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uthors
김민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described and analyzed the behavior styl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4 leaders among 5 aged children appeared in their daily work and its meaning at the children's house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Using an ethnograph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 investig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se leaders and interaction with peer group in the classroom. The unit of analysis I use was the leadership event, "any occasion in which a case of leadership is integral to the nature of the participants' interactions and their interpretive processes". Within the leadership event, I observed the leader's interaction with peer group in their daily working places(activity setting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ain questions guiding our research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most prominent behavior style in daily work of the leaders in Hanul Sarang class of the children's house?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personality of the leaders in Hanul Sarang class of the children's house?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by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leading to the understanding what is the observed through ethnographic analyse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n the basis of the symbolic interactionalism. The primary unit of analysis used is the activity setting. Activity settings are interactions characterized as goal-directed and collaborative, and by the presence of teaching, leading, initiating,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settings are composed of the elements of the context as well as by the social and cognitive aspects of the interactions. In studying leadership events as activity settings, I explored how leaders in the activity settings influence upon and interact with peer grou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children in all consisting of 17 boys and 10 girls and one teacher in the children's house. Preliminary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8th to July, 30 th, 2003 by two interview session with a teacher and eight participant observation sessions. Main observation session conducted from August, 8th to September, 24th, 2003 by nine interview sessions with a teacher and 21 participant observation sessions. Following observation session conducted 2 times from eptember 29th to September 30th, 2003. While observing and interviewing, a researcher framed transcription by using field note, record, and video taping, and then interpreted the data based on the transcrip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 surveyed the some of the documents on the kindergarten management, and collected useful information for our understanding the class management such as time schedule, socio-demographic data, and familial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as soon as they were collected. To obtain the exactness of the qualitative study, Sandelowski's(1986) four criteria, that is, credibility, fittingness, auditability, and confirmability were applied to all stages of the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leaders, named Noh, Jin, Lee and Suh, from Hanul Sarang class were emerged in the research periods. Noh and Jin were boy leaders, whereas Lee and Suh were girl leaders. Therefore, we did not find any difference in sex-ratio of these leaders in this class. Their daily work were characterized by enjoying work with other children and leading other children into the play or activity situation, actively. Especially, Noh was able to function most powerful leadership role among four leaders in this class, whereas Jin most enjoy working as a problem solver in the peer conflict situation. Lee showed the most distinguished ability to teach and to explain new situation to other children, and Suh had an initiative in the play and activity program and can organized all of situations more effectively. Therefore, we may understand that a leader has different personal inclination toward a specific leader behavior style, and followers need different leadership when they are in different situation. Because followers require all style of leadership at different point of time, we must know that leader has own inclination and then plan to meet the follower's needs for other leader behavior style. Secon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in Hanul Sarang class can be conceptualized into eight categories ; creativity, ability to lead and to command, decision-making, cooperation, communication skill, ability to understand the situation, humor sense, and capacity.( intervention skill, and comprehension.) Generally, the leaders showed the creativity which make a suggestion and a new rule or regulation for the activities, and also had a responsibility, ability to guide, lead, and keep the various play activities in the children's house. They keep the play activities going at a certain pace, and had a lot of confidence in themselves. They showed the cooperation that help and teach underskilled children, and enjoyed collaborating work with them. Additionally, they had more informations and knowledge for daily work than other children, and were more likely to share them with peer group. They also can ask permission from other peers for their participating to the play activities which they did not involve. They showed distinguished intervention skill to conflict situation or quarrel among children, as well as ability to control atmosphere using humor sense, joke, and wit for diversion. Furthermore, they can listen carefully to peer, and consider other's safety during play ; they attempted to maintain safety of members during play through giving direction and gu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 that my findings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wha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formed and how the leader can influence upon daily work and peer interaction. All of the four leaders in this study showed the two components of an interaction among peer and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us I became to know that, like adult leader, the leader among children group is influencing people and has good relationship with peer. In addition, the specific circumstance surrounding any given leadership situation will vary. Elements such as the type of activity, readiness level of the peer, and amount of task structure will have an influence on the situation, and, consequently will contribute to determine the leadership needed for the situation. However, there is a deficiency of scholarly knowledge about leadership and leadership development among children. A number of research about characteristics of leader among children's group and leadership development for children are also needed.;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또래관계에 있어서 집단을 이끄는 긍정적 리더들의 특성에 대하여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한 문화기술 적 연구 방법을 사용해 살펴보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소나무 어린이집 하늘사랑반의 긍정적 리더들은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어떻게 지내는가? 2. 소나무 어린이집 하늘사랑반의 긍정적 리더들의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유아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리더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어린이집의 교실에서 유아들의 행동양상을 참여관찰을 통한 문화기술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Y구에 위치하고 있는 구립 소나무 어린이집의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유아 27명과 교사 1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3년 7월 18일부터 9월 30일까지였으며, 본관찰은 총 21회 이루어졌다. 교사 면담은 본 관찰 기간동안 총 9회로 형식적 면담과 비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후속 관찰은 2003년 9월 29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2회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심층 면담(In-depthinterview), 현장 약기(field notes), 녹음과 비디오 테이핑을 하여 전사본을 작성하였고, 전사본과 현장 약기로 현장기록을 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린이집과 학급 운영에 관련된 문서와 관련 자료 수집은 관찰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또한 관찰을 하면서 관찰자 일지를 기록하여 연구자 스스로 반성을 하고 돌아보아 다음관찰을 위한 연구 방향을 계획하였으며 연구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자료를 수집하면서 동시에 분석을 하였다. 긍정적 리더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리더들의행동양상을 17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리더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Sandelowski(1986)의 4개 기준 즉 신뢰성(credibility), 적합성(fittingness), 논리 정연성(auditability) 및 확증성(confirmability)을 수집된 자료의 문화기술적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나무 어린이집 하늘사랑반의 27명 중 긍정적 리더의 대표적인 아이들은 노경민과 진형준(남아 2명), 이혜은과 서미현(여아 2명)등 4명으로 집약되었다. 하늘사랑반 리더들이 활동하는 전형적인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경민은 대화의 주제를 이끌어나가며 화제를 바꾼다. 또한 놀이 활동을 변화시키며 자기주장을 가지고 놀이 제안을 하고 다른 유아들을 이끌어나간다. 경민이는 외모가 준수하고, 언어, 논리·수학적 지식이 뛰어나 놀이 활동에서도 적극적이어서 다른 유아들이 함께 놀이하기를 원한다. 진형준은 또래의 어려움을 살펴 도움을 주고 다툼이나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해결사의 역할을 한다.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고 분위기를 잘 이끌어나가는 형준이는 집중력이 강해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한 가지 놀이를 시작하면 좀처럼 다른 놀이로 바꾸지 않는다. 이혜은은 또래들의 활동을 살피며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문제 상황을 침착하게 해결한다. 혜은이는 특히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해 교사나 유아와의 대화를 즐긴다. 친구들에게 자신의 물건을 빌려주고, 또래들의 감정을 고려하여 세심한 배려를 한다. 다른 유아들은 그러한 혜은이를 좋아하고 잘 따른다. 서미현은 자기 주장이 강하고 원하는 놀이를 주도한다. 그리고 또래들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도움을 주며, 다른 유아들의 놀이 상황에서 중재자의 역할을 하여 놀이 활동의 어려움을 해소한다. 또한 자신이 주도하여 시작한 활동을 마칠 때까지 친구들을 잘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둘째, 소나무 어린이집 하늘사랑반의 긍정적 리더의 특성은 리더들의 행동 특성을 설명해주는 17개의 항목을 수집하여 통솔력, 상황파악능력, 협동심, 포용력, 결단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유머감각의 8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리더의 특성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다른 유아를 배려하고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리더들에게서 나타났다. 하늘사랑반의 긍정적 리더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한 영역을 이끌어 나가고 있었으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놀이를 지휘하는 등 통솔력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정확하게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유아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자신이 시작하지 않은 놀이에 참여·개입 시에는 허가를 받고,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여 수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긍정적 리더들은 다른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유심히 관찰하여 필요시 그들에게 도움을 주며 협동심을 발휘한다. 또한 놀이 상황에서 다른 유아에게 공격을 받는 유아를 본능적으로 보호하고 실수나 잘못을 감싸주며, 다른 유아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들어주는 모습을 보인다. 리더들은 놀이 활동 시간이 길며, 승패가 있는 놀이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진취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결단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기존의 놀이를 확장시켜 다른 유아들에게 제시하거나 새로운 규칙을 만드는 등 창의력을 발휘하였다. 또한 긍정적 리더들은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소유하고 있으며 그것을 말로 표현한다.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해 다른 유아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마치 교사처럼 가르치기도 하고 설명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타당한 이유를 설명해주어 다른 유아를 이끌어 나가는 설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아울러 다른 유아들과의 놀이 상황에서 분위기를 상승시키는데 유머감각을 사용하며, 다른 유아의 기분을 상하지 않도록 재치를 발휘하여 상황을 조절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4명의 긍정적 리더들은 통솔력, 상황파악능력, 협동심, 포용력, 결단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및 유머 감각 등 리더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