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진미-
dc.creator최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60-
dc.description.abstract과학적 소양은 현대 과학 교육의 기본적 목적이며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조건이다.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의 양성'이 세계 과학 교육의 흐름인 만큼 과학적 소양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나 평가 도구가 다양하지 않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을 평가하고, 학교 급 별, 성별, 계열별로 과학적 소양이 어떠한지를 비교하며, 과학적 소양과 과학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Manhart(1997)의 과학적 소양 검사지(Scientific Literacy test)를 사용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은 낮았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영역과 인식영역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모두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중학생은 화학과 지구/우주과학을 물리와 생물보다 어려워했다. 둘째,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자연계 학생은 평균 점수가 높은 반면 인문계 학생은 중학생들보다 오히려 평균 점수가 낮아 인문계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교육에 있어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연계 학생의 과학적 소양은 과학 지식과 과학에 대한 인식의 모든 영역에서 인문계 학생보다 훨씬 높았다. 남녀 학생의 점수를 비교해 보면 지식 영역에서는 화학, 물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생물과 지구/우주과학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등학생도 중학생과 같이 생물과 물리보다 화학과 지구/우주과학을 어려워했다. 인식영역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셋째, 학교 급 별로 비교해 봤을 때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이 중학생보다 높았고 학교 급이 올라감에 따라 과학 지식 영역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수 격차가 더욱 커졌다. 넷째, 중학생과 자연계 고등학생 모두 과학적 소양과 과학 성취도 사이에 상관을 보였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자연계 고등학생의 경우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학교 급이 올라가면서 '과학 지식' 영역의 상관관계가 확연하게 높아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ssess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2) to describ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course;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liter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Participants included 112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213 high school students. Their scientific literacy was measured by Scientific Literacy Test designed by James Joseph Manhart(1992). The score of Students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cientific literacy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but males tended to perform better than females on both the constructs of science factor and the social aspect of science factor. 2. The scientific literac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asn't high. Males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s on the constructs of science factor. Females tended to perform better than males on the social aspect of science factor.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natural science ha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humanities. 3.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gender differences was larger on the constructs of science. 4.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ce achievement in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urse of natural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on the constructs of science factor was stronger than social aspect of science fact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STS 교육 = 5 1. STS 교육의 의미 = 5 2. STS 교육의 목적 = 7 3. STS 프로그램 = 8 가. SATIS(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 8 나.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 = 8 다. Unified Science: Problem Solving i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9 라. Modular-Science/Technology/Society = 9 마. Science Syllabus for Middle and Junior High Schools : Block J: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10 바. Science Plus Technology, Society 1, 2 & 3 = 10 사. Iowa Chautauqua Program = 11 4. 제 7차 교육 과정에서의 STS 교육 = 12 가.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의 STS 교육 = 13 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의 STS 교육 = 13 B. 과학적 소양 = 15 1. 과학적 소양의 의미 = 15 2. 과학적 소양의 필요성 = 18 3. 과학적 소양의 평가 도구 = 19 C. 선행연구 = 2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 대상 = 24 B. 연구 절차 = 25 1.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 고찰 = 25 2. 과학적 소양 검사 도구의 선정 및 번역 = 26 3. 예비 검사 = 27 4. 본 검사 = 27 5. 검사 결과의 통계 처리 및 분석 = 28 가. 독립 표본 T검정 = 28 나.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 28 다. 상관분석 = 28 C. 검사 도구 = 2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A.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평가 = 32 1.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 = 32 2.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 36 3.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비교 = 44 B. 과학적 소양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56 Ⅴ.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1 부록 과학적 소양 검사지 = 66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3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