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미애-
dc.creator송미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사들의 발달에 적합한 임상장학을 원내 자율장학으로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적용한 장학요원의 전략에 따라 장학의 각 단계가 어떻게 진행되고 변화되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장학요원의 관점에서 임상장학의 현장 적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장학 모형에 따른 원내 임상장학의 운영과정은 어떠한가? 2. 임상장학의 과정에 적용한 장학요원의 장학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 S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총 6명으로, 장학대상교사는 5명이며, 장학요원은 원감으로 재직 중인 교사 1명이었다. S유치원은 총 5학급으로 각 반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모두가 장학 대상이었다. 임상장학을 실시한 기간은 2002년 8월 19일부터 10월 23일까지 약 10주간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임상장학의 구체적 진행을 위해 Reiman & Thies-sprinthall (1998)이 제시한 장학의 8단계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비참여관찰, 교사면접, 교사와 장학요원 및 연구자의 기록, 문서수집, 기타기록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전사 후, 각 교사별로 장학의 단계에 따라 통합하여 재분류하였고, 분류된 자료들은 내용 분석을 통해 범주에 따라 해석하는 절차를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임상장학을 원내자율장학으로 실시하였으며 Reiman & Thies-sprinthall(1998)의 모형을 기초로 하였다. 장학의 과정은 지식 습득, 계획 수립 및 실행, 사전협의회, 수업 참관, 교수·학습과정 분석, 사후협의회, 다음 장학 계획 수립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1단계인 관계형성단계는 실시하지 않았다. 각 단계는 제시된 순서에 따라 순환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그러나 임상장학 과정의 일부는 장학의 진행 상황에서 장학요원의 판단에 따라 각 단계들과 이에 포함된 과정들이 확장, 통합, 축소, 생략되는 조절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었다. 둘째, 임상장학 모형에 기초하여 원내 임상장학을 진행한 결과, 교사의 발달 수준은 장학의 과정에 지속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장학의 과정이 변형되었고 장학요원의 장학 방법에도 차이가 있었다. 장학요원은 교사의 발달 수준에 적절하게 장학의 유형을 결정하였다. 발달수준이 낮은 교사에게는 지시적 장학유형을, 발달수준이 높은 교사에게는 상호협력적 장학 유형을, 중간 수준의 교사에게는 지시적 장학유형과 상호협력적 장학유형을 함께 적용하였다. 장학요원의 장학방법으로는 이론자료, 시범, 연습, 피드백, 유아 관찰과 분석, 관찰 및 분석도구, 저널, 자기 수업 녹화의 8가지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이 방법들은 3단계의 연습과정에서 집중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장학의 전반적인 과정에서도 적용되어졌다. 또한 교사의 발달수준에 따라 같은 요소라도 적용을 달리 하였다. 발달 수준이 높은 교사의 경우는 교사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협의의 주도권을 보다 교사에게 두었다. 이론자료나 유아 관찰과 분석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시범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었다. 발달수준이 낮은 교사의 경우는 직접적인 지원과 격려 등을 통해 교사의 자신감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에게는 시범, 연습, 피드백 등의 방법을 중점으로 하여 장학요원의 구체적인 안내와 함께 확대하거나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 중간 수준의 발달 특성을 보이는 교사의 경우는 상호 협력적인 장학을 실시하다가 문제의 초점을 찾지 못하거나 실제 적용에 한계를 가질 때 장학의 구조화 정도와 방법을 달리하여 장학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은 장학의 과정에 참여하여 장학의 목표를 달성하고 교수·학습 기술을 향상시킴으로써 장학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자신감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eek a plan for field applic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from the viewpoint of supervisor by conducting the clinical supervision suitable for teacher development in form of preschool self supervision and according to supervising method applied by supervisor in the course of clinical supervision analyzing the progress and change of each supervision step.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operation of preschool clinical supervision according to clinical supervision model? 2. How about the supervising method applied by supervisor in the course of clinical supervi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teachers engaged in S preschool located in Cheongju-shi, Chungcheongbuk-do, and 5 of them were those subject to supervision and the remaining one was supervising teacher. S preschool was composed of 5 classes, and each class teacher was subject to supervision. The period for clinical supervision was approximate 10 weeks from Aug. 19 to Oct. 23, 2002. In this study, the 8-step model suggested by Reiman & Thies-sprinthall (1998) was applied for the embodiment of clinical supervision. For this study, data of non-participating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 records on the teachers, supervisor and researcher, and other documents and records were collected. Such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by the researcher, and integrated and reclassified according to each supervision step by teachers, and then such reclassified data were analyzed by catego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inical supervision was conducted in form of preschool self supervision based on the model proposed by Reiman & Thies-sprinthall (1998). The supervision process consisted of knowledge acquisi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lan, preliminary discussion, class visiting, analysis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post discussion, and establishment of next supervision plan in order. Relationship building of the first step, however, was not conducted. Each step was made it a rule to be circularly advanced by the suggested order. But, part of the clinical supervision was progressed through the coordination processes of expansion, integration, reduction and omission of each step and related processes at supervisor's discretion in the course of supervision. Second, as a result of preschool clinical supervision based on the clinical supervision model, the developmental level of each teacher has had much effect on the supervision processes continuously. According to this, the supervision processes were changed and the supervisor's supervising methods became different. The supervisor decided supervision mod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each teacher. Directive supervision was applied to the teachers with lower development levels, collaborative supervision was applied to the teachers with higher development levels, and both the modes were applied to the teachers with moderate development levels. As supervisor's supervising means, theoretical data, demonstration, exercise, feedback, child observation and analysis, observation and analysis tools, journal, and recording of the teacher's class were frequently used in order. Here, exercise, the third step was intensively used, however, it was applied to the general supervision process. Also, they, despite same elements, were differently appli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teacher. For the teachers with higher developmental levels, the initiative of discussion was more taken to them so that they could establish a goal and solve a problem for themselves. The theoretical data or the child observation and analysis were mainly applied and sometimes the demonstration was omitted. For the teachers with lower developmental levels, efforts were made to raise their confidence by directly supporting and encouraging them. For them, focused on the means of demonstration, exercise, and feedback, they were expanded or repeatedly conducted alongside of the concrete introduction by supervisor. To the teacher with moderate developmental level, first, collaborative supervision was applied, and if any focus could not be found or it had limitations in actual application,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supervision were changed. This study could be a momentum in that teachers could achieve the goal of supervision by participating in the supervision process and remove the rejection of supervision and raise their confidence by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techn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임상장학 = 5 1. 임상장학의 기초 이론 = 5 2. 임상장학의 모형 = 7 B. 장학요원과 교사 = 11 1. 성인학습자로서의 교사 = 11 2. 교사를 발달시키는 장학요원 = 15 C. 임상장학모형의 적용 = 17 1. 임상장학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 2. 임상장학의 과정에 적용한 장학요원의 장학방법 = 20 D. 관련연구 = 22 Ⅲ. 연구방법 = 24 A. 사례 연구 방법 = 24 B. 연구대상 = 25 1. 연구대상 = 25 2. S 유치원의 특성 = 26 C. 연구절차 = 29 D. 자료분석 =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6 A. 교사별 임상장학 운영 사례 = 36 1. 교사 A = 38 2. 교사 B = 40 3. 교사 C = 42 4. 교사 D = 44 5. 교사 E = 46 B. 임상장학의 과정에 적용한 장학요원의 장학방법 = 48 Ⅴ. 논의 및 결론 = 73 A. 논의 = 73 B. 결론 및 제언 = 80 참고문헌 = 84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7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임상장학 모형에 기초한 원내임상장학의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