사회지술 평가척도(교사용) = 76 부록2 사회 기술 평가(학생용) = 69 부록3 자아존중감 검사지 = 82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43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