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賢玉.-
dc.creator李賢玉.-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3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0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7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098-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의 目的은 幼兒의 性 役割 學習에 대하여 어머니와 幼稚園 敎師의 期待 및 그 期待에 따른 지도·실제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러한 目的으로 관계문헌을 통하여 性役割 學習에 대한 父母의 影響, 性 役割 學習과 幼稚園 프로그램에 관하여 理論的인 考察을 하였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問題를 設定하였다. 1. 가정에서 어머니는 子女의 性 役割 學習에 대하여 어떠한 관념과 태도로 지도하는가? 직장생활을 하는 어머니집단과 가정생활만 하는 어머니집단간에는 差異가 있는가? 2. 幼稚園에서 敎師는 幼兒의 性 役割 學習에 대하여 어떠한 관념과 태도로 지도하는가? 問題分析을 위하여 본 조사는 서울特別市 東部·西部·南部·北部에 속한 81개 幼稚園을 가능한 한 편중되지 않도록 표집하여 그 幼稚園의 자모 265명과 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幼兒의 性 役割 지도에 대한 態産 및 실제를 알아보는 질문지 124문항을 作成하여 조사한 결과를 가정에서 어머니가 지도하는 태도와 幼稚園에서 교사가 지도하는 태도로 나누었다. 조사결과 나타난 반응과 事例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子女의 性 役割 學習에 대한 어머니의 態度는 아들·딸을 區別하여 지도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관념을 가지고 있다. 즉, 장난감 선택·놀이에 대한 태도·언어사용·도움을 청할 때 幼兒의 生活環境에 제공되는 사진선택과 의복 색의 선택과 장래직업에 대하여 性 役割의 구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幼稚園 時期부터 性 差를 두고 가르쳐야 한다는 반응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생활하는 어머니집단이 가정생활만 하는 어머니집단보다는 性 役割의 差異를 두지 않는다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2. 幼稚園 敎師들은 대체로 현대적 관념을 가지고 지도하고 있다는 반응으로 나타났다. 구성놀이·악기놀이·과학놀이를 권유하는 태도와 役割놀이·도움을 청할 때와 언어사용에 대한 태도에서 대부분 男女區別을 하지 않고 있으나 事例를 통해보면 性 役割의 區別을 하는 경향이 짙다. 以上의 結果를 종합해 보면, 가정에서 어머니들은 子女의 性 役割에 대하여 전통적인 관념(性 役割을 구별하는)을 가지고 지도하는 반면, 유치원 교사들은 현대적인 관념(性 役割을 구별하지 않는)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事例를 통한 실제지도에 있어서는 性 役割의 區別을 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本 硏究의 結果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提言을 할 수 있다. 1. 幼兒의 性 役割 學習은 出生과 더불어 비롯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性 役割 행동이 표면상 뚜렷하게 구별되어 나타나서 더욱 性別 役割 學習이 현저하게 이루어지는 단계는 4·5歲頃부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의 子女를 가진 父母의 性 役割에 대한 관념과 태도는 더욱 중요하다. 특히, 能力이 지배하는 現代社會에 있어 子女의 타고난 特性과 能力이 性에 대한 父母의 보수적 관념과 태도때문에 死藏되지 않도록 父母의 태도가 현대적 관념으로 바뀌어 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效果있는 父母敎育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2. 같은 의미로 性 役割 學習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의 幼兒를 담당하고 있는 敎師들의 관념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 調査한 바에 의하면 幼稚園 敎師들은 대체로 현대적 관념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지도에 임해서는 役割의 差異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敎育하고 있었으므로 이 간격을 좁히는 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3. 幼兒가 性에 따라서 생기는 役割의 差異보다는 能力에 따라 役割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性 役割 學習을 위한 프로그램모델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aims at studying a general trend of sex-role education pursued and actually provided by mot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o this end, theoretical as well as statistical studies were made on the status of sex-role education, parental influence and pre-school programs for children. The studies were largely focused on two key questions which are : 1. What are the philosophy and policy the mothers base their sex-rol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on at home?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ex-role education given by the mothers who keep the house and those who have a job? 2. What is the present status of the sex-role education in kindergartens? To get answers to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in which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to 265 mothers and 153 preschool teachers selected on a random sampling basis in a Seoul area covering four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questionaires contained a total of 124 questions concerning forms and methods of sex-role education employed at home and kindergartens.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survey. 1. Most of the mothers polled were turned out to have a traditional thought that the children should be dealt with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biological sex, i.e. - the boys should be taught to have masculine traits and the girls feminine characteristics.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a dividing line should be drawn between the boys and girls in almost every aspects of life, particularly in toys, outdoor play, language, clothing, room decoration and even future occupations.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the job-holding mothers were less fastidious about sexism than those stuck to the house. 2. In contrast, 88.1 per cen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surveyed showed a comparatively up-to-date and advanced thought on sex-role identification. They appeared opposed to discriminating the children in favor of a specific sex in school curricula such as block-building, workbench activities and arts and crafts. The teachers think that the sexism should be eliminated when they deal with the children in kindergartens. But, in practice, they tend to assign traits to a specific sex. Based on the outcome of the survey, this thesis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1. Behaviors and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and mothe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children as they begin to feel biological sex difference at the age of 4-5. In. this point of view, it is suggested that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be arranged for the mothers insisting on sexism to modify their traditional thought on the sex-role education. 2. Concret steps should be taken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in the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sex-role education. 3. It is desirable to work out a set of model programs designed to give free options to the children on basis of their ability rather than their sex.-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緖論 = 1 A. 硏究의 趣旨 및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및 範圍 = 4 1. 硏究方法 = 4 2. 資料設計 = 5 3. 資料蒐集 = 5 4. 資料處理 = 5 C. 硏究의 制限点 = 5 Ⅱ. 理論的 背景 = 7 A. 性 役割 學習에 대한 父母의 影響 = 7 B. 性 役割 學習과 幼稚園 프로그램 = 13 Ⅲ. 結果 및 解析 = 26 A. 子女의 性 役割 學習을 위한 어머니의 태도 = 26 1. 장난감 선택·놀이·언어사용에 대한 태도 = 26 2. 가사에서 도움을 청할 때의 태도 = 33 3. 子女의 生活環境에 제공하는 사진종류·의복색 선택에 대한 태도 = 35 4. 子女의 장래직업에 대한 期待와 性 役割지도의 適正期 = 38 B. 幼兒의 性 役割 學習을 위한 敎師의 태도 = 40 1. 전통적 관념에 대한 태도 = 40 2. 구성놀이·악기놀이·과학놀이에 대한 태도 = 41 3. 사육재배와 바깥놀이에 대한 태도 = 44 4. 역할놀이·도움을 청할 때·言語使用에 대한 태도 = 45 C. 事例 = 50 Ⅳ. 要約 및 結論 = 59 A. 要約 = 59 B. 結論 = 62 參考文獻 = 64 附錄 = 6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47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성역할학습-
dc.subject유치원교사-
dc.subject어머니-
dc.title幼兒의 性役割學習을 위한 幼稚園 敎師및 어머니의 態度에 關한 一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TTITUDE OF MOT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OWARD SEX-ROLE EDUCATION-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dc.date.awarded197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