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유적지 활용

Title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유적지 활용
Authors
김세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부담 없이 문화유적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유적지의 활용, 환경 답사 경험에 관련하여 문화유적 답사를 통한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서울시와 경기도에 있는 문화유적 중 능(동구릉, 광릉), 궁궐(경복궁, 창덕궁), 기타사적지(아차산성, 남한산성)를 찾는 방문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유적 방문자들의 문화유적 이용 특성, 환경에 대한 인식,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유적지 활용, 환경 답사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교차분석(x^(2)-검정), 단순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유적 방문자들의 31.9%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 위해 문화유적을 방문하고, 문화유적 답사와 관련된 행사는 한달에 한번 정도 혹은 반년에 한번 정도 참여하며 환경해설은 안내판이 있는 탐방로(29.8%)와 환경해설 표시물(27.7%)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해설을 통한 주변 생태 이해도(평균=2.8)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유적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90.1%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그 중 41.7%가 학교 환경교육보다는 주변 환경오염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문제에 관심이 있었던 방문자 중의 37.8%는 제일 심각한 환경문제를 대기오염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38.6%가 환경문제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는 교육이 강조되어야하며 문화유적 방문 후 역사, 문화, 자연보호에 대한 인식변화(평균=3.2)가 생겼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문화유적을 방문한 학생들의 81.4%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그 중 37.8%가 학교 환경교육보다는 주변 환경오염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유적 방문 후 역사, 문화, 자연보호에 대한 인식변화(평균=3.1)가 생겼고, 문화유적 답사는 환경교육에 도움이 된다(평균=3.3)고 응답하였다. 넷째, 문화유적 방문자들은 문화유적 주변 환경은 환경교육적 가치가 높고(평균=3.4) 문화유적 답사 시 시민으로서의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주는 것(90.8%)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답사 프로그램에 대해서 다소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평균=3.4)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유적 활용은 연령층이 높을수록,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환경 답사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은 남성보다는 여성일수록,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문화유적의 활용이 많을수록 관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이 교육적이기 위해서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생활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상 생활환경 속에서 자연을 부담 없이 체험하는 학교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문화유적 주변 환경의 보전, 질 높은 환경해설 서비스,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등의 노력은 우리 문화를 보전하고 환경교육의 장을 넓히는 긍정적인 결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is a research into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field survey of cultural relics in relation to concerns on environmental problems, application of cultural relics as 'a fiel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fiel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tudied 150 people who visited tombs (Dong-Gu Reung, Kang Reung), royal palaces Kyung-bok Gung, Chang-duk Gung) and miscellaneous historical places (Ah-cha San Sung, Nam-han San Sung) with cultural relics in Seoul and Kyung Ki province. Visitors were examined using characteristic of cultural relics, recognition about environment, application of cultural relics as a fiel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in environmental survey program. The analysis resulted from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 way Anova, crosstabs(x-test) and simple correlation using SPSSWIN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31.9% of the visitors to cultural relics visited the said places to spend time with family or friends. Respondents participated in events related to cultural relic survey once a month, or every half a year. They mainly used environmental explanation like inquiry path with guide board (29.8%), indicator of environmental explanation (27.7%). However, there is a low rate in understanding ecology in the vicinity of the aforementioned places through environmental explanation (average=2.8) Second, 90.1 % of the visitors we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41.7% among them recognized the problem from direct experience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nearby, rather than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chool. In addition, 37.8% of visitors who we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blems regarded air pollution as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38.6% answered that education recognizing environmental problem properly should be emphasized and that perception about history, culture and nature preservation has changed after visiting cultural relics (average=3.2). Third, 81.4% of students who visited cultural relics were interested in environment, and 37.8% among them gained the interest from direct experience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nearby, rather than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chool. In addition, perception about history, culture and nature preserve after visiting cultural relic increased (average=3.1), it was answered that cultural relic survey was helpful in environmental education (average=3.3). Fourth, visitors to cultural relics regarded the environment near the cultural relic valuable in environmental education (average=3.4). They also showed responsible behavior as citizens when surveying cultural relics (90.8%), and had a positive reaction towards environmental survey program (average=3.4). Fifth, application of cultural relics as a fiel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igher as the age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 were higher.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environmental survey program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as application of cultural relics as a fiel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to successfully initiate environmental education, it has to be in harmony with na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wherein students can experience nature in daily life environment. In addition, it will preserve our culture and extend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preserve environment near cultural relics,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environmental awareness campaign and develop and apply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