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高校生의 知覺向性과 高校生活 效率性과의 關係分析

Title
高校生의 知覺向性과 高校生活 效率性과의 關係分析
Other Titles
(A) Study of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ual Orien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Human Relationship
Authors
呂錦鉉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고교생지각향성고교생활효율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efficiency measurements(school achievement, human relation with peers, human relation with teachers, school club participation and future prospect) of high school students can be measured in the light of the perceptual orientation. This study introduced the method of the perception psychology and, as a basic concept, "self as an instrument," and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five factor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s performed a questionnaire inquire to 119 students, 59 schoolboys and 60 schoolgirls of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CROSS TABS, T-TEST and PEARSON CORR. The conclusion from data analysis is as follows. 1.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score and school achievement. 2.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score and human relation with peers. 3.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and human relation with teachers. 4.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and school club participation. 5.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and future prospect. 6.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and framework measures. 7.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score of boys and girls. 8.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framework measures of high and low group of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Conclusion and Suggestion According to the result managing the statistics data, it can be known that there is no meaningful relation between perceptual orientation and five factors, the merit, human relation with peers, human relation with teachers, school club participation and future prospect, and therefore, that the perceptual orien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s an irrelevent demention to the factors mentioned above. It is in close connection that Seo, Bong Yeon reported in 1975 that. in high schooldays, the development curve in the formation of self identity is momentarily decented and the disproportion of lower measures is larger than that in any other periods, and therefore this phenomenon is the sign of conclusion and the high school days is the travail period i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In other words, when it is uneasy to from the self-identity, at the same time, it cannot but to be impossible to unify the perceptivity. This is a peculiality in high school periods, which doesn't prove the earlier study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perception and the efficiency professional performance. Now, the imvestigator knows it the pressing need to develop the ability that can preceive oneself and others and suggest that ano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fact of achievement effience.;본 연구는 고교생활 효율성 척도(成績, 校友關係, 敎師와의 관계, 校內活動의 참여도, 장래전망)를 知覺向性에 비추어 측정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지각심리학의 방법을 導入하여 "스스로를 道具로 삶는다"는 개념을 기본 개념으로 채택하였고 '학생용 지각 향성검사'를 이용하여 상술한 5가지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남·여 고등학교 2학년에서 무선표집으로 각 1학급씩 제한하여 여고 60명, 남고 59명, 모두 119명에게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모집된 자료는 x² - 검증, T - 검증, 상호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 資料分析을 통해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知覺向性檢査 점수와 學科目 成績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2. 知覺向性檢査 점수와 교우관계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3. 知覺向性檢査 점수와 교사와의 관계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4. 知覺向性檢査 점수와 교내활동 참여도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5. 知覺向性檢査 점수와 장래전망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6. 知覺向性검사 점수와 준거척도 종점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7. 성별에 따른 지각향성점수에 아무런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8. 知覺向性검사 점수의 상·하 집단(75%ile, 25%ile)에 따른 준거척도간에(남자, 여자, 전체)어느 것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통계자료의 처리 결과에 의하면 知覺向性과 고교생활 효율성(성적,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교내활동의 참여도, 장래전망) 사이에는 의미있는 관계가 없었으며, 고교생의 지각향성과 그들의 상술한 변인과는 전혀 무관한 차원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발견하였다. 1. 고교생의 학교교육 현장이 자신에 대해, 또는 타인에 대해 바람직한 지각을 할 수 있도록 자주적이고, 자율적인 교육 풍토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서봉연(1975)의 연구에서 고교시기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있어 陳痛期라고 보고한 것과, 통일된 지각능력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Self-Identity) 발달곡선이 고교시기에 일시적 下降現象을 보이며 下位尺度간의 불균형도 다른 시기에 비해 컸고 이러한 현상은 혼미의 한 징표로 보여진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자아정체감 형성이 불안하면 동시에 통일된 지각 능력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측정된 지각이 전문직 수행의 효율성에 깊은 관계가 있다는 종전의 연구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고교시기의 특수성이라 볼 수 있다. 3. 본연구에 사용된 도구(학생용 지각향성검사, 학생 효율성 평정 척도)는 보다 과학적인 효과를 가져오기에는 미흡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타인과 자신을 지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급선무임을 알았다. 또한 고교생활 효율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