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설화 제재와 과정 중심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

Title
설화 제재와 과정 중심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
Authors
손연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창작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언어 활동이 ‘표현’과 ‘이해’의 두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면, 국어과 교육은 이러한 언어 영역을 교육의 대상과 목표로 삼고 있으므로 국어과 교육에서는 당연히 이 두 영역을 균형 있게 다루어야 하며 이것은 언어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도 일치한다. 그러나 이처럼 창작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공감하고 있으면서도 창작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어 실제로는 학교 현장에서 창작 교육이 잘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의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은 최근 쓰기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략인데, 문학 작품을 생산·소비하는 행위 역시 언어를 통한 자기 표현과 의사 소통의 한 형태로 본다면 문학 활동도 일상적 언어 활동의 일부로 다루어질 수 있으므로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창작 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 투입함으로써 이 모형이 학습자들의 창작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이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설화 제재를 활용하였는데, 설화 제재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표현이 복잡하지 않아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창작 교육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제재라는 판단 때문이다. Ⅰ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에서는 실험 처치의 방법을 제시하고 제재 선정의 기준을 밝혀 실험에 활용할 설화 작품 여덟 편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제7차 교육과정 8학년 교과서에 실려 있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는 교과서 외의 작품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도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작품이다. Ⅱ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우선 과정 중심 쓰기에 대한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알아 보고 설화제재를 이용한 창작 교육의 가능성, 과정 중심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을 위해 창작 활동에 활용할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이용한 창작 활동의 모형을 만든 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관찰한 결과를 일부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이 학습자들의 창작 활동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검토해 보았다.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창작 결과물을 몇 개의 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수업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험 집단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이용한 창작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창작 교육은 학습자들의 다양한 문학적 반응을 이끌어 냈으며 학습자들의 문학적 반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습 후 학습자 스스로도 창작 활동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창작 활동에서 다양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는 점 외에도 창작 활동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창작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interest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7th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implemented. If we presume that language activities of humans are made up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t is natural that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ke these two areas of language as goals of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have its purpose on the extension of language ability. Most People agree with the importance and the need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but there is no study on how to do it.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teach creative writing which applies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in schools. This thesis will research on the way to teach creative writing using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is recently put to use in the sphere of writing. If we think that to produce and consume the literary works is also a kind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e literary activity can be regarded as a part of everyday language activity. Then we are able to apply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to creative writing. In this point of view I devise a teaching-learning model of creative writing and verify the effect of this model on learners through experiment. Especially the tale story is used to verify this model. Because anybody can make the tale story with ease as the tale story has simple structure and expression. In chapter Ⅰ I explain the purpose and need of this study, check over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present the subject and method of this study. In this chapter, I present the method of treatment of experiment and standards of selection of materials and select eight tale works used in this research. First of all I select the tale works out of the eighth graders' Korean textbook of 7th curriculum and then choose the rest materials which induce the curiosity and are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 level of learners. In chapter Ⅱ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which uses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At first I go over the essenc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ocess-centered writing and tale. Then I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and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chapter Ⅲ I look into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which will be used in creative writing and then I make a model of creative writing which uses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I apply this model to school and present the part of the result. In chapter Ⅳ I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reative writing which uses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on learners. I use the pretest-posttest design and analyze the writing results with several standards. I verify the effect of the model with the results. I also survey the response of learners who take part in the creative writing classes which use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In result the creative writing which use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induce the various literal response of learners and help them to express their literal response effectively.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learners have come to have confidence and positive attitude to creative writing. This study has its value in that it verifies that the creative writing using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makes learners express what they want effectively, have access to creative writing more easily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 creative writing. The study on the various models of teaching-learning method besides mine should be conducted from now on and we should endeavor to make learners do creative writing positively and stead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