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Title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Authors
정정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hers' ideas of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s to address in this thesis include: 1. What do mothers think of the necessity and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2. What are mothers' idea of the contents and expectation levels of math educa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3. What do mothers think of effective ways of children's learning mathematic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opinions of 285 mothers of eight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established theories in early mathematics education. It consisted of six parts: 1)general backgrounds of the mothers, 2)the current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3)the necessity and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4)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5)mothers' levels of expectation regarding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a kindergarten, and 6)effective ways of learning mathematics. There were 44 questions for the mothers to answer.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reviewed by the experts in this field before distributing to the mothers. After collecting the answers, the data was analysed with regard to the frequency, average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questions in each par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mothers have a strong belief in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y think mathematics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is important because it serves, more than anything else, as a foundation of logical thinking. The mothers also tend to think that it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confidence in mathematics and allows their children to enjoy mathematical experiences in their everyday life and to appreciate the value of mathematics. In other words, the mothers put definitional aspects of mathematics over the computational abilities to deal with numbers. However, the survey of the current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reveals that 60.78 percent of the families engage their children in learning mathematics by taking them to after-school lessons in private institutions, or by subscribing to study booklets and/or by having a math tutor visit their home. This is in sharp contrast with their responses to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y in reality prefer activities to nurture the computational abilities of their children, while saying that mathematics is important and valuable because it helps the children build the power of logical reasoning. Second, the mothers' answer to the contents and expectation level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indergartens turns out to be inconsistent not only with their answers to the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but also with what they say they consider important in the actual practices. For example, they think processes involving mathematical calculation such as counting and quantity recognition are of paramount importance, while they have less esteem in classification, ordering, experiencing basic measurements, acquiring a fundamental concept of time, and experiencing basic statistics. Moreover, the expectation level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s limited to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y can recognize. As for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y consider important, the mothers expect the levels of education far above the level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reas they expect the levels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for the rest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As Kim (2003) points out, the expectation level of Grade 1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concepts of basic statistics is lower than that in kindergartens, and thus an orderly alignment of the concepts of statistics to be taught is required It is imperative that a change of idea has to be made so that mothers' insisting on their children's advanced learning as a result of misguided passion for them would not help. Third, the mothers put parents themselves top-ranked as the best person to help you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in an answer to the questions about their idea of effective method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mothers actually depend heavily on the teachers, as 60.78 percent of the answers said that the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is carried out by the teachers.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role played by the adults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and 70.33 percent considered concrete objects the effective materials for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s for the method that they would encourage for their children to use in counting numbers, many of them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in an appropriate manner as 45.62 percent of the parents answered 'counting with fingers', while 38.69 percent chose 'counting in mi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what the mothers assume to know in theory about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and what they interact in practice with thei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수학교육의 내용과 기대수준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3. 효과적인 유아수학 학습방법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8개의 사립유치원 4, 5세반 어머니 총 28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관련 문헌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부분, 유아수학교육의 실시 현황 부분,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부분, 유아수학교육의 내용 부분,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수준 부분, 효과적인 수학 학습방법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은 후 설문지를 배부 및 수거하였고, 자료는 빈도 분석과 각 영역의 질문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도 '논리적 사고의 기초가 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를 직접 다루는 수학적 계산 능력 보다는 '논리적 사고의 기초가 된다'와 함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한다', '일상생활에서 수학적 경험을 즐기고 수학의 가치를 인식한다'등 정의적인 측면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실시하고 있는 유아수학교육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학원, 학습지, 방문교사(학습지)를 통한 수학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가정이 60.13%로 어머니들이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서 응답한 것과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즉, 유아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서는 수학이 논리적 사고력이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에 그 중요성을 둔다고 답하고, 유아들에게 주고 있는 수학교육의 실제는 수학적 계산 능력을 기르는 활동을 주로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수학교육의 내용 및 기대수준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들은 수학교육의 목적에서 응답한 내용과 실제 활동에서 인식하는 중요성과는 일관되지 않은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학교육의 내용에서 수세기와 수량인식 등 수학적 계산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분류하기와 순서 짓기,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 시간에 대한 기초개념 알기, 기초적인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에는 인식이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 수학교육 내용에 따른 기대수준은 어머니가 인식하는 수학교육의 내용에 한정되어 기대하며, 어머니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에 관해서는 유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단계까지 기대하고 있으며, 그 외의 내용에 대하여는 유치원 교육과정에 준한 수준까지를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기초적인 통계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유치원에서의 통계 내용보다 더 낮은 수준의 내용이어서 통계에 대한 단계적 개념 정립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유아 수학 학습방법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사람으로 1순위를 부모로 응답했다. 그러나 현재 실시하고 있는 유아수학교육현황에서는 교사에 의한 수학학습을 하는 비율이 60.78%로, 많은 어머니들이 교사에 의존해 수학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유아 수학교육시 가장 중요한 성인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을 해주는 역할이라고 했으며, 유아수학교육시 효과적인 교재 교구는 구체물이라고 70.33%의 어머니가 응답하였다. 수 계산시 권장하는 방법에서는 손가락으로 계산하기를 45.62%의 어머니가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많은 어머니가 유아에게 구체물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머릿속으로 계산하기'도 38.69%가 응답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