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패널식 토론을 활용한 역사과 학습지도 모형 개발 연구

Title
패널식 토론을 활용한 역사과 학습지도 모형 개발 연구
Authors
조한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역사교육은 우리 사회가 걸어온 길과 핵심 가치를 알게 하고 현재 우리가 당면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며 민주시민의 기본적 교양의 전제조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역사 교과를 암기할 것이 많은 지루한 교과로 인식하고 흥미를 별로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 현 역사교육의 문제점이다. 본 연구는 역사교육의 목표인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 학생들의 역사교과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키며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지도 방안으로 패널식 토론을 활용한 역사과 학습지도 모형을 제안하였다. 토론학습은 교사와 학생간, 학생과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기초로 한 토론을 통해 학생 자신이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성과를 스스로 발견하여 알게 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교수-학습 자료에 대해 보다 철저히 이해하게 되고 관점이 확장되며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와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토론을 활용한 학습지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역사교육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방법으로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안된 패널식 토론 학습지도 모형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가능하며 역사적 사고력 신장 등 역사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평가 및 설문결과의 통계적 실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J중학교 3학년 11개 학급 366명을 대상으로 토론 학습을 진행하는 실험반과 토론 학습을 하지 않는 비교반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패널식 토론 학습은 국사 VII. 개화와 자주 운동 단원에서 상반되는 입장으로 대립되는 3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개항에 대한 찬, 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개화파와 척사파가 개항과 개화 정책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옳다고 주장하고 청중이 함께 이에 대해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토론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토론 학습 진행 후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과 설문을 통해 토론 학습지도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학습지도 모형과 평가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의 현직 역사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식 토론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이 신장되었다. 학생들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의의와 공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판단력과 같은 고등 사고능력이 신장되었다. 둘째, 패널식 토론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역사 지식을 살아있는 지식으로 인식하며 자신에게 도움을 주는 흥미로운 교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토론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신장되었다. 토론 학습을 한 실험반의 학생들이 토론을 하지 않은 반 학생들보다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넷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었다. 학생들은 토론 준비 과정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설문에 응한 현직 역사교사들은 제시된 토론 학습 모형이 실제 역사교육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며 역사적 사고력과 학업성취도,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요약하면, 토론을 활용한 역사과 학습지도 모형이 교육현장에 실제 적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고력 신장,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함양, 학업 성취도 증진 및 흥미유발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e of the most prominent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in Korea is that textbook-oriented teaching and memorization-oriented learning does not stimulate student interest,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the goals of history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a panel-debate model of history education that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improves their ability to perceive history and critically develops their ability for self-study. In this model, students find and achieve the class objectives for themselve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 groups, and through group study to prepare for debate and through debate and communication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Debate and discussion on clearly defined issues in the class lead students to completely understand related materials, to establish their own well-organized views on those issues while being able to understand different perspectives. The depth and breadth of critical thinking will improve greatly through this process. Despite of the merits of the panel-debate model, this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has not been popular in Korea. Moreover, in history education, this has been recognized as unmanageable or impossible.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suggested panel-debate model can be practiced very easily and we can achieve the education objective very effectively using the model in history classes. Results of tests and questionnaires strongly support this argument. The empirical framework for measuring the effect of discussions on students' performance is designed as follows. The 366 students of 11 classes (3rd graders) of J middles school in Seoul region are studied.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experimental class used panel discussions when each chapter of history text was finished and summarized. Panel debate is organized with two groups that adopt contrasting views on the same issue for example, one group represents advocates of the open-door policy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other representing the closed-door policy and the two groups debate with each other on the pros and cons of their respective policies. Three topics of Chapter 4 of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are tested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debate model on student performance (enhancement in historical thinking). Student performance was tested by two normal exams (mid-term and final exams) and one subjective exam. The validity and reasonability of all the problems are evaluated by questionnaires answered by history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basic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 ability in historical thinking clearly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ebate into classrooms. Their understanding on historical facts and consequences and the effects of historical events deepened, and their ability to apply historical lessons to the present increased, for example, understanding why some historical periods and events have significance and resonance for them. It is unquestionable that the debate factor contributes to student development of a higher-level thinking such as judgment. Second, discussion leads students to have stronger motivation for studies than before and to regard historical knowledge as useful and applicable. Third, students participating in panel debate class records better performance than before and than those who do not. Forth, self-studying ability is clearly increased. This is mainly due to excellent motivation for learning and thorough reviews on various aspects of historical facts. Fifth, in a questionnaire, history teachers evaluated the panel-debate model as being practiced easily in classrooms to improve student scholastic achievement, historical thinking and self-studying ability.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debate model is highly manageable and develops historical and high-level thinking to enhance the ability for self-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