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濟孝.-
dc.creator金濟孝.-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1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1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1955년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래 1963년, 1974년에 걸쳐 각각 개편된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일반목표,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일반목표,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등의 변천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이론적 근거를 찾고, 앞으로 이루어질 생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제언을 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연구하였다. ① 현대 과학 교육과정의 개혁 동향 및 생물 교육의 개혁 동향을 고찰 하였다. ② 구한말 이후 제1차 교육과정이 제정되기 전까지의 과학교육, 특히 생물교육의 변천을 고찰하였다. ③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과학 교육과정의 개혁 동향은 J. S. Bruner가 주장한 학문중심적 교육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둘째, 구한말 이후 1945년까지의 생물교육은 「박물」과에서 다루어졌다. 학습내용은 주로 동물, 식물, 인체생리 및 위생을 가르쳤으며 학습한 것을 일상생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45년 이후 제1차 교육과정이 제정도기 전까지는 교과과정 내용이 뚜렷이 서지 않고 시설 부족 및 교사 부족과 지도 능력 부족등으로 부진 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편의 이론적인 근거는 제1차, 제2차에서는 실용주의에 입각한 경험중심 교육과정이라 하겠으며, 제3차에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영향을 받았다. 넷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일반목표의 변천은 제1차에서는 과학의 기초적인 원리, 법칙을 이해하여 문제해결 능력 배양, 제2차에서는 실험, 관찰을 통하여 연구, 창조해 나가는 능력 배양, 제3차에서는 과학의 기본개념 구조화와 탐구방법 습득으로 학습 의욕을 증진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다섯째,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 일반목표의 변천은 제1차에서는 생물에 관한 지식 습득으로 실생활에 응용 능력 배양, 제2차에서는 생물Ⅰ과 생물Ⅱ로 구분, 생물Ⅰ은 실험, 관찰을 통한 귀납적인 방법으로 생물 지식 습득, 생물Ⅱ는 생물Ⅰ을 보충, 심화하고 올바른 생명관, 생물관 육성, 제3차에서는 구조화된 기본기념의 이해와 지속적인 탐구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여섯째,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 지도내용의 변천은 제1차에서는 지적인 구조 체계가 세워져 있지 않으며 사실 나열에 중점, 제2차에서는 제1차에 비해 구조적인 체계가 잡혔다고 하겠으며, 생물 Ⅰ은 정성적 생물Ⅱ는 정량적으로 다루었으며, 제3차에서는 생물의 기본적인 내용 구조화로 탐구과정을 용이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일곱째,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 지도상의 유의점은 제1차에서는 제시되지 않았다. 제2차에서는 학습한 것을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을 강조, 제3차에서는 학생 스스로 과학적 탐구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개념을 얻도록 지도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새로 이루어질 생물 교육과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대 과학교육 철학에 대한 교사들의 보다 철저한 인식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새로운 학습 지도법에 대한 교사들의 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탐구중심 수업을 하기 위한 과학 실험실의 철저한 설비가 있어야 하겠다. 넷째, 효율적인 실험, 실습을 통한 학습을 하기 위하여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하여야 하겠다. 다섯째, 현대 과학교육 학습 지도법을 위하여 일선교사 및 교육전문가들의 적극 참여가 있어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curriculum in science by examing the transition of the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which has drastically been amended over two times in 1963 and 1974 since constituted in 1955, and by searching for the theoretical bases for composing the earlier and recent contents of science and biology curricula in Korean high schools. The methodology employed is the analysis of relevant litaratures in this field. The susamary of this study is as fellows. 1. The movement for reforming the modern curriculum of science was mostly influenced by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2. From the latter ara of Yi-dynasty to 1945, the education of biology was handled by the department of natural history,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consisted of mainly the animals, the plants, the physiology of human body and the general sansitation of citizens. Until the new constitution of the curriculum of science was adopted in 1945,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not well. established 3. The theorotical basis of the transition of curriculum of science in high school was founded on the experiment oriented curriculum in the first and the second curriculum and on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in the third curriculum. 4. The transition on the general purpose of the curriculum of science in high school has three stages : (1)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a problem by learning basic theories, (2) to improve the investigative and creative abilty through the experiment, (3) to increase the motive for studying biology by teaching basic concepts of science and the method of inquiry. 5. The transition on the general purpose of the curriculum of biology involves three steps; (1)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apply the knowledge to an actual life; (2) the development of the connected way of studying biology to the biloogy II supplied from biology I which involves the teaching of biology by a inductive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ation and observation; (3) and the continuous inquiry and understanding of the organized basic concepts. 6. The content of biology in the first stage contained only listing of factual information without structural explanation of knowledge. In the second stage the qualitative contents biology I and quentative contents biology II are treated making the contents easy to compreheneded. In the third stage, biology curriculum was organized in such way that further inquiry would be less problematic. 7. The noteworthy points for guidance in the curriculum of biology in the high school was that there was no instructional guidance in the first curriculum. In the second curriculum, instructional guidance was included so that students could be taught the way of applying what they learned in real life situation. In the third stage, the curriculum was designed to teach the students to undertake independent studies after gaining the basic theories on biological life.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presented : 1. The teacher should be recognized the philosophy of the mordern education of science. 2. The teacher should be re-educated on the new instructional methods. 3. The laboratory for experiment should be more fully equipped. 4.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should be decreased so that more efficient experiments can be conducted. 5. The teachers and curriculum specialists of science education should jointly participate i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ethods of the modern scienc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취지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2 C. 연구 방법 및 절차 = 2 Ⅱ. 현대 과학교육과 생물교육의 개혁 동향 = 4 A. 현대 과학 교육과정의 개혁 동향 = 4 B. 생물학의 발달과 생물교육의 개혁 동향 = 8 Ⅲ.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변천 = 18 A. 구한말 이후의 과학교육의 변천 = 18 B. 1945년 이후의 교육과정의 변천 = 24 Ⅳ.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 30 A. 고등학교 과학과 일반목표 변천 과정 비교 = 30 B.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 목표 변천 과정 비교 = 33 C.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 지도내용 변천 과정 비교 = 38 D.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 지도상의 유의점 변천과정 비교 = 48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3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7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우리나라-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생물교육과정-
dc.title우리나라 高等學校 生物敎育 課程의 變遷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CURRICUIUM OF BIOLOGY IN HIGH SCHOOLS OF KOREA-
dc.format.page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