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開化期 進明婦人會 性格 硏究

Title
開化期 進明婦人會 性格 硏究
Authors
정선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women's campaign is showing eye-opening progress in various fields of social campaigns. Origin of women's campaign may be from Civilization Time. Modern women campaign, which began with establishment of Association for Admiration of Education in 1898, continued to develop in order to extend common women's ability. A number of women's association developed the campaign for establishment of non-official civilians-oriented private women's school. And to meet the purpose for change into modern society, they promoted free circumstances for life by breaking superstition, reforming old customs and life circumstances for women. Also they developed the activities for raising women's status in society like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skill instruction. But there are two large limitations in many women's associations established like so many mushrooms after rain; one is that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s were performed by men, and the other is that the associations changed into pro-japanese ones in the environment of colonialized motherland. But it was Jinmyeong Women's Association that overcame these limitations, and that was organized and administered by women, themselves. So this paper has intention of not only positive inquiry into Jinmyeong Women's Association, but also history and system of Korean Women's Campaign with regard to Jinmyeong,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Standing for women's enlightenment, Jinmyeong Women's Association tried to perform all sorts of activities need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by developing campaign for women like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campaign, improvement of clothes, breaking of superstition and so on. Also unlike other women's associations administered by men, considering Jinmyeong Women's Association was an original women's association that was originally organized and administered by women, themselves, Jinmyeong is worth rating high. Besides, Jinmyeong has significant historical meaning that it positively maintained nationalist position against supervision and o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leading the repay-national-loans campaign as a part of patriotic campaign for enlightenment in the special situation of colonized motherland, and developing education campaign for nation on the basis of way of self-reinforcement. But it is regrettable that Jinmyeong revealed feudalistic limitation because of special situation of the end of the feudal times. Especially, as we examined through Ten Articles for Memory, Jinmyeong showed conservative character mixed with Confucian view and modern view of women. But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Jinmyeong deserves to be rated high that it met needs of the times and took an active part by building up its firm position in the situation of historical condition standing for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contrary to this, maintenance of nationalism. In addition, study about Jinmyeong Women's Association based on concrete and positive data is our problem awaiting to be solved through continuous examination. ;최근 사회운동의 각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여성운동의 본원적 출발점은 '개화기'라고 할 수 있다. 1898년「贊襄會」창설을 계기로 시작된 근대여성운동은 일반 대중 여성의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 꾸준히 계몽활동을 전개하였다. 많은 여성단체들은 민간인 중심의 사립여학교 설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근대사회로의 전환에 부응코자 미신타파와 구습의 개혁 그리고 여성의 생활환경을 개혁하여 자유로운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기술교육을 통한 여성의 경제적 자립 등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던 당시의 많은 여성단체들은 두 가지의 커다란 한계를 갖고 있었다. 하나는 단체의 조직과 활동이 남성의 주도에 이끌렸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식민지 조국의 현실에 친일적 입장으로 변질되는 경향을 띠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들에 의해 조직되고 여성들에 의해 운영된 최초의 여성단체이자, 민족주의적 성향을 견지하였던 여성운동단체가 바로 進明婦人會이며, 본고는 이 進明婦人會에 대한 실증적 고찰과 함께, 進明婦人會가 한국 여성운동사적 맥락과 근대화 과정에서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進明婦人會는 여성계몽을 표방하여 여성의 경제적 자립운동, 의복개량, 미신타파 등과 같은 여성운동을 전개함으로 근대화 과정에서 요구되어지는 제반 활동들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進明婦人會는 당시 남성의 지도 하에 운영되었던 많은 여성단체들과는 달리 여성들에 의해 독자적으로 조직되었고 여성들 스스로에 의해 운영된 최초의 여성단체였다는 점에서 여성운동사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進明婦人會는 조선의 식민지화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國債報償運動을 주도하고 자강론에 입각하여 민족교육운동을 전개하는 등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부터 꿋꿋하게 민족주의적 입장을 확고하게 견지하고자 하였다는 점에도 큰 역사적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봉건 말기라는 시대적인 한계성으로 인해 進明婦人會 또한 봉건적 한계성을 노정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銘心十條'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같이 유교적 여성관과 근대적 여성관이 혼재되어 있는 보수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進明婦人會가 근대화와 민족주의의 견지라는 일면 상반되는 역사적 조건과 상황 가운데에서도 시대적 요구에 충실하면서도 올바르게 자신들의 위상을 정치시키고 당당하게 활동해 나갔다는 점에서 이 단체의 역사적 의의가 높게 평가될 근거가 충분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본 연구자의 부족함으로 인해 충분히 제시되지 못한 進明婦人會에 대한 구체적 실증자료들을 통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루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