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현-
dc.creator김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3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3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self-concealment,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concealment among them.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is study were each 212 and 216 third-graders from six classes at S Middle School in Bucheon (Korea). For both the two groups, pre-testing and post-testing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45-minute character education was performed in a formal lesson once a week for three months (twelve times in total), while for the control group, 45-minute Chinese Character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performed with audiovisual aids once a week for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e top 30% and the bottom 30% were each extra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pretest points on self-concealment trai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was examined closely. As measuring tool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Self-esteem Inventory developed by Rogenberg (1965) and adapted by Kim Mun-ju (1984), Self-expression Scale (SES) developed by Rakos and Schroeder (1980) and adapted by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ui (1980), and Self-concealment Scale (SCS) developed by Larson and Chastain (1990) and adapted by Bong Sam-rye (1995)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character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crease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compared to that before doing so, the control group receiving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and interaction of two factor, it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i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Finally, as a result of asking the opinion about character education less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them evaluated affirmatively themselves after receiving th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lesson and the teacher in charge. As the advantag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esson, they answered, "It was helpful to realizing and understanding myself better".; "It was useful to expressing myself".; "It was of help to knowing and understanding other friends".; and "It helped me realize that I have to correct several behaviors of mine." In conclusion, the character education lesson perform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Thus, school where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should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esteem and sound self-expression among students.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can be expected by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mselves and understand others through such character education lesson. ;본 연구는 정규 수업 시간에 실시한 인성 교육의 효과 및 자기 은폐 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부천 S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 시간에 인성 교육을 실시한 후, 자아 존중감,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기 은폐 성향 사전 검사의 점수에 따라 상위 30%와 하위 30%의 학생으로 상, 하위 집단을 구성하고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라 인성 교육 수업의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인성 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개별 학교에 보급된 인성 교육 프로그램과 '청소년기를 밝고 명랑하게(삼성생명연구소)' 를 바탕으로 인성 교육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이론 및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인성 교육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 자아 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와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가 어떠한지'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부천 S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6개 반(212명)은 실험 집단으로, 6개 반(216명)은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정규 수업 시간에 인성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성 교육은 주 1회, 45분 수업으로 3개월 간에 걸쳐 총 12회가 진행되었다. 한편 통제 집단에는 주 1회, 45분 수업으로 총 12회에 걸쳐 시청각 교재를 활용하여 한문 교육 및 환경 교육을 진행하였다. 인성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Rogenberg(1965)가 개발하고 김문주(1984)가 번안한 자아 존중감 검사지, Rakos와 Schroeder(1980)가 제작한 것을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번안한 자기 표현 척도, Larson과 Chastain(1990)에 의해 개발된 것을 봉삼례(1995)가 번안한 자기 은폐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1.5 version을 이용하여 통제, 실험 집단 간 사전 검사의 동질성은 t-검증을 하였고 인성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통제 집단 간의 사후 검사 점수를 t-검증하였다.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가 어떠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 분산 분석(two-way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은 수업을 받기 전보다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이 유의미하게(p<.05) 증가하였고 한문, 환경 교육을 받은 통제 집단은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인성 교육이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른 교육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의 효과에 있어서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 및 두 요인의 상호 작용 효과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실험 집단에게 인성 교육 수업에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지에서 학생들이 인성 교육을 진행한 교사와 수업 내용 및 인성 교육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 교육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었다.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그들이 자기 표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인간 관계의 갈등과 고민들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자신과 타인을 탐색하는 기회를 갖음으로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인성 교육이 실시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요약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및 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청소년기의 특성 = 5 B. 인성 교육 = 7 C. 자기 은폐성 = 10 D. 자기 표현력 = 13 E. 자아 존중감 = 16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절차 = 21 C. 검사 도구 = 22 1. 자기 은폐성 척도 = 22 2. 자기 표현 척도 = 23 3. 자아 존중감 검사 = 24 D. 인성 교육 프로그램 내용 = 24 E. 자료 처리 = 2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7 A.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동질성 검증 = 27 B. 인성 교육 수업이 자기 은폐성에 미치는 효과 = 27 C. 인성 교육 수업이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29 D. 인성 교육 수업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30 E. 인성 교육의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른 교육 효과 = 31 F. 인성 교육 수업에 대한 평가 = 34 Ⅴ. 결론 및 제언 = 37 참고문헌 = 43 <부록 1> 설문지 = 48 <부록 2> [인성 교육 수업] 평가지 = 51 <부록 3> 인성 교육 수업 내용 = 5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78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인성 교육의 효과 및 자기 은폐 성향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