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시간 연장제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시간 연장제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Authors
임병순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 연장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시간 연장제를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차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행동은 어떠한가? 2.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 하위요인은 어떠한가? 2-1.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2.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3.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참여 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 중 구리와 남양주 지역에서 시간 연장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10개의 유치원을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기관에 대한 질 평정을 위해 이화여대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제의 인정기준」을 사용하였다. 이화여대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제의 인정기준」은 교육과정, 상호작용, 교직원, 물리적 환경, 행·재정, 건강·안전, 영양·급식, 부모와 지역사회, 평가의 총 9개 영역, 27개 항목, 68개 문항, 204개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방법은 교사들의 자기보고식 질 평정을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정기준 체크리스트 점수의 총점과 평균에 따라서 가장 점수가 높은 유치원과 총점이 가장 낮은 유치원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질 평정에 대한 총점이 가장 높은 기관의 만 5세아 30명(여아 15명, 남아 15명)과 질 평정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은 기관의 만 5세아 30명 (여아 15명, 남아 15명)을 합한 총 60명의 유아를 관찰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행동 관찰을 위해 이경희(1995)가 사용한 유아의 사회적 행동관찰 기록표를 수정하여 연구도구로 이용하였다. 관찰은 본 연구자와 2명의 관찰자가 자유놀이 시간에 한 유치원에서 2주 동안 시간표집법에 의해 20초 관찰 10초의 기록법으로 한 유아당 20회씩 관찰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비교를 통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행동을 살펴보면, 질적 수준에 관계없이 상·하집단 모두에서 교사와의 상호작용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많았다. 또래와의 상호작용 범주에서는 하집단보다 상집단이 많이 나타났으며, 교사와의 상호작용 범주에서는 하집단에서 많이 나타났지만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혼자 작업하기, 놀잇감 관찰하기, 정리 정돈하기, 목적 없이 돌아다니기, 서성이기/쳐다보기 등의 기타행동은 하집단에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범주의 하위 항목에서 상·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질적 수준이 우수하다고 평정된 기관에서는 '긍정적 언어적 상호작용'항목과 '또래에 대한 주도적 행동', '또래의 제안에 긍정적 반응'의 항목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 또래와 긍정적인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질적 수준이 낮게 평정된 기관에서는 '또래의 제안에 부정적 반응', '언어적 공격', '신체적 공격' 등 부정적인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와의 상호작용 범주의 하위항목에서 상하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질적 수준이 높게 평가된 기관에서는 교사와 '긍정적 언어적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으며 질적 수준이 낮게 평가된 기관에서는 '교사의 지시에 따르기'가 많이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 참여 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즉 질적 수준이 높게 평정된 기관에서는 '사회적 놀이'가 많이 나타났으며, 질적 수준이 낮게 평정된 기관에서는 다른 유아와 지역적으로 같이 있으나 상호작용은 하지 않고 혼자 개별적으로 노는 '병행놀이'와 '서성이기/쳐다보기'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social behaviors of the children who attend a kindergarten with extended program,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ose kindergartens. Those purposes of this study led to selection of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 those children behave in general based on the quality of kindergarten? 2. How do the subcategories of social behaviors diff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2-1. How does the interaction with peers diff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2-2. How does the interaction with teachers diff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2-3. How does the participation in playing activities of the children diff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en kindergartens with extended programs in Guri and Namyangju areas, which were primarily selected among public ·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Namyangju City, Gyeonggi Province.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Accreditation Standards for Child Education Institution 」developed by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BK21 Core Project Team (2002)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essment of those institutions. This「Accreditation Standards for Child Education Institution」developed by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BK21 Core Project Team (2002) consists of nine areas, twenty-seven items, sixty-eight questions and 204 standards about curriculum, interaction, teaching staff, physical environment, administration-finances, health-safety, nutrition, parents and their communities, and evaluation. The kindergarten with the highest score and the one with the lowes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tal scores and means of accreditation standards checklist of Child Education Institution based on self-report type of quality assessment by teach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rty children at the age of five (fifteen girls and fifteen boys) who attend the kindergarten with the highest score and the same number and age of children who attend the one with the lowest, in total sixty children, were observed. In order to observe children's social behaviors, the social behavior checklist previously used by Gyeong-hee, Lee (1995)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author and two more observers observed the social behaviors of each children during their free activity time twenty times respectively in each kindergarten for two weeks using time sampling method of twenty-second observation and ten-second record. The data was analyz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using t-test through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overall social behavior of the children's at the age of fiv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kindergarten, those children of both groups interacted with peers more than teacher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kindergarten. In the case of the categories of interaction with peers, the upper group had more categories than lower group. For the categories of interaction with teachers, lower group had more categories than upper group, but the difference wasn't significant. The lower group showed playing alone, observing toys, putting things in order, wandering about aimlessly, loitering and glancing more frequently than the upper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categories of interaction with peers of the children at the age of fiv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between both groups. The children who attend the institution with good evaluation results showed a lot of positive relations with peers by indicating high figures in the items including 'positive verbal interaction', 'leadership among peers', and 'affirmative response to the suggestion of peers'.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of the institution with poor result showed negative behaviors such as 'negative response to the suggestion of peers', 'verbal aggression' and 'physical assault' more frequentl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categories of interaction with teacher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among the upper group. That is, more 'positive verbal interaction' with teachers could be seen in the institution with high level of evaluation, while 'obedience to the direction of teachers' in the institution with low level of assessmen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playing activities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kindergarten. The children of the institution with high level of evaluation mainly engaged in 'social play', while those in the institution with low level of evaluation had a tendency to engage in 'parallel play', which means playing with themselves, 'hanging about' and 'looking toward pe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