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惠卿-
dc.creator金惠卿-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34-
dc.description.abstract古典小說은 우리 민족의 散文精神과 美意識이 반영된 문학작품으로서, 우리의 문학적 전통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고전소설은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교육적 자료로서 활용될 가치를 가진다. (1) 우리의 언어적 전통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 (2) 우리의 전통적 문화, 관습 등을 이해하는 자료. (3) 문학의 전통을 이해하는 자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육에서는 이같은 측면들이 충분히 고려되거나 활용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다. 고전소설이 가진 다양한 측면은 고르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語學的 側面에서 낱말풀이나 구절풀이, 문법 설명 등에 지나친 비중을 두어왔으며, 문학으로서의 예술성이나 미의식에 대한 검토는 도외시되고, 단지 가치교육적 측면에서 '孝'나 '忠' 등의 主題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고전소설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은 고전소설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문학교육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서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실제의 교육에서는 이같은 문제가 재선되기보다는 날로 심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高等學校에 있어서 古典小說敎育이 가진 이같은 문제점에 유의하여 이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기존의 고전소설교육이 어떤 방향에서 시도되고 실현되었는지를 살피기 위해 교육목표와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다음으로 고전소설 교육이 국어교육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과 위치를 살펴보고 교육에 활용 된 작품이 어떤 것이며 이를 다룬 방법은 어떤 것인지를 밝혀 보았다. 다음으로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 교육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같은 검토를 통해서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가능한 개선의 방향을 모색해 보기로 했다. 본고에서 논의하고 검토한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의 의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전소설교육의 목표와 의의를 고찰했다. 제 Ⅲ장과 제 Ⅳ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고전소설교육이 어떻게 전개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제 1 차부터 제 5 차 교육과정기까지의 문학교육 목표와 내용을 차례로 검토하여 ,고전소설 교육의 기본 방향을 알아보고, 제 Ⅳ 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의 국정 국어 교과서와 검인정 고전(5차에는 '문학')교과서의 고전소설 수록 현장을 제시,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의 학습 문제에 대한 검토를 통해 고전소설 학습 결과의 평가 방식을 고찰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제 Ⅲ장과 제 Ⅳ장에서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제 1차"제 5차 교육과정을 통해 살펴본 고전소설 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점차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이론에 치우쳐 있고 현실적으로 활용되기에 어렵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다른 교과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그 목표와 내용이 현실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는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전문적인 연구기관이 만들어져 조직적이고 일관성 있는 국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찰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의 정신과 내용이 일선 교사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어 실효를 거둘 수 있는 제반 여건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2) 고소설 교육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교과서에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대체로 교과서 개발을 위한 예산이 영세하고, 교과서 개발 기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현실적 어려움에 기인하고 있지만, 그와 아울러 교과서 집필의 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고, 교과서 개발을 위한 연구가 미흡하며 집필자가 실질적으로 교육의 현장에 소매한 대학 교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등이 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 고전소설 교육이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에 한정되어 있어 고전 소설 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문학 교과서를 만들 때 다양한 작품을 선정, 수록하고, 가능하면 교과과정 속에 교과서 외의 작품들도 교과서와의 관련성 속에서 다룸으로써 고전소설을 폭넓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실제로 고전소설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으로도 다음의 및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①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은 대부분 작품의 일부분만 발췌한 것이어서 작품의 전모를 살펴보고 종합적으로 이해하기가 어렵다. 전부가 아닌 부분만을 알고 그것을 전부로 착각하는 것을 문학으로서의 고전소설을 이해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작품을 처음부터 끝까지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제약 상 일부분만 수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작품의 전체적 이해에 가장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을 골라 실어야 할 것이며, 다른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그것을 보완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② 교과서 수록 부분에서 강조되는 가치관과 교훈이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주입됨으로써 고전소설에 대한 교육이 문학교육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지양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The Classical novel, however it occupy the important position as one of literary classics by reflecting prose spirit and the sense of beauty among traditional prose literature, was not given to the first consideration in literary aspects such as comprehension ans appreciation, but was given to emphasis in explanation of grammer and of vocabulary, and also loyalty and filial piety were to emphasised to have general appreciating the essence in classical novel. Therefore this thesis is finding out new desirable direction in teaching classical novel by investigating in detail what was done in high school. Followings are brief summary of the contents and the results dealt with in each chapter. Chapter Ⅱ represents the teaching aim of classical novel on the standpoint of the meanings in literary education. It is hardly possible to appreciate the essence in classical novel due to too emphasised teaching in loyalty and in filial piety. Chapter Ⅲ represents the basic attitude in education of classical novel which were recognized by investigating how education in classical novel was done. Chapter Ⅳ indicates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novel and desirable educational direction. Followings are the points of issue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novel. 1) It is hardly possible to grasp the seneral meanings in classical novel in the course of lecture because the education is down in the limited to only literary works in the text book of curriculum. 2) Also the text in curriculum introduce a certain section or parts among complete literary works, which makes difficulty in appreciating the meaning of literature as a whole. 3) The process in education in being done with excessive emphasis in annotation and in commentary for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4) There is tend to comprehend the literary works as almost one respective point, for examples, the subject in SIM CHUNG CHUN for "filial piety" and HUNG BU CHUN for "brotherliness", which result in prejuduicated education method and were resulted from the lack of comprehension in historical, social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literary works. And the Chapter Ⅳ suggests desirable education in classical novel as reform measures in problems as followings. 1) By preparing the chance of contacting various literary works, besides those in curriculum, the wider comprehension will be accomplished. 2) The objection and the contents of curriculum should be described more completely for wider and profounding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3) Literary works should be educated with full acknowledgment of the social, periodic and ideological background came out in that literary works. 4) Education should be done with emphasis on finding the truth of human-beings life and status, and the education should not be schematic evaluation wi th heavy point. 5) Education projudicated by excessive emphasis on entrance examination for university. 6) Education should be done to have reflection that classical novel is one of korean prose literature. 7) To have desirable education in classical novel the novel lecture should be done as independent course of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Ⅱ. 古典小說敎育의 意義와 目標 = 4 A. 文學 敎育의 意義 = 4 B. 古典小說 敎育의 目標 = 6 Ⅲ. 古典小說敎育의 基本方向 = 10 A. 제 1 차 교육과정기 = 10 B. 제 2 차 교육과정기 = 12 C. 제 3 차 교육과정기 = 13 D. 제 4 차 교육 과정기 = 14 E. 제 5 차 교육과정기 = 16 Ⅳ. 古典小說敎育의 實行課程 = 21 A. 교과서의 고전소설 수록 현황 분석 = 21 1. 제 1 차 교육과정기 = 21 2. 제 2 차 교육과정기 = 24 3. 제 3 차 교육과정기 = 27 4. 제 4 차 교육과정기 = 29 5. 제 5 차 교육과정기 = 32 6. 제 1 차 ~ 제 5 차 종합 분석 = 34 2. 학습 결과의 평가 방식 = 44 (1) 국어 교과서의 학습 문제 = 44 (2) 고전문학 교과서 학습 문제 = 47 Ⅴ. 古典小說敎育의 問題點 및 改善方向 = 51 A. 古典小說 敎育의 問題點 = 51 B. 고전 소설 교육의 개선 방향 = 53 Ⅵ. 結論 = 56 參考文獻 = 61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00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고전소설-
dc.subject교과서-
dc.subject고전문학-
dc.title高等學校 古典小說 敎育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敎科書 作品 收錄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Education of Classical Novel in High School-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