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현주-
dc.creator유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4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 교육에서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KWL 활동을 통한 읽기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여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는 다양한 활동 중에서도 과정 중심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 KWL 활동을 읽기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아동들이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독해를 하고 독해력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그동안 결과 중심 읽기 교육에 치우친 단점을 보완하여 독해에 높은 효과를 얻고자 함이다. KWL 활동(K-what I KNOW, W-what I WANT to know, L-what I LEARNED)은 학생이 글을 읽기 전 'K' 과정에서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활성화시키고 'W' 과정에서 알고 싶은 것을 생각하고 'L' 과정에서는 글을 읽은 후 알게 된 것을 자기 점검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활동이다. 독해력의 요소는 사실 인식 능력, 추론 능력, 일반화 능력으로 읽은 내용을 보다 더 잘 이해하는 능력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독해력에 효과가 있는가? 1-1.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사실인식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1-2.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추론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1-3.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일반화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2.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독해력 수준에 따라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1.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상위집단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2.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KWL 활동은 하위집단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8주간 16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서는 읽기 학습 과정에서 KWL 활동을 투입함으로써 배경 지식을 활성화 시켜 읽기 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에게는 전통적인 읽기 학습을 실시하여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KWL 활동을 적용한 읽기 학습은 결과중심 학습이 아니라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중심 학습을 함으로써 독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방법이다.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KWL 활동을 적용한 읽기 학습의 실시 결과, 실험집단 아동의 독해력 사후 검사 평균 점수가 비교집단 아동의 사후 검사 평균 점수보다 높게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독해 수준별 독해력 효과를 검정한 결과 상위 수준의 아동이 하위 수준의 아동보다 독해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기존의 결과 중심 읽기 학습보다 배경지식 활성화를 통한 읽기 학습이 독해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KWL 활동은 하위 수준의 아동보다 이미 배경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상위 수준의 아동에게 더 효과적이었으며 따라서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하위 수준의 아동에게는 읽기 활동 전에 배경지식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며 배경지식을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KWL 활동을 적용한 읽기 학습은 독해력 증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 학급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5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 중 사실적 글을 가지고 단기간에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KWL 활동을 적용한 읽기 학습의 효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르의 글과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내용과 목적에 맞도록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KWL 활동을 적용한 읽기 학습의 활용 방안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ek the study method of reading through KWL(K-what I Know, W-what I Want to know, L-what I Learned)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in the field of reading in elementary schools. This research seeks the method to apply KWL, which enable the students to do process-centered activity among many activities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on the reading study to activate children's background knowledge, train them to read effectively and improve their reading skill. The objective is to obtain higher effect in reading by making up a defect of current reading education, which excessively focuses on the result. Teachers activate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by asking them what they already Know. Then students set goals specifying what they Want to learn, and after reading students discuss what they have Learned. I limited the factor of reading skill to fact recognizing ability, reasoning ability and generalizing ability, which is related to the ability of comprehension. To obtain purposes of the research, I set research topics as the following. 1. Is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skill? 1-1. Is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ct recognizing ability? 1-2. Is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soning ability? 1-3. Is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eneralizing ability? 2. What is the effect of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according to the level of reading? 2-1. Is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skill of higher-level students? 2-2. Is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skill of lower level students? To find an answer of research topics above, I selected two 5th grade classes at D elementary school placed at Nam District of Daegu Metropolitan. And then, I divided those students 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For sixteen times in eight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I activated the background knowledge by using KWL activity during reading study. In controlled group, I used traditional study method of reading and verified the effect of it on the reading skill. Reading study with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is an education method to improve reading skill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not the result. The result of conducting a reading study with KWL activity for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s average grade after the experi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and it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n reading skill according to the level of reading,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 from higher level got better marks than children from lower level. The result has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is means that the reading through sti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is more effective in comprehension than result-oriented reading. In addition, KWL Activity is more effective to the children in upper class with background knowledge than ones in lower class improving the comprehension. It, therefore,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background knowledge of children in lower class before reading, and to provide them with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Consequently, reading with KWL Activity for the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was efficient for improving the comprehensibility. However, the above result was verified from the performance held to one class with Korean textbook especially nonfiction article within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effect of reading with KWL Activity for activating the background knowledge.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ccessive study is necessary by developing variations of reading with KWL Activity for the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considering various contents and purposes for the students in other grades with articles in various gen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배경지식 이론과 읽기 교육 = 5 B. KWL 활동 = 17 C. 독해력 = 23 D. 선행 연구 = 3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3 A. 연구 대상 = 33 B. 연구 설계 = 36 C. 연구 도구 = 41 D. 연구 절차 = 46 E. 자료 분석 = 5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53 A. 독해력의 차이 = 53 B. 사실 인식 능력, 추론 능력, 일반화 능력의 차이 = 61 C. 독해력의 학업성취 상, 하 집단별 차이 = 63 Ⅴ. 결론 및 제언 = 65 A. 결론 = 65 B. 제언 = 66 참고문헌 = 69 부록목차 = 74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4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KWL 활동을 이용한 읽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