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역사교육에서 사이버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Title
역사교육에서 사이버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Authors
호정훈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21st century is a time of information, globalization and opening. In this trend, there has been a big change in the quantity of education informationization for the students. But now it is time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rather than the quantity. As we look into the 7th education course, we can see that the aim of it is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to adapt oneself well in the informationized society. For this, it is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a healthy humanism, and also foster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respecting the student's interest, needs and ability. In this social trend, an evaluation of the educative effect of linking the cyber-space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history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acher herself developed an online learning program for online studying and analysis of the interest and accomplishment of the individual student to see how effective can this type of education can be, and see if it is possible to be realized in the real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has been made by a sample of 70 students from 4 classes of the 3rd grade in Y girls'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located in Joongrang district, Seoul. The study was made in the following process. For the 1st step, discussed about the theories of cyber education, and analyzed previous cases and studies. For the 2nd step, for the design of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a survey has made to analyze the environment of the student. For the 3rd step, based on the analysis from the previous steps, a model for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was developed and carried out for 12 weeks. For the 4th step, 2 types of a 2nd survey was done after the test operation of the program, One with the students about the program itself, and another with the teachers about the reputation. For the 5th step, there were two test of the same degree of difficulty on different chapters. One chapter which online education was applied and another which conventional class education was done.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was evaluated based on the percent of correct answers for comparatively analysis. The result was as the followings. 1st,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showed a very affirmative change in fields of accomplishment such as the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2nd,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promoted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s of the student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in class for realiz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3rd, by the teacher herself making and operating the cyber education, this solves the problem of lack of affe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is can be a teaching-and learning tool which can realize the merits of both the face to face education and cyber education. 4th,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can complements the problems such as deviation of learning or lack of understandings through the internet. 5th,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itself demands ability of a high level and ti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But, if the contents are well developed. it can be easily applied as a data for achievement evaluation, and maybe used as a reference at class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The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applying cyber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model for getting out of the one-side grinding for an active and self leading learning model focused on the student.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and tests on a subject of a larger number of students. And a model best for each school or grade should be systematically developed. Also, for the maximization of the educative effect, improvement of the condition of the fields and system is very needed so that teachers can work together for construc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flexible operation of the program.;21C는 정보화·세계화·개방화 시대이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학교 현장과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교육정보화는 양적인 측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제 양적인 보급에서 벗어나 질적인 도약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이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정보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상의 육성을 목표로, 학생들의 건전한 인성 발달을 도모하고, 그들의 흥미·요구·능력을 존중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요즘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가장 흥미 있어 하는 사이버공간을 역사과 교수-학습 활동에 접목시켰을 때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사가 직접 사이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한 역사학습을 진행하고 실시 전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이러한 수업방법의 적용이 역사 학습에 얼마나 효과적이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소재의 Y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3학년 4개 학급 70여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학습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둘째,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의 설계를 위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1차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환경을 분석하였다. 셋째, 위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12주간 적용하였다. 넷째, 실험 기간 종료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학습에 관해 2차 설문 조사를, 교사들을 대상으로 평판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다섯째, 실험반 내에서 전통적 수업을 한 단원과 사이버 학습을 활용하여 수업을 한 단원에 대해 동일한 난이도를 지닌 문항들을 토대로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고, 평가문항의 정답률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은 학생들의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의 학업성취도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다. 둘째,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은 학생들의 역사교과와 역사 수업시간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증진시켜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교사가 직접 제작하고 운영하는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은, 기존의 인터넷 사이버 학습 사이트를 통한 학습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정의적 측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면대면 교육의 장점과 시공을 초월한 사이버 학습의 장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넷째,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은 학습일탈이나 이해부족 등의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한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다섯째,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은 모형 개발에 교사의 시간과 노력이 크게 요구된다. 그러나 학습 컨텐츠를 구축해 놓으면, 수행 평가 자료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정과 보완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역사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은 종래의 교과서 위주의 주입식 수업에서 탈피하여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이며 자기 주도적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서 역사 교과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는 좀 더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각 학교급별 특정 상황이나 수준에 맞는 모형들을 체계적으로 개발해 나가야 한다. 또한 여러 교사들이 협동 작업을 통하여 학습 컨텐츠를 구축하고, 현장 교사는 이를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육현장의 여건과 제도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