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도영-
dc.creator권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6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01-
dc.description.abstractThe recent world-wide school education innovation has been focused on school management's innovation. The global trend of innovation of school management is school-based management, which is a systematic approach for the effectiveness of school management, and Korea is not an exception in the trend. Korea is looking for a change in school management, pursuing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effectiveness as a part of school restructuring.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prepare the soil for school based management by introducing the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school budget accounting system and invited teacher system, etc. but the outcome is not satisfactory yet. In order for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o be settled at school, teachers must understand the purposes of the system and make efforts to be equipped with abilities to perform their ro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internal base for the autonomous operation of individual schools by examining teachers' attitud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n the current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his research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rvey tool used was created by analyzing questions used in previous researches, extracting some of them and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Busan, 505 (95%) of them were recovered and 500 were used as valid data. Statistic processing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χ²(Chi-Square) test using SPSS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eachers' attitude toward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he largest part of them answered 'averag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the degree of autonomy than middle school teachers did as a whole. As for autonomy given to individual schools, teachers thought that individual schools were given the highest autonomy in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lowest autonomy in the personnel management of teachers. As for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hey positively perceived the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chool budget accounting system, but thought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invited teacher system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for responsible management. With regard to factors hindering the autonomy of the operation of individual schools, they mentioned the direction and supervision of upper organizations, which showed that they tended to attribute lack of autonomy to external facto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current state of school-based management, those in a higher position recognized more positively about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in organizing and operating educational curriculum. As for whether students are given individual teaching fit for their level, 42.9% of the respondents said 'No', and particularly high school teachers were negative to the question. To a question of whether the opinions of education community is reflected in organizing and operating educational curriculum,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tended to answer 'Yes' but teachers in position and ordinary teachers tended to answer 'No,' so teachers' percep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 To a question of whether the principal has authority on the personnel management of the school, teachers were highly positive, and in particular teachers at large-sized schools thought that personnel management is under the principal's control. Fifty five percent of respondents answered negatively to a question of whether teachers are organized in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It appeared that teachers' opinions are reflected well in personnel management such as appointing teachers in charge of class and assigning administrative works and in organizing the school personnel committee. In addition, teachers answered that personnel management was performed fairly based on abilities and experiences. 'Average' answers were most about whether a school was operating its budget in autonomy. To a question of whether individual schools operate funds autonomously, the largest part of respondents answered, 'average,' but a majority of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answered positively, so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position. Respondents tended to think that a large part of school budgets is invested t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s' opinions are reflected properly in finance, but they thought that the opinions of parents and local people are not reflected satisfactorily. As for the transparency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budgets, the respond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nd in particular those in high position were confident in the transparency of school budges. To a question of whether parents and community people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process, the largest part of respondents answered 'average', but they thought that individual schools are cooperating actively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addition, 46%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to a question of whether the school opens and promotes school education to parents and community peop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eared to work harder to open and promote school education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d. As for a question about the activation of the school operation committee,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less th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th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did. With regard to whether job performance evaluation is made in connection with the enhancement of teachers' specialti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job performance evaluation are publicized and utilized as educational information, teachers answered negatively in general. They also thought that school management in preparation for job performance evaluation is unsatisfactory, which shows that school management efforts to carry ou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chool are insufficient. Around a half of respondents said 'average' to a question on satisfaction with current self-evaluation by the school, and 34.8% of them said 'unsatisfactory.' As for a question of whether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current school evaluation were effective for school-based management, 40% of respondents replied negatively. It shows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school evaluation system.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opinions about improvement plans for school-based management showed that the most urgent work is to enhance the specialty of teachers to operate education curriculum reflecting the peculiarity of the locality and the school. Teachers believed that personnel management must be based on each teacher' abilities and specialty to create a teacher organization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nd they preferred the expansion of the principal's right of personnel management to employee supplementary teachers for areas that need to expand. They viewed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financial autonomy of the school and thought that school education planning should be related to financial plan from the beginning so that school finance operates, gearing with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They also hoped that teachers are given discretionary power to spend operational expenses for educational curriculum. They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pecialty of the school operation committee through a training progra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mmittee. They regarded teachers' volition to participate as most important in order to expand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and wanted parents and community people to participate in guiding students' life. They thought it most desirable to organize the school management evaluation committee with the principal,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y people, which reflects their view that the opinions of each member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must be equally refl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as presented above, it is necessary for each member of a school to elevate his·her professional abilities of educational operation as well as to prepare systemic environment in order to settle school-based management. In the operation of individual schools, teaching staffs, parents and community people must participate in school operation by sharing authorities. Thus, the principal must exercise leadership to share authority with other members of the school and expand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 rather than thinking that his·her authority has been damaged. In addition, teachers must develop special abilities necessary for participating various decision-making organization at individual schools and carry out the role as professional opinion presenters. On the other hand, they need to discuss the school and school educ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y people, and establish a partner relationship with them by sharing responsibilities for school education. ;최근 세계적인 학교교육개혁은 학교경영에서의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교경영에서의 세계적인 개혁 동향은 학교 효과성 증진을 위해 학교의 제도적 차원으로 접근한 단위학교 책임경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은 학교 재구조화 맥락과 더불어 학교 효과성 증진을 위한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따른 학교경영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그 동안 제7차 교육과정, 학교예산회계제도 그리고 초빙교원제 등을 도입하여 단위학교 책임경영을 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그 실적에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가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여건의 마련 못지 않게 학교 구성주체인 교원들이 제도의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따른 역할 수행능력을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전반 및 구성요소별 현황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그리고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의 자율적 운영을 위한 내적 기반의 마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검사도구는 선행연구들에서 활용한 문항들을 분석하여 발췌한 후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부산 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원 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505부(95%)중 500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χ²(Chi-Square)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전반에 관한 교원들의 태도를 보면, 단위학교로 위임된 자율권의 정도에 대해 ‘보통이다’ 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중등 교원에 비해 초등학교 교원이 단위학교의 자율권 확보 정도를 더 높게 인식하였다. 단위학교로 위임된 자율권 중에는 교육과정 영역의 권한이 가장 많다고 생각했으며, 교원인사 영역에 관한 단위학교의 자율성은 가장 적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실현을 위한 제도도입의 효과에 대해서 제7차 교육과정 및 학교예산회계제도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나, 초빙교원제의 도입은 단위학교 책임경영을 위한 자율권 신장에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인식하였다. 단위학교 운영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상급기관의 지시·감독이 주된 요인이라고 응답하여 학교 외적인 요인의 탓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의 현황에 관한 교원의 인식 조사결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단위학교의 자율성이 보장되는가에 대해서는 직위가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생수준에 맞는 개별학습을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의견이 42.9%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등학교 교원의 부정적 응답률이 높았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 교육공동체의 의견을 수렴하는가에 대해서는 교장,교감은 수렴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과 달리, 보직교사와 평교사들은 의견수렴이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어 직위에 따라 대조적인 차이를 보였다. 단위학교의 인사에 관해 학교장이 재량권을 확보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높게 나왔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교사에 대한 인사가 학교장의 재량권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였다. 지역사회 환경과 학교 특성에 적합한 교사조직의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45%가 부정적 의견을 나타내었다. 담임배정, 사무분장 등 단위학교 인사관리와 학교인사위원회 조직에 있어서 교사의 의견 수렴은 상당히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사관리는 능력과 경력을 고려하여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단위학교가 자율적 재정운영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보통이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나, 교장, 교감은 과반수 이상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직위간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학교재정은 교수-학습활동에 우선적으로 투입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재정영역에서의 교사의견 수렴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부모 및 지역인사의 의견 반영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응답했다. 학교재정 편성·운영의 투명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고, 특히 직위가 올라 갈수록 학교재정의 투명성에 대해 강한 확신을 나타내었다. 학교 의사결정과정에 학부모 및 지역인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보는지에 대해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나, 단위학교는 학부모 참여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학부모 및 지역인사에게 학교교육을 공개·홍보하는지에 관해 46%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초등학교 교원이 중등학교 교원보다 학교교육의 공개·홍보에 더욱 힘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정도에 대해 고등학교 교원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원들에 비해 미흡하게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직무성과평가가 교직원의 전문성 향상과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직무성과 평가결과를 공개하여 교육적 정보로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교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평가에 대비한 학교경영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보고 있어 학교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교경영의 노력이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가량은 ‘보통이다’의 의견이었으나, 불만족스럽다는 의견 또한 34.8%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현재 단위학교 평가의 내용과 방법이 단위학교 책임경영제를 실현하기 위해 효과적이라고 보는지에 관해 응답자의 40%가 부정적으로 답변하여 단위학교 평가체제의 개선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지역 및 학교 특수성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신장되는 일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았다. 학교와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교사조직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교사의 능력과 전문성을 존중한 인사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단위학교 학교장의 인사권 가운데 확대필요성이 있는 영역으로는 보조교사의 채용권을 가장 선호하였다. 단위학교 재정의 자율적 운영을 위해 교사의 참여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학교재정이 교수-학습활동 중심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계획 수립 당시부터 재정계획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며, 교사에게 교육과정 운영비를 활용할 수 있는 재량권을 부여해 주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학교운영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 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교사가 학교경영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참여의식 증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학부모 및 지역인사의 학교경영 참여 기대 영역으로는 생활지도 영역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학교경영평가위원회는 교장, 교사, 학부모, 지역인사로 구성된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교육공동체 각 구성원의 의견이 고루 반영되도록 조직되어야 한다는 시각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단위학교 책임경영제가 학교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여건의 구비와 더불어 단위학교의 구성원 모두가 교육운영의 자율적·전문적 역량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단위학교 운영은 교직원,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가 권력의 공유를 통해 학교운영에 적절히 참여함으로서 학교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장은 단위학교경영으로 인해 권한을 침해받게 되었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학교 구성주체들의 권력의 공유를 허용하고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단위학교 내 각종의 의사결정기구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능력을 갖추어 나가면서 전문적 의견제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는 학교와 학교교육을 공동으로 논의하고, 학교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함께 나눠가지는 파트너 쉽의 관계를 맺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개념과 의의 = 5 1.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개념 = 5 2.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의의 = 8 B.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구성요소 및 원리 = 10 1.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구성요소 및 영역 = 10 2.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원리 = 13 C. 한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현황 및 문제점 = 16 1. 한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현황 = 16 2. 한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문제점 = 27 D. 주요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의 동향과 시사점 = 30 1. 미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 = 30 2. 영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 = 32 3. 일본의 단위학교 책임경영 = 34 4. 한국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에 주는 시사점 = 36 E. 선행 연구 분석 = 37 Ⅲ. 연구 방법 = 41 A. 조사 대상 = 41 B. 조사 도구 = 42 C. 자료의 처리 = 44 Ⅳ. 연구 결과 = 45 A. 단위학교 책임경영 전반에 관한 태도 = 45 B. 구성요소별 현황 인식 = 52 C.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개선방안 = 82 Ⅴ. 결론 및 제언 = 94 A. 요약 및 결론 = 94 B. 논의 및 제언 = 100 C. 연구의 제한점 = 101 참고문헌 = 102 부록 = 105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63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 관한 교원의 인식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