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상징어에 관한 일 연구

Title
상징어에 관한 일 연구
Authors
김신숙.
Issue Date
196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상징어한국동요동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韓國語의 音聲象徵에 있어 가장 重要한 구실을 하는 것은 母音調和와 子音加勢 현상이다. 특히 15世紀의 母音調和 法則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는 것은 音의 微妙한 Sense의 差를 生命으로 하는 特性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子音加勢와 母音對應關係에서는 모두 語意에는 別로 變化를 주지 않으나 語感에는 상당한 差異를 준다. 子音을 語音方法에 依한 分類面에서 볼때 單純, □張, 破裂音은 激, 重, 剛, 絶, 斷, 止 …의 意味, □腔子音은 軟, 輕, 柔, 特, 續, 動 …의 感을 준다고 하겠다. 그런데 이러한 語感의 差異는 母音에서 한층 뚜렷하며 母音의 對立이 meaning에 sense를 부과하는 것은 주로 後□母音 〔i〕〔э〕〔u〕〔o〕〔a〕와 前□母音〔i〕間에 相互對立에서 많이 나타나고 그 중에서도 〔u·o〕와 〔o·a〕의 대립관계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즉 〔a〕〔o〕에는 輕, 明, 淸, 近, 親, 小, □, 急, 短, 剛 …을 〔u〕〔э〕에는 重, 暗, 獨, 違, □, 小, 廣, 緩, 長, 柔 … 等의 느낌을 준다고 본다. 그러나 子音과 母音이 다한 音素를 示差的(distinctive) 特徵으로 하여 成立된다는 點에서는 공통이다. 資料에서 찾는 象徵語의 총수는 1024개로 色을 除外한 978의 音聲象徵가운데 많이 나타난 子音과 母音은 初聲子音일 때는 ㄷ, ㅅ, ㅂ, ㄱ, ㅈ … 順으로 終聲子音일 때는 ㄱ, ㅇ, ㄹ 順이며 母音은 a, o. u의 順으로 나타났다. 內容은 自然界, 物體, 動物, 人間의 소리, 動作, 狀態를 描寫한 것이고 인간의 소리, 動作, 狀態는 주로 幼兒들의 그것을 模倣한 것이다. 母音調和 관계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高□母音인 〔i〕〔f〕〔u〕가 他母音과의 調和를 잘 이루고 있는 點인데 그 중에서도 〔u〕母音은 〔ao〕와 〔u·э〕의 中間的 位置에서 調和를 이룬다고 하겠다. 그런데 調査에 나타난 바에 依하면 토끼가 뛰는 시늉을 한 表現에 「깡충깡충」과 「깡총깡총」의 두가지로 나타나고 있는데 前者와 後者는 한 作者의 한 作品으로 먼저된 國民學校 音樂敎科書에서 「깡충깡충」으로 되어 있고 現 國民學校 音樂敎科書에는 「깡총깡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現狀은 母音調和 法則에 依해서 「깡충깡충」을 「깡총깡총」으로 고친 것으로 보는데 아무리 「깡총깡총」으로 表記한다 해도 우리의 實在 發音은 「깡충깡충」인 것이다. 象徵語에 있어서 그 表現을 母音調和法則에 어긋나게 表現하는 것은 發音하기가 곤란하며 또한 實在發音을 무시하고 억지로 母音調和 法則에 準하는 것도 이상하다고 할 것이다. 한글이 表音文字라고 해도 象徵語에서는 表意性이 있는 言語이며 表意性이 있는 同時에 소리나는 대로 적어야 하는 것이다. 以上 象徵語에 對하여 여러면으로 고찰해 본 결과 象徵語 硏究는 Platon 以後 오늘 날에 이르기 까지 많은 구실을 지켜온 原理라 하겠는데 그것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一般 어휘 가운데는 象徵에 依하여 發生한 言語들이 많은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象徵語의 硏究를 言語계통이 전혀 다른 言語와의 비교 고찰에서 어떤 音聲象徵的 공통성을 抽出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面에서 볼때 言語 初發狀態를 象徵의 관점에서 探求하는 일도 重要할 것으로 믿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