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혜진-
dc.creator류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85-
dc.description.abstractAs Cold war and the opposition of ideologies have come to end, the possibility is increasing that human rights do an important role in the world history.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like U.N. have agreed on that human rights education will be the most effective power to overcome the present human problems and realize the world peace. Though the interests in an individual's human right have been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since 1980s, in Korea, the past negative thoughts on it still remain and defer the activ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 As mentioned, however, human rights are gradually getting the spotlights in a international world as well as in a nation. At the same time, school is regarded as the central institution for systematical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we can notice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is to train the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 In synthesizing all these situations, we consider social studies as the most effective subject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In this situation,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how the human rights are dealt with in social stud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contents in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nd suggest idea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make the practical human rights education possible in school by analyzing high 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in the 6th curriculum and in the 7th curriculum. To begin with the problems,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are not enough for the objectives for students to learn human's right and respect one's own and others' human rights. The concret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ontents are auxiliary to other subjects. That is, the contents are focused not on the human rights, but on the other social problems and subjects. Second, contents are just things arranged by the basic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 but few concrete cases and examples of human rights. Third, most of the contents are focused on their concepts, sorts and restrictions, so they don't reveal the practical aspects of human rights.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 of human rights in textbook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overcoming the problems and realizing the systematical human rights education, which are as follows; First, human rights should be dealt with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social studies by combining the related contents systematically. Second, human rights should be presented with various cases and examples related with real life in social studies. Third, the more contents related with human rights should be attained in the high school 1st-grade textbooks. Fourth,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to enlarge their viewpoints. Finally, school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help each other to share information related with human rights. In the 21st century, we have a lot of tasks for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leap of the economy. And in this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growth of human rights. However, it is time for human rights to be a base for a citizen to live with the sound sense of values as a citizen of the world as well as that of a nation. It is needed to throw away the past formal and superficial ways, and try new ways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 Especially, in social studies, as playing a major role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great efforts should be made for some suggestions of new ways. ;거의 반세기 동안 세계를 지배하던 냉전과 이념대립이 종식되면서 인권은 세계사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인권교육이야말로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과제를 극복하고 세계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를 일구어 내는 가장 효과적인 힘이라는 데 합의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대 이후 민주화 과정을 경험하면서 시민운동의 활성화로 개인의 인권 신장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지만, 과거 인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인권교육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으로 인하여 학교교육에서는 전반적으로 인권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나 우리사회에 인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가고 있으며 인권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는 곳이 학교이어야 할때,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인권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가 민주시민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라고 할 수 있다. 오랫동안 권위주의적 정치체제 속에서 시민들의 인권이 억압당하고 시민사회가 활성화되지 않았던 데 비하여 오늘날 인권이 중요한 사회적·교육적 주제로 등장한 상황에서, 인권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야할 사회과 교육에서 인권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은 시기적으로 의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교육활동 중에서 교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인권교육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내용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통합이 이루어진 제6, 7차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정의 사회교과서를 분석하여 인권교육 내용의 구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본 후 교육현장에서 구체적인 실천이 가능하도록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다 체계적인 인권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권교육의 목적이 학습자가 인간의 존엄성을 익히고 자신과 타인의 인권을 잘 알고 지킬 수 있는 유능한 사회적 행위자가 되도록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인권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목표에 충분하지 않았다. 즉 현 사회교과는 인권교육을 위해 기술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회문제나 주제에 맞추어져 그 내용에 종속되거나 부수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인권의 관점에서 기술되지 않았고 단지 헌법에 규정된 기본권의 내용을 나열하는 수준이고 인권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인권 관련 내용은 인권의 개념과 기본권의 종류 및 제한 등에 대한 인지적 설명이 중심이어서 인권이 주는 실천적 면이나 인권이 학습자에게 주는 실질적인 유용성을 잘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체계적인 인권교육을 위한 사회과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인권에 관한 독립된 장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인권 관련 사례들을 충분히 조사하여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민공통기본과정으로서의 고등학교 1학년 사회교과서의 인권관련 내용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금의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맞춰서 인권교육도 국내의 기본권뿐만 아니라 국제적 인권 문제도 함께 다루어 학생들의 시각을 넓힐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권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학교와 학교 외 교육기관이 필요하면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21세기에 우리는 정치적 안정을 통하여 남북한 평화 정착과 통일을 이루고 다시 한번 경제를 도약시켜야 한다. 이런 힘든 시기에 우리가 인권교육을 통한 인권의 신장, 보호, 예방을 이룩하려는 노력은 쉽지 않다. 그러나 이제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가 아니라 세계시민으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인권이 그 바탕이 되어야만 하는 시점에 와 있으며 학교교육에서의 인권교육은 과거의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할 때이다. 특히 학교 인권교육에서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야 할 사회과에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인권교육을 이끌어 가기 위하여 기존의 인권교육에 대한 검토와 인식의 전환 및 새로운 대안의 제시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인권과 인권교육 = 8 B. 사회과교육에서의 인권교육 = 15 Ⅲ.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교육 내용 분석 = 26 A. 분석 방법 및 기준 = 26 B. 인권 교육 내용 분석 = 36 Ⅳ. 사회과에서의 인권교육 특징 및 대안 모색 = 61 A.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특징 = 61 B. 사회과에서의 인권교육 대안 모색 = 64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 문헌 = 73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9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과에서의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8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