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혜원-
dc.creator권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3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84-
dc.description.abstract한 나라의 민주주의가 잘 실현되는가의 여부는 그 나라 시민들이 어느 정도의 민주적 자질을 가지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은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이다. 민주 시민 교육은 바로 이러한 민주적 자질을 갖춘 시민을 기르는데 주된 목적을 둔다. 중학교 시기는 자신이 속한 사회가 요구하는 행동방식과 가치 규범을 토대로 하는 기본적인 시민성과 연령에 적합한 전문적인 시민성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는 시기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중학교 학생의 민주 시민성을 측정해봄으로 해서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미래 사회의 훌륭한 시민의 기초 자질을 평가해 볼 수 있으며, 차후 민주 시민성 교육을 위한 방향 설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을 민주 시민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필요한 민주 시민의 자질을 선정하고, 경기도 일산과 분당의 신도시 지역의 중학생들의 민주 시민 의식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과 교육의 근본 목표인 민주 시민성에 대한 측정도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민주 시민 덕목을 4가지-민주주의 기본가치 인식, 민주적 질서와 절차 인식,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 실제 사회 참여-로 나누고 문항들 중에서 변별도와 내용 타당도가 높은 문항을 선별하여 총 24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조사 결과는 경우에 따라 단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여 기술하였으며,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변인별 민주 시민 의식 수준에 있어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합리적 의사 결정과 실제 사회 참여에 있어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민주 시민 의식이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고, 가정의 환경적 요인들이 학생들의 민주 시민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민주 시민 의식 수준에 있어서는, 중학생들의 전체 민주 시민 의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구체적으로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 인식과 합리적 의사 결정에 있어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민주적 질서와 절차의 인식과 사회 참여에 있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주 시민 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성별이 가장 큰 영향력을 주고 있었으며, 학년에 따른 민주 시민 의식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고, 가정의 환경요인은 형제자매관계를 제외하고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민주 시민 교육이 여학생과 남학생의 특성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제공될 때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년에 따라 민주 시민 의식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민주 시민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이라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가 실천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여러 민주 시민 의식 중에서 특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사회 참여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현재 형식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봉사 활동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환경이 학생들의 민주 시민 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는 가정에서의 민주 시민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며, 따라서 사회과에 있어서의 민주 시민 교육을 생활과 연결시켜 교육하되 가정,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quality of democracy in a democratic state is decided upon the democratic quality of its citizens, which is only learned through thorough education. Hence, democratic citizen education's first priority is to educate its citizens to be fully aware of their democratic rights and duties. During the early ages of secondary educations, citizens are firstly taught about its surrounding society, regarding its required basic manners and values. As the educational level advances, citizens are further educated about its surrounding society and its sophisticated structures. Hence, citizens in age of secondary educations are excellent resources for the democratic state to examine its citizens' basic democratic quality, which directly effect the state's decision regarding its democratic education toward its citizens. Hence, this report focus on selecting the educational standard for the citizens and, in same time, examine the democratic quality of teenager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secondary education, from Ilsan and Pundang of Kyunggi Provinc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generally suggest that there are four ele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internalization of basic democratic values: perception of democratic rules and procedures; rational decision making capabil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social issu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4 questions categorizes in to 4 virtues mentioned above. Collected data throuh the questionnaires were analised by various statistical treatment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 regarding the democratic quality of students of secondary education shows that females have more rational democratic mind and higher democratic participation in its surrounding society. As the citizen's educational level advanced, quality of his or her democratic citizenship had very little improvement. It also showed that surrounding environments of citizens, such as family or peers, had very little effect on their democratic quality. Regarding the regional tests of Kyunggi province, students of secondary education showed high knowledge of democratic citizenship, yet, had low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 test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variable in citizen's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appeared to be the gender, while their educational level or family surroundings, unless they had brothers or sisters, appeared to be ineffective. The research has suggested these points: Firstly, the democratic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standard of the education is different for male and female. Secondly, as observed in the research result, improvements in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is not shown as the citizen's educational level improve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s in secondary schools are not effective and requires thorough examination for change. Thirdly, to improve the low particip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voluntary activities, which are rarely active in current secondary education, will need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widely executed. Lastly, research result shows that citizen's surrounding such as its family environmen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in citizen's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Hence, the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 will also need to interact with education at home, in order to boost the level of citizen's democratic citize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민주 시민 교육 = 6 B. 민주 시민의 자질 = 10 III. 연구 설계 = 19 A. 선행 연구 자료의 검토 = 19 B. 연구 방법 및 절차 = 21 1. 연구 대상 = 21 2. 연구 방법 = 22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문항신뢰도 분석 = 28 B. 변인별 민주 시민 의식 분석 = 29 1. 성별 민주 시민 의식 분석 = 31 2. 학년별 민주 시민 의식 분석 = 32 3. 가정환경 요인에 따른 민주 시민 의식 분석 = 34 4. 각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 = 40 C. 영역별 민주 시민 의식 분석 = 42 1. 민주주의 기본 가치 인식 = 43 2. 민주적 질서와 절차 인식 = 44 3. 합리적 의사 결정 = 45 4. 실제 사회 참여 = 47 5. 중다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결과 = 49 D. 분석 결과에 대한 종합 논의 = 53 V. 결론 = 58 참고문헌 = 62 <부록> 【설문지】 = 67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28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