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이 민주 시민성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

Title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이 민주 시민성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이경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verify better effect of the Issue-Centered Instruction on democratic citizenship and intrinsic motive when teaching social issue than the Lecture-Centered Instruction. For doing this 1. Reviewed the model and theory of Issue-Centered Instruction through books, journals and theses. 2. For the application of Issue-centered Instruction, designed a model 4 times class plan based on a chapter, 'Social issues and rational decision-making' unit in 10th grade textbook of 7-step curriculum. 3. Applied the model to 200 female students with similar academic achievement at a high school in Euijungbu. 100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got the Issue-Centered Instruction and other 100 students in control group got the traditional instruction. 4. Verified the effect of Issue-Centered Instru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 Hypotheses 1 : The Issue-centered Instruction group will get higher score on democratic citizenship. Hypotheses 2 : The Issue-centered Instruction group will get higher score on intrinsic motive. Hypotheses 3 : The effect of the Issue-centered Instruction model on democratic citizenship and intrinsic motive will not be affected by academic ability level, economic status and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by ANCOVA and two-way ANOVA through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WIN 10.0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n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on democratic citizenshi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n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on intrinsic motive. Third, The effect of the Issue-centered Instruction model on democratic citizenship and intrinsic motive was not be affected by academic ability level, economic status and parents' academic backgroun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증진시키고, 사회과 교육의 목표인 민주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방법 중 하나로 쟁점 중심 수업을 제시하고, 이러한 수업을 실제로 적용해봄으로써 쟁점 중심 수업이 기존의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사회과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쟁점 중심 수업 모형과 이론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둘째, 경험적 연구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10학년인 고등학교 1학년 <사회>교과에서 '사회적 쟁점과 합리적 의사결정' 단원을 선정하여 쟁점 중심 수업을 위한 지도안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4차시 분의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셋째, 실험 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의정부시 호원동의 H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데, 1학년 13개 학급 중 1학기 기말고사 사회 성적이 비슷한 6개의 학급을 추출하여 3개 반씩 100명을 각각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쟁점 중심 수업을 4차시 실험 처치하였으며 비교 집단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쟁점 중심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처치 전과 후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쟁점 중심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민주 시민성과 내적 동기 함양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료의 처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일반적인 사항을 집단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전-사후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의 민주 시민성과 내적동기의 각 하위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학업성적, 부모학력, 경제적 생활 수준을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의 민주시민성과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변량 분석(two-way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95%의 신뢰구간에서의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쟁점 중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쟁점 중심 수업으로 수업한 실험 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 집단에 비해 민주 시민성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의 사회과가 요구하는 민주 시민성을 '문제해결력, 정보처리능력, 비판적 사고력, 사회참여, 민주적 질서와 절차에 대한 인식' 의 5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었는데 '정보처리능력' 을 제외한 4개 영역에서 비교집단과 비해 민주 시민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쟁점 중심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에 비해 내적동기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동기를 '도전감, 호기심, 완성감, 독립적 판단, 내적성향' 의 5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독립적 판단' 을 제외한 4개 영역에서 쟁점 중심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업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주 시민성과 내적 동기에 대한 쟁점 중심 수업의 효과는 학생들의 학업 성적과 부모학력, 경제적 생활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크기가 작고, 연구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여학생들만을 실험대상으로 하였고,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했다고는 하나,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 학습 분위기 같은 다른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사회과에서 쟁점 중심 수업 수업의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로 장기간의 실험처치, 성별에 따른 효과 연구, 학습 주제에 따른 효과 연구, 각종 변수에 따른 효과의 차이 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쟁점 중심 수업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 주제에 따른 다양한 학습 자료와 이에 따른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사회과의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쟁점 중심 수업을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과 현장 교사들의 관심과 참여가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