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淑姬.-
dc.creator朴淑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5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556-
dc.description.abstractKorean educational broadcasting is about 20 years old having begun in 1951 after the Korea War. The first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a radio school program for teachers which was programmed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it was not effective, so educators cooperated and organized "The Korean Educational Broadcasting Association" on December 26, 1955. Korean educational broadcasting carried educational programs without any support since May 4, 1956. Then also,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very important as a matter of fact, educational broadcasting had a curriculum which very much the same as it is nowadays.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socialogy, it was most meaningful that educational broadcasting began spontaneously by the impetus of the teachers. Later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controlled by the Seoul Board of Education and programs were produced by KBS. In 1962, The Idnistry of Cultural Information discontinued radio school broadcasting owing to the fact that there were few listners and insufficient equipment. In 1963, radio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revived by a governmental decree. Educational broadcasting in television was started on May 15, 1969. But, after four years, it was discontinued again. Educational broadcasting began to have a greater effect on education and was in need of school curriculum. But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continue educational broadcasting in our country. It was discontinued because there were few listeners, a lack of funds, a lack of an independent broadcasting company, and administrative problems, etc. Administrative problems were very important because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problems were : 1. The administration's bureaucratic self righteousness. 2. Operationally, especially the problem of cooperation, that is problems which occur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al Information. 3. An administrative system which lacks of integrated work. 4. A lack of a precise response measurement and handling of feedback. 5. A lack of specialists in the field educational broadcasting. In 197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was established. KEDI which has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now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method of research, with a variety of possible methods being tested. In the same year, the Korean Junior College of Air and Correspondence was established and in 1974, The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was founded for students who could not come to the school. In the future, we expect KEDI to bring about improvements in educational broadcasting. Some of the requirements involve : 1. A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KEDI. 2. Sufficient research and feedback into the problems involved. 3.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educational broadcasting through suggestions by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broadcasting. 4. An attempt to integrate the efforts of educational broadcasting through the government backing.;한국 교육방송의 역사는 20년을 前後하고 있다. 戰後 1951년 문교부에서 실시한 “라디오학교”라는 이름으로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방송이 우리나라 최초의 교육방송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곧 實效를 거두지 못하자 일선교육자들은 교육방송에 대한 뜻을모아 1955년 12월 26일 “한국교육방송협회”를 결성했다. 그리고 1956년 5월 4일부터 외부의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하고 獨自的인 힘으로 교육방송을 이끌어 나왔다. 당시 교육방송은 교과과정에 맞는 오늘날과 같은 학교방송이라는 점도 중요하지만 교육사회학적 견지에서 보면 하향식의 형태가 아니라 교사들 자신의 자발적인 힘에 의해 시작한 자발적인 점에 의의가 크다 하겠다. 그후 서울시 교육위원회의 주관으로 이관되어 KBS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했는데, 1962년 문화공보부에서는 청취율이 낮고 현재의 시설로는 도저히 청취불능이라는 점을 들어 라디오 학교방송을 중단하게 되었다. 그후 1963년 정부의 특명에 의해 다시 부활되어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다. TV학교방송은 국내의 관심이 높아져 1969년에 시작되었으나 만4년만에 다시 중단되었다. 교육방송이 교육의 효과를 증대하고 교육현장에서 절대적인 필요를 느끼고 있으면서도 이와같이 우리나라에서의 토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포되어 있다. 방송이 중단될 때마다 表面的인 요인들은 시청율이 낮다, 예산이 부족하다, 독립된 방송국이 없다, 행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등을 들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교육방송이 행정기관에 의해 관장되고 있는 경우엔 행정적인 문제점들이 무엇보다 큰 요인이 된다. 행정적인 문제점들은, 1. 행정면의 우위성과 독주성 2. 시행상에 있어서, 특히 협력구조상의 문제 즉 문공부와 문교부의 2원조직에서 일어나는 문제들, 3. 일관성이 없는 행정체계. 4. 정확한 반응측정, Feedback 처리가 잘 되지 못하고 있다. 5. 전문요원이 부족하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1972년 교육방송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주는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발족되었다. 국가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KEDI는 새로운 교수체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차에 걸쳐 거듭하고 있는데, 이에 교육방송을 그 한 방법으로 채택하는 것이다. 1972년 방송통신대학이 세워졌으며 1974년엔 미진학 학생을 위한 방송통신고교도 설립되었다. 앞으로 KEDI에서는 지금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교육방송을 주관하게되어 교육방송의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오리라 기대한다. KEDI는 지금까지의 시행착오를 다시 거듭하지 않기 위해서는, 1. 일선교사들과 깊은 유대관계를 가지고 교육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에 유의하고, 2. 충분한 연구와 반응측정, Feedback 처리에 신중을 기하고, 3. 교육방송분야의 전문가들의 많은 協助를 얻어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방송을 시도하고, 4. 국가의 적극적인 뒷받침으로 일관성있고 체계있는 교육방송을 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緖論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교육방송의 시대적인 구분 = 4 A. 1951년∼1955년 = 4 B. 1956년∼1962년 = 4 C. 1963년∼1968년 = 7 D. 1969년∼1971년 = 9 E. 1972년 = 12 F. 1973년 이후 = 15 Ⅲ. 교육방송의 사회적관점에서 고찰 = 18 A. 1951년∼1955년 = 18 B. 1956년∼1962년 = 19 C. 1963년∼1968년 = 24 D. 1969년∼1971년 = 28 E. 1972년 = 33 F. 1973년 이후 = 36 Ⅳ. 교육방송의 행정적 관점에서 고찰 = 39 Ⅴ. 외국의 교육방송과의 비교학적인 분석 = 45 Ⅵ. 결론 = 58 참고문헌 = 62 ABSTRACT = 63 부록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39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우리나라-
dc.subject교육방송-
dc.subject시청각교육학-
dc.title우리나라 敎育放送의 歷史的인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AL BROADCASTING-
dc.format.page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시청각교육과-
dc.date.awarded197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