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成明淑-
dc.creator成明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89-
dc.description.abstractThe family is the most functional unit of organization in human society.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interface of an adolescent mental health. Most college students in our country live with their family and depend on their parents. As society has become more modenized, the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has changed and a tension, a conflict, and emotional problems in a stress situation during the long school life. In this stressful situation, women's college students may cause a neurosis and put stress on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sources, And it may also change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The study research problems were to compare the family cohesion in women's college students group with neurosis with normal students group. The purpose was. to provide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family cohesion with women's college students with neurosis. The ultimate aim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in school mental health. Subjects were 45 students of women's college above 26 points in MMQ who were being treated for a neurosis by Dr. or were being helped through counseling institution or health center of a women's college in Seoul area. As a comparative group, 45 students were selected from same college who has below 26 points in MMQ.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5 to October 17, 1988. The tools used was the Eysenck Maudsley Medical Questionnaire (MMQ) modified as a Korean tool by KIM, Sung-Tae, and the Olso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 Scale)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X^(2)-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llows. 1. The main hypothesis,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of women's college students with neurosis (neurotic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normal women's college students (normal group)", was supported (t=1.13, p=0.000). 2. Neurotic group were negative correlated between the degree of neurosis and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r=-0.1397, p=0.01). 3.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was not related the degree of neurosis in neurotic group. 4.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was related to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in neurotic group. The variable related to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was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F=3.629, p=0.035).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family cohesion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with neurosis of women's college. Nursing assessment of students with neurosis of women's college should focus on family choesion, and nursing intervention on care to promote family function. Asessment should also include the family function in order to pl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가족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딘위체계이다. 청소년의 정신건강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적 부분이 되는 것은 가족으로 우리나라 대학생은 대부분이 가족과 등거하고 있으며 가족구성원이 부모-자녀관계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급변하는 사회변동으로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상황에 의한 긴장과 갈등으로 정서적 장애가 유발되고 있으며 또한, 가족의 구조와 기능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 가족구성원의 심리적 갈등으로 인해 가족기능을 저해하고 이로인한 청소년의 건강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과 정상여대생간의 가족결속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에 대한 가족접근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신경증경항을 가진 여대생은 수도권에 위치한 일부여자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여대생으로 대학 상담실 및 보건소를 찾아 신경증 증상을 호소하거나 의사에 의해 신경증 진단을 받고 치료중에 있는 신경증경향척도(MMQ)로 측정한 점수가 26(19±7)이상인 여대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상여대생은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이 재학하고 있는 같은 대학의 여대생으로 MMQ로 측정한 점수가 26(19±7)이하인 여대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8년 10월 5일부터 10월 17일까지 13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신경증경향 측정도구로는 Eysenck가 고안한 「신경증경향척도」(MMQ)를 김 성태(1963)가 한국판 도구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가족결속력 측정도구로는 Olson과 Russell, Sprenkle(1982)이 고안한 「가족적응력과 결속력 평가척도」(FACE Scale)를 본 연구에 맞게 번역, 수정보완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거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X^(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정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가족결속력은 정상여대생의 가족결속력보다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이 지지(t = 1.13, p = 0.000)되므로서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가족길속력이 낮았음을 나타내 주었다. 2. 신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신경증경향정도와 가족결속력정도간의 상관관계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신경증경향정도와 가족결속력정도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r=-0 1397, p≤0.01).따라서 가족결속력이 낮을수록 신경증경향이 높았다. 3.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과 신경증경향정도와의 관계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신경증경향정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다. 4.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결속력정도와의 관계 신령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가족결속력정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일반적 특성은 어머니의 학력(F=3.129, p≤0.035)이었다. 즉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이상으로 높을때 가족결속력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하여 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의 간호 증재시 학교간호사는 가족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가족 접근간호를 해야되고 가족접근간호를 위해서는 가족기능의 사정에서 출발해야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가설 = 3 D. 용어의 정의 = 3 E.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5 A. 청소년기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 = 5 B. 가족기능과 가족건강 = 10 C. 신경증과 가족결속력 = 13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7 B. 연구도구 및 자료분석 = 17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0 A. 정상군과 신경증경향군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유의성 검정 = 20 B. 가설검정 = 20 C. 신경증경향군의 신경증경향정도와 가족결속력정도간의 상관관계 = 24 D. 신경증경향군의 일반적 특성과 신경증경향정도와의 관계 = 25 E. 신경증경향군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결속력정도와의 관계 = 27 Ⅴ. 결론 및 제언 = 28 A. 결론 = 28 B. 제언 = 30 참고문헌 = 31 부록 = 39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9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신경증-
dc.subject여대생-
dc.subject가족결속력-
dc.subject간호-
dc.subject가족기능-
dc.title신경증경향을 가진 여대생과 정상여대생의 가족결속력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COHESION IN STUDENTS WITH NEUROSIS AND NORMAL STUDENTS AT A WOMAN COLLEGE-
dc.format.page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