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4 Download: 0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수윤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기질과 자아개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4개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남아 60명(51.3%), 여아 57명(48.7%), 총 117명의 유아와 그들의 교사 14명이었다. 유아의 기질 검사를 위해 Gordon(1981)의 유아용 기질 검사를 강민정(1997)이 수정ㆍ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는 Bently와 Yeatts(1974)의 'I feel.... Me feel'을 임춘금(1995)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ianta(1991)의 교사 지각용 유아-교사관계 척도를 이진숙(2001)이 수정ㆍ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의 일반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s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간의 관계 간에는 유아 기질의 하위요인인 접근-회피성, 적응성, 기분상태, 반응성 모두가 교사-유아간의 관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새로운 자극이나 상황에 긍정적 접근을 잘 하고 상황 변화에 대한 높은 적응능력이 있으며 상황에 기분 좋게 반응을 잘 하는 유아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반대로 새로운 자극을 피하고, 상황변화에 느리게 적응할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반응을 잘 하는 유아와 교사는 갈등적이고 의존적인 관계에 있었다. 한편,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유아는 교사와 갈등적이고 의존적인 관계에 있었고, 친밀감은 낮았던 반면,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는 유아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 간에는 인지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이 높은 유아가 교사와 갈등이 적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problem of child's temperament and the self-concept, and how it relates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 1. How is child's temperament related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2. How is child's self-concept related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3. How is child's temperament related to his/ her self-concept?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is 117 children (male 60/ female 57) and 14 teachers in the 4 kindergartens in Suwon, Kyonggi. For the child's temperament test, this study uses the Kang (1997)'s questionnaire based on Gordon (1987)'s. For the child's self-concept test, this study uses Leem (1995)'s modified model of Bently and Yeatts (1974)'s "I feel… Me feel."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this study uses Lee (2001)'s adapted teacher-child relations index originally made by Pianta (1991). The data analysis is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to se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and Pearson's correiation factor is us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temperament, the self-concept,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other data is analyzed by using SPSS for window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sub-factors of child's temperament (approach-withdrawal,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intensity of reaction) are meaningfully interrelated to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child who show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ew stimulus or situation, adjusts well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and reacts to the situations with less tension, keeps closeness with the teacher. Yet, the child who avoids a new stimulus, adjusts poorly to the changing situations, and ha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new circumstances, is in conflict with, or dependent on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 child who sensitively reacts to the situations is also in conflict with, or dependent on the teacher; the child who does not react sensitively keep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child's self-concept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hild who has more recognition and social self-concept is less likely to be in conflict with the teacher. Third, there are no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self-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