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창의성의 관점에서 본 유아 대상 학습지 분석

Title
창의성의 관점에서 본 유아 대상 학습지 분석
Authors
조영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가 창의성 계발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창의성의 개념과 증진 원리에 기초하여 학습지에 제시된 창의성 계발 활동이 학습자의 창의성 계발을 지원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학습지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지 활동이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학습자에게 어떠한 수행과 표현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학습지 활동이 학습자의 창의성 계발을 지원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에서 제시된 활동은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활동이 다루고 있는 내용은 학습자의 창의성,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계발을 지원하는 것인가? 둘째,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에서 제시된 활동은 학습자에게 어떠한 수행을 요구하고 있는가? 활동이 요구하고 있는 수행은 학습자의 창의성,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계발을 지원하는 것인가? 셋째,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에서 제시된 활동은 학습자에게 어떠한 표현을 요구하고 있는가? 활동이 요구하고 있는 표현은 학습자의 창의성,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계발을 지원하는 것인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03년 9월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만 4세에서 5세까지의 유아 대상으로 제작된 창의성 학습지 5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단위는 각 학습지에서 학습자에게 제시된‘활동’으로, 5개 학습지의 총 193개 활동(학습지 A의 61개 활동, 학습지 B의 35개 활동, 학습지 C의 17개 활동, 학습지 D의 20개 활동, 학습지 E의 60개 활동)을 분석하였다. 활동의 내용, 수행, 표현의 세 범주를 분석 준거로 설정하여 학습지 활동들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창의성,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 활동들을 분석하고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 활동들이 다루고 있는 내용은 수학적 탐구영역과‘공간관계’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영역에서의 창의성 계발 기회를 제한시켰고, 수학적 탐구영역 외 다른 영역의 창의적 잠재력을 가진 유아가 창의성을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부족하였다. 또한, 하나의 과제 안에 서로 다른 학습내용들을 통합시킨 활동들은 적었으며, 내용 간의 다양하고 융통적인 통합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학습지 활동들은 학습내용의 통합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융통성 계발의 지원이 매우 미흡하였다. 둘째,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 활동들이 요구하고 있는 수행은 짝짓기, 형태-바탕 지각하기, 꾸미기, 예측하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 수행은 대부분 보기나 단서라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요구되거나, 특정한 정답을 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학습지 활동들의 수행은 창의성 계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거나, 매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도움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학습지 활동들의 수행을 통한 창의성 계발 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나의 과제 안에서 2개의 수행을 요구한 활동들은 적었으며, 요구된 수행의 통합도 매우 순차적이고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학습지 활동들은 학습자의 유창하고 융통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는, 수행의 통합 활동 지원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 활동들이 요구하고 있는 표현은 구성물, 기호, 선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한된 표현방식들은 학습자 나름대로 적절한 표현방식을 선택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못했다. 또한 하나의 과제 안에서 2개의 표현방식을 요구한 활동들은 극히 적게 이루어졌다. 즉, 학습지 활동들은 학습자의 유창하고 융통적인 표현을 이끌어 내는, 표현의 통합 활동 지원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내용을 종합하면,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들은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지원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수준에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가 창의성 계발에 충분히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지금의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창의성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충분한 이해와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많은 한계점을 안고 있는 유아 대상 창의성 학습지에만 전적으로 의존해서는 안 되며, 창의성 계발을 위한 보다 다양하고 적절한 교육 방법들이 연구, 개발, 제공되어 이들이 협력적으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work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 First, What are the contents of children's workbooks? And do the contents promote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Second, What are the performances required in children's workbooks? And do the performances promote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Third, What are the expressions required in children's workbooks? And do the expressions promote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To investigate these issues, with the 193 activities of 5 children's work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performances, and expressions of workbook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workbooks restricted the opportunities of developing creativity in a variety of fields, and lacked the chances of promoting and discovering the children's potentials in other fields, for the contents of the workbooks were biased mainly toward th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pace perception competence'. Also, the activities integrating different contents in a single task were rarely found in most of the workbooks, and the various and flexible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contents was not made. Thus, workbook activities remained at the insufficient level unsuitable for promoting flexibility allowing children to review and approach the matters through various viewpoints. Second, most of the performances required in the workbooks were composed of matching, figure-ground perception, decorating, and prediction, etc. These performances were required mostly in a limited area such as examples or clues, or from the purpose of securing a specific answer. Due to these restrictions, workbook performances proved to be of no help or helpful in a limited scope. In addition, activities requiring plural performances in a single task were hardly found, and activities shown in the workbooks were arranged just in a sequence or in a simple pattern. Thus, workbook performances were too unsatisfactory to derive fluent and flexible responses from learners by way of integrated performances. Third, workbooks targeting children were just demanding expressions such as components, symbols, and lines. These limited ways of expressions didn't provide learners with the chances of choosing a proper way and expressing it in a creative way on his own. In conclusion, children's workbooks remained insufficient to promote their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children's workbooks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more professional and adequate resear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