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중학생들의 학교생활간의 관계

Title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중학생들의 학교생활간의 관계
Authors
최숙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중학생들의 학교생활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된 무기력, 학교생활 적응도를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수도권의 5개 중학교(남녀 공학 3개교, 남학교 1개교, 여학교 1개교)에서 담임을 맡고 있는 148명의 교사들과 교사효능감 수준(상, 중, 하)에 따라 분류한 집단에서 무선표집한 38명 담임교사의 학급학생 1,45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문제와 그에 따른 조사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자신의 교사로서의 효능감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배경변인별(성별, 연령, 경력, 학교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5개 학교의 148명 담임교사들은 자신의 교사효능감에 대해 약간 긍정적(M=3.72)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남교사(M=3.92)가 여교사(M=3.67)에 비해 교사로서의 효능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교사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효능감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된 무기력 및 학교생활 적응도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며, 이들에 대한 배경 변인별 차이 및 상호 관련성은 어떠한가를 알아본 결과, 중학생들은 자신의 학교생활에 대해 중간 이하의 평균치를 보여 학교생활 만족도가 다소 낮은 편이었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중학생들의 학교생활과 별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다음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담임교사와 중학생들은 각각 자신에 대한 효능감과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보통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나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국내 중학교의 경우는 교육상황 속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에 대해 훨씬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생활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현상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중학교의 담임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실태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간의 올바른 관계 정립을 위해 필요한 요소인 교사효능감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students' school life in the middle schools. For the present study,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students' school life,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ed helpless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were measured. Subjects were 148 class teachers at five middle schools (3 coeds, 1 boys', 1 gir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1,459 students in the classes of 38 teachers, who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e 148 teacher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teacher efficacy(8 high, 22 middle, 8 low). The questions brought up in this study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as perceived by class teachers in middle schools? Does teacher efficacy level differ according to the teacher's gender, teaching career, and employed school? The 148 class teachers surveyed perceived their teacher efficacy (M=3.72) to be slightly above the median(3.5), and teacher efficacy of male teachers (M=3.92)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M=3.67). The efficacy showed rising trend with teacher's teaching career. Second, what is the school life (represented by three sub-factors: academic self-efficacy, learned helpless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three sub-factors? Does the student's school life differ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der, grade, and school? The level of school life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slightly below the median, and male students perceived school life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did.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showed decreasing trend with the students' grade. Thir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school life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Class teacher's teacher efficacy turned out to have no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class students' school lif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s described above have following significances. Whil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teacher efficacy and school life level to be around median, respectively, teacher efficacy turned out to have no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tudents' school life, revealing the present Korean middle school situation, in which produ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rarely possible. It also turned out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 their school life more negatively than male students do, and students perceive school life as increasingly negative as they advance to higher grades. In summary,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alysis data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ers' efficacy level, students' school life, and communication between class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resent Korean middle schools, and raises the need for the extensive and incessant research on teacher efficacy,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the produc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