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Macpherson의 理論을 中心한 民主主義類型에 關한 硏究

Title
Macpherson의 理論을 中心한 民主主義類型에 關한 硏究
Authors
崔和子.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Macpherson민주주의한국헌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Democracy is deemed as a universal political system in these days. However, there is a good deal of muddle about democracy. The muddle about democracy is due to a genuine confusion as to what democracy is supposed to be about. For the word democracy has changed its meaning more than once, and in more than one direction. 2. For a pretty long time democracy has been equated with Western liberal-democracy. Bu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certain facts that the non-liberal systems which prevail in Soviet countries and the somewhat different non-liberal systems of most of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of Asia and Africa are claiming to the title democracy. It is also acknowledged that liberal-democracy is found in countries whose economic system is wholly or predominantly that of capitalist enterprise. And, with few and mostly temporary exemption, every capitalist country has liberal-democratic political system. However, even in Western societies the democratic franchise was not installed until after the liberal society and liberal state were firmly established. Democracy came as a top dressing. 3. Every one recognizes that new world has emerged in Africa and Asia in our time. The notion of democracy that has emerged i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is closer to the original notion, government by or for the common people, by or for the hitherto opressed classes. It had not been transformed by liberal-individualism, nor made over on the definite class pattern of Marxism. There are two factors present in revolutions which prevail in newly-independent countries. One is the need to accumulate large amounts of capital for economic development. There must therefor be a painful, long period of accumulation of capital and of productive skills. The other factor is the need to create a pervasive loyalty to the nation rather than to the tribe, the ethnic community of the local community. For all these reasons The prevalance of strong political in those countries is irresistible in some degrees. 4.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one of new y-independent countries since World War Two. Having experienced years of trial and error, Korea started new political life on October, 1972 which is called October Regenerating. And when, finally, her goal is not only to attain independence defending Communists agression from north but thereafter to modernize the society, and raise very substantially the level of material productivity, strong and stable political leadership is essential. There is a saying that "a skilled shoe-maker is the final judge on how to repair a shoe which does not fit well, but the man who wears the shoe knows best whether it fits well ornot". It is likewise the general public, although they are not experts on politics or economics, that is in the position to judge finally whether the country is moving ahead and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for the general public to be able to make such judgement, freedom for unhindered hearing and speech for the people should be guaranteed.;오늘날 民主主義는 人類普遍의 統治原理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不拘하고 民主主義란 무엇인가 할 때 너무나 相異하고 심지어는 反對되는 槪念이 提示되고 있는 것이 現狀이다. 民主主義에 대해서 본래부터 그의 定義에 관해 異論이 많았던 것인데 특히 이른바 10月 維新으로 現憲法이 制定되면서부터 우리 나라에서는 그 民主主義에 대한 論爭이 더욱 격열하게 展開되고 있음은 우리가 日常으로 목격하는 바다. 本人은 우리의 現行憲法을 中心으로 한 民主主義에 관해 硏究해 볼 흥미와 必要性을 느끼게된 것은 바로 위에 지적한 바와 같은 事情을 背景으로 하고 있다. 論文의 焦點을 現行憲法上의 民主主義에 두기는 하였으나 民主主義 그 自體의 理論과 制度의 참다운 理解를 알기 위해서는 民主主義에 대한 新舊理論 및 그의 現實制度上의 변천과정을 더듬어 보지 않을 수 없기에 論文의 幅은 자연히 民主主義의 發詳地로 評價되는 古代 희랍에 있어서의 民主主義로부터 시작하여 西洋에 있어서의 展開發展 및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발자취를 더듬어 보는 것에까지 이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 결과 民主主義란 본래 西洋에서 발전된 것이지만 오늘에 있어서는 全世界的인 制度로 보편화하고 있는 동시에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理念이나 制度에는 여러 가지 類型이 구분되고 있음을 發見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民主主義의 여러 類型을 區分하고 그의 特徵을 살펴봄에 있어서는 Macpherson의 著書(The real world of democracy)가 많은 도움을 주었다. 大韓民國의 建國以來 우리는 民主主義의 原則에 따라 憲法을 制定하고 그것을 實踐하고저 노력해 왔다. 그러나 民主主義에 대한 깊은 知識이나 經驗이 없던 우리로서는 그간 너무나 많은 試鍊과 試行錯誤를 거듭한 끝에 이른바 10月維新을 契機로 종래의 憲法 내지는 民主主義와는 相異한 類型의 統治體制를 가지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維新體制라고 불려지고 있는 現統治體制에서는 그것을 우리 現實에 맞는 民主主義 즉 韓國的 民主主義라고 하여 美化하는 側이 있는가 하면 反對로 그것은 사이비 民主主義이니 하루속히 철폐되어야 한다는 主張이 맞서고 있음은 周知하는 바와 같다. 現行憲法上의 民主主義에 관한 이와같은 兩論을 살펴볼때 兩側에 各己 肯定的인 面과 否定 내지 修正을 要하는 面이 있음이 사실이다. 이것은 世上의 眞理, 그 중에서도 政治的 眞理는 相對的 가치밖에 가질 수 없다고 보는 本人의 世界觀에서 울어나는 당연한 귀결이라고 하겠다. 相對的 가치밖에 지니지 않는다고 보는 그들 政治的 主張가운데 궁극적으로 어느것이 正當性을 지니는가 하는 것은 主權者인 國民이 多數決로써 決定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