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인온-
dc.creator장인온-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0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y experimentation the effects of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in the social-study class in middle school. The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affect the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school work? Second, how does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in class using affect the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school work? Third, how does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in class using affect 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schoolwork?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the study took place in S middle schoo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08 of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were took PRCA-24 test and grouped three group- communication apprehension high, low and mixing group. And 6 class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group and three cooperative learning groups. For the analysis, two-way ANOVA was used to study whether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made difference to the level of schoolwork achievement and motivatio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class using did affect to the achievement of student's work.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core of achievement among three groups. Specially, high communication apprehension group and low communication apprehension group showed mo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In other words, low communication group showed the most high scores and high communication marked minimum scor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Second, the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in class using internet did no affect to the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student's work. Though there was not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ow groups, the group which did not use the strategy showed more high scores in motivation. Third, the effect to interaction between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could be found in achievement but could not be found in motivation. High communication apprehension groups show the lowest score regardless of using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But low and mixing communication groups shows difference. Low communication apprehension groups showed higher scores when used strategy. But mixing communication groups showed higher scores when did not use the structu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학습 패러다임이 객관주의에서 구성주의로 변화하게 되면서 동료 학습자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이 더 의미 있게 여겨지고 있다(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1996). 협동학습이란 학습 상황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동등한 입장으로 참여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들끼리 상호 작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하였다(Dansereau, 1988). 이러한 취지에서 협동학습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능력을 배우게 하는 탁월한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변영계·김광휘, 2002). 협동학습은 학습 과정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대표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다. 하지만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학습 환경에서 사회 심리적 불안의 누적으로 의사소통 불안이 형성된다(McCroskey, Beatty, Kearney, & Plax, 1985)는 보고를 고려할 때 의사소통 불안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협동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교수방법, 교수시간 관리 및 평가방법을 비롯하여 학습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Dansereau의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MURDER)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과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중학교 사회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동기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실험 검증함으로써, 협동학습 전략을 설계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협동학습에서 의사 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2. 협동학습에서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의 사용은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3.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 요인과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은 학업 성취와 동기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S 중학교 2학년 6 학급, 총 10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학습자의 의사소통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cCroskey, Beatty, Kearney &, Plax(1985)의 Personal Report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을 구성하여 총 5회의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동학습 결과 중 학업 성취도 검사는 총 20문항의 5지 선다형 문항으로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동기는 Keller의 ARCS 동기 모형에 따라 개발된 검사지(The Course Interest Survey: Keller, 1995)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에서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구성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학업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영향(F(2, 102) = 3.58, p<.05)을 미쳤으나 학습 동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F(2, 102) = 3.01, p>.05)으로 나타났다.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Tukey의 사후 검사 방법으로 검증해 본 결과 이는 의사소통 불안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차이로 소재가 밝혀졌으며 의사소통 불안 상위 집단이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보다 우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협동학습에서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의 사용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 사용의 유무가 학업 성취도(t = .424, p>.05)와 동기(t = .131, p>.05) 측면 모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 요인과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은 학업 성취와 동기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학업 성취 측면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나(F(2, 102) = 3.96, p<.05) 동기 측면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F(2, 102) = .131, p>.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협동학습 = 7 1. 개념 = 7 2. 협동학습 기본 원리 = 8 3. 협동학습 모형 = 10 B. 의사소통 불안 요인 = 14 1. 의사소통 불안 요인 = 14 2. 의사소통 불안 요인과 학습 = 17 3.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효과 = 19 C.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 = 24 1. Dansereau 등의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 = 25 2. Kagan의 구조화된 협동학습 = 27 D. 관련 선행 연구 = 29 1. 의사소통 불안과 학습에 관련된 선행 연구 = 29 2.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과 관련된 선행 연구 = 3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대상 = 32 1. 연구 대상의 선정 = 32 2. 협동학습을 위한 소집단 구성 = 32 B. 연구 도구 = 34 1. 학습 과제 = 34 2.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 = 35 3. 의사소통 불안 측정 도구 = 36 4. 학습 성취도 검사 도구 = 37 5. 동기 측정 검사 도구 = 37 C. 연구 절차 = 39 1. 준비 단계 = 39 2. 협동학습 실시 단계 = 40 3. 학업 성취도와 검사 시행 = 41 4. 학습 동기 검사 시행 = 41 D. 자료분석 = 42 Ⅳ. 연구 결과 = 43 A.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의 효과 = 45 B. 의사소통불안 요인과 구조화된 협동학습에 따른 상호작용 = 47 Ⅴ. 결론 및 제언 = 49 A. 결론 및 논의 = 49 B.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 52 C. 연구의 제한점 = 55 참고문헌 = 56 부록 = 61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94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교 사회 협동학습에서 의사소통 불안 정도와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의 사용이 학업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