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氣質變化 敎育論'에 근거한 李珥의 兒童敎育觀 연구

Title
氣質變化 敎育論'에 근거한 李珥의 兒童敎育觀 연구
Authors
김미령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성리학(性理學)적 주기론(主氣論)에 기초하고 있는 '기질변화 교육론(氣質變化敎育論)'을 근거로 율곡 이이(李珥: 1536-1584)의 아동교육관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한 아동교육관은 주로 소아수지(小兒須知) 와 격몽요결(擊蒙要訣) 를 통해 고찰하였다. 두 저서에 나타난 아동교육의 특징은 '입지(立志)'와 '습관교육(習慣敎育)'으로 요약할 수있는데, 이는 도덕적 주체적 삶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과 교육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한 아동교육관의 교육 사상적 특징이 무엇인가? 둘째, 소아수지(小兒須知) 와 격몽요결(擊蒙要訣) 에 나타난 이이의 아동교육관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연령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가? 또한 그의 아동교육관은 어떠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제시해 주는가? 셋째,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한 아동교육관이 현대의 아동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적 아동관은 인간의 본성은 선(善)하다는 성선설(性善說)적 인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이는 이러한 긍정적 아동 이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마음을 본연성(本然性)과 기질성(氣質性)이 묘합(妙合)한 일원적(一元的) 구조로 파악하는 주기론적 인간관을 제시하였고, 유가의 이상적 인간상인 성인(聖人)이 되어 가는 과정은 기질성을 변화시키는 데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즉, 이이의 교육론은 인간의 선(善)한 본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복기성(復其性)'과 기질은 변화가 가능하다는 '교기질(矯氣質)'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기질변화 교육론'이라 하였다.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의 대전제는 이(理)의 보편성과 기(氣)의 특수성을 함축한 이통기국(理通氣局)과 인심도심도설(人心道心圖說)로 함축할 수 있다. 이는 인간마다 타고난 기질이 다른데 따른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으로, 그 핵심은 습관교육을 통한 기질변화에 있다. 이이는 이러한 '기질변화 교육론'의 방법으로 '입지(立志)'와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들어 설명하였다. 둘째, 소아수지(小兒須知) 와 격몽요결(擊蒙要訣) 에 나타난 이이의 아동기 인식은 대체로 선진유학에서부터 전해 내려온 아동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이는 아동의 신체적·정신적 미성숙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즉, 소학(小學) 교육에 들어가기 전의 소아 단계에서는 일상생활을 통한 습관교육을, 소학 교육기에서 대학 교육기에 있는 아동에게는 습관교육과 아울러 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독서(讀書) 등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따른 아동교육관이 현대 아동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의의는 습관교육에 있다는 점이다. 특히, 가소성(可塑性)이 큰 아동기 교육에 있어서 올바른 태도형성을 위한 습관교육은 도덕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하고 있는 이이의 아동교육관을 분석하면서, 인간의 교육적 완성을 위한 출발점으로서 습관교육이 중요함을 고찰하였다. 아동기의 올바른 습관교육을 바탕으로 한 지식교육은 도덕적 삶의 지표로서 그 역할을 담담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교육이 간과하고 있는 습관교육을 전통교육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이 연구는 대학입시를 위하여 지식위주의 교육에 치중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바로 이러한 점에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new light on Yulgok Lee Lee's theory on temperament change, which was built on his Jugiron, and his ensuing view of child education. Specifically, it's attempted to analyze Soasuzi and Gyeokmongyogyeol to find out how he taught about habits and Lizhi.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s view of child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n temperament change? Second, what age group of children does Yulgok target in Soasuzi and Gyeokmongyogyeol? And what type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does he present?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is view of child education for modern chil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fucian outlook on child is based on the ethical doctrine of innate goodness that regards human as fundamentally good. In addition to such a positive understanding of child, Yujok argued that there were both intrinsic nature and temperament in human nature, which is called Jugiron. He suggested that temperament should change to become a sacred person. He insisted that man should recover his or her original good nature, which is called Bokgiseong, and that it's possible to change temperament, which is called Gyogijil. In this study, such an outlook was named an educational theory based on temperament change. This theory is based on Litonggiguk and Insimdosimseol, which respectively refers to the universality of Li and the specificity of Qi. This indicated that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human temperament, and its focus is placed on inspiring good habits. Lizhi and Geukgibokrye are good ways to teach learners to form good habits. Second, in Soasuzi and Gyeokmongyogyeol, Yulgok sticked to Confucianism's positive approach to children, and presented how to teach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immaturity and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preschool stage before Sohak education isn't yet conducted, children should be educated to build up good habits in everyday life, and for children who receive Sohak and Daehak education, Geogyeong, Quinli, Yeokhang and reading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addition to habit education. Third, concern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Yulgok's view of child education based on temperament change, his attempt for education of habits shows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modern child education. His outlook on child education, which focused on the right habits and knowledge education, clearly indicates in which direction today's knowledge-based education that pursues college admission only should move in the future. Especially, habit education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to moral education, since it aims at instilling children with the right attitude toward life. The effort by this study to discuss Yulgok's view of child education that was based on temperament change in pursuit of the right habits and more perfect human beings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identifying what problems current knowledge-based education faced and finding a workable solution about tha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