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99 Download: 0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Shared Praxis)"에 기초한 고등학교 종교 교과서 분석

Title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Shared Praxis)"에 기초한 고등학교 종교 교과서 분석
Authors
한정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또한 이들은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갈등을 느끼고, 자아정체감의 문제로 고민하며, 내면화된 종교적 가치와 현실의 모순 등으로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기독교교육의 과제는 과거로부터 전수된 신앙의 내용을 현재의 삶과 연결하여, 학생들에게 삶의 의미와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지닌 기독교학교의 종교 수업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기독교적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 종교 수업의 토대가 되고, 교육의 방향성과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바로 종교 교과서이다. 교과서의 내용은 기독교학교가 종교교육을 통해 가르치려는 목적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자료가 된다. 본 논문은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shared praxis) 이해를 기초로 현행 고등학교 종교 교과서를 종교교육과정의 목적, 구성 내용, 교육 방법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여, 새로운 교재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가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은 기독교의 이야기와 현재 삶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삶을 해석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이끌어 주는 교육이다. 따라서 정체성의 형성 시기인 고등학생을 위한 종교교육의 기초자료가 되어 준다. Ⅰ장에서는 현재 기독교학교의 종교교육이 학생들을 전인적 성숙으로 이끌지 못한다는 문제제기와 함께, 활발한 종교교육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종교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shared praxis)를 교육목적과 구성 요소, 5단계의 교수-학습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현재 기독교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종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기독교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교 교과서를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shared praxis) 이해를 기초하여 현행 종교교과서를 교육목적, 구성 내용, 교육방법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새로운 교재 개발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high school days are a period when students begin to experience a rapid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 Thus, high school students feel a conflict in the pluralized society, agonize about their self-identity, and experience a problem due to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ir internalized religious value and the reality. Therefore, the challenge which the Christian educators face under such circumstances may be to associate the religious heritage with students' real life and thereby, suggest what the life is and where it should go. In this vein, the religious education programs of the Christian high schools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help them reflect on their life and form a Christian value system. It is the religious textbooks that provide a framework for such a religious education, suggesting the direction and contents for it.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the religious textbooks are the materials which reveal the goals for the religious education of Christian school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urrent religious textbooks for Christian high schools in terms of goals, structure and pedagogic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roome's "shared praxis", and thereupon, addressing the problems to explore the ways to develop new textbooks. The Christian education pursued by "shared praxis" aims to help students interpret their life and form their value system for themselves through a linkage between Christian stories and real life. In this se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some basic data for the religious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begin to form their identitie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The first chapter raises a problem that the current religious education of the Christian high schools does not much help the students to develop their whole personality or maturity, and thereupon, suggest the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religious textbook. The second chapter provides for some criteria for analysis of the religious textbooks, and thereby, reviews Groome's "shared praxis"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mponents and 5-stage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conditions of the current religious education of the Christian high schools and thereby, describes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ent religious textbooks for the Christian high schools.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pedagogics of the current religious textbook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roome's "shared praxis", and explores the ways to develop new textbooks. The fifth chapter sums up this stud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for the religious education of the Christian high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