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민주-
dc.creator최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14-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개방화의 시대에 적합한 초등학교 영어 교육은 영어에 대한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유지하고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본 바탕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의사소통능력 향상과는 동떨어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한 방안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초등 영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다양한 영어 활동을 통하여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Posner & Rudnitsky(1980)의 교육과정 설계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절차에 요구되는 합리적 근거를 현재 초등 영어 교육에 대한 개선과 요구 내용을 학생, 교사, 학부모의 요구조사 분석을 통해서 마련하였으며, 의도한 학습 성과(ILOs)를 분석하며 학생들에게 좀더 실제 상황에 가깝고 자연스럽고 다양하게 의사소통이 일어날 수 있는 장면을 단원(unit)의 주요 과정으로 삼아 단원 설정 및 조직을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한 단원이 4차시로 구성되었으며, 학습 활동으로는 교과서 CD-ROM 활용, 실물자료(authentic materials), 비디오 시청, 내용중심 학습법(content-based learning teaching) 등을 활용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학습 활동들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한 단원마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총 4차시로 나누어 Fried-booth(1997)의 학습 단계에 따라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강남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45명을 대상으로 16차시가 8주 동안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에 영어 의사소통능력 검사 및 영어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검사 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종속(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 관찰을 통해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향상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프로젝트 일지를 통해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아동의 자기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 초등 영어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사전, 사후 비교에 있어서 프로그램 실시 집단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및 영어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기존의 교과서, CD-ROM만으로 지도한 수업방법보다 아동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관찰과 아동의 자기 평가지를 분석한 결과, 아동들의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의 영어 교육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요구에 맞게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풍부하게 하여 영어 학습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가지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Corresponding to a globalized, information-oriented, and open-door society of 21st century, it is English education in elemetary school that has to keep interest and concern about English education, and provide the basis for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English education in school connives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project-based learning elementary English program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students and its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a project-based learning English education program our students through various English activity, interest and concern about English education, positive attitude and furthermor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as an effort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program was based on Posner's model of a course design, which needed rationale of curriculum to develop curriculum. This program was set up by deliberating the results of demand survey on learners, curriculum professionals, and society. The rationale of curriculum, analysis of ILOs(Intended Learning Objectives), organization of unit could occur more natural and various to real communicative situation. In the program for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children, four units were designed. Each unit had four class-hours and selected activities for learning textbook and CD-ROM, authentic materials, watching video, content-based learning teaching and etc. These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go through the learning stages of Fried-booth(1997). The developed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45 students of 5th grade in D elemetary school, Gangnam-gu in Seoul for 16 class-hours.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s carried out communicative competence test which was tak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ove the validity of test. The resul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est and English attainment test were analyzed with t-verification using SPSS/WIN statistics program. Also, to look at the more changes of students's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qualitative observation method by teacher, self-examination method by students were used through writing project diary. After the of the program, communicative competence of students showed improvement with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by SPSS. Therefore, it showed this program was more useful for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f students than CD-ROM depended on using textbook learning. The result of teachers' qualitative observation students and students' self-examinations proves the positive change in students' overall recognition and attitudes to English class in school. This shows that the project-based learning elementary English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students, enriching interest and concern in English, and changing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posi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의사소통능력과 7차 교육과정 = 4 1. 의사소통능력 = 4 2. 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 = 11 B. 프로젝트 학습 = 14 1.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적 배경 = 14 2. 프로젝트 학습의 의미 = 16 3.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 = 18 4. 프로젝트 학습의 교수-학습 단계 = 19 C. Posner & Rudnitsky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3 D. 선행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6 A. 연구 대상 = 36 B. 연구 설계 = 37 C. 연구 절차 = 38 D.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 40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 72 A. 프로그램의 실제 = 72 B. 결과 = 88 Ⅴ. 결론 및 제언 = 102 A. 결론 = 102 B. 시사점과 제언 = 105 참고문헌 = 108 부록 = 116 ABSTRACT =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323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 적용 초등 영어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