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어머니의 獨斷的思考와 子女의 道德的判斷能力에 關한 硏究

Title
어머니의 獨斷的思考와 子女의 道德的判斷能力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thers' Dogmatism as a Correlate of Children's Moral Judgment
Authors
林京淑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어머니독단적 사고자녀도덕적 판단능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는 Piaget(1932)가 硏究한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이 부모의 育兒方式 변인과 관련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本 硏究에서 다룬 育兒方式의 변인은 Rokeach(196O)의 信念體系 理論에 입각한 어머니의 獨斷的 思考 또는 獨斷性 水準이었다. 만약 獨斷性이 높은 어머니는 일상의 育兒事態에서 그러한 思考方式을 아동에게 露出시킨다는 것을 假定하면 어머니의 獨斷性과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 사이의 관련은 理論的으로 충분히 기대된다. 本硏究에서 해결하고자 한 문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獨斷性 정도는 아동의 道德的 判斷 能力과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獨斷性 및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은 家庭의 杜會經濟的 地位와 관계가 있는가? 3. 우리나라 아동들의 道德的 判斷能力의 實態는 어떠한가? 4. 本硏究의 結果는 장차 가정과 학교에서의 道德敎育의 計劃과 實踐에 어떤 시사를 주는가? 本硏究에서는 主假說로서 "獨斷性이 높은 어머니의 子女는 낮은 어머니의 子女에 比하여 他律的 道德判斷을 한다"는 것과 副次的인 假說로서 "어머니의 獨斷性 내지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은 가정의 杜會經濟的 背景과 관련된다"는 두 가지 假說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國民學敎 1학년 아동의 어머니 100명에게 Rokeach의 "獨斷性 尺度" (E型)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 獨斷性이 가장 높은 어머니 12명과 가장 낮은 어머니 12명을 선발하여 그 子女들을 대상으로 Piaget의 道德的 問題事態 4가지에 관하여 면접하였다. 그 면접의 結果를 自律判斷과 他律判斷의 관점에서 각 문제사태별로 4단계로 評定하여 道德的 判斷能力 점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獨斷性 점수 上下 집단별로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과 가정의 杜會經濟的 背景을 比軟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로 밝혀진 것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7세 아동들은 대부분 自律判斷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勿論 個人에 따라 個人 差가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2. 이 단계에서는 性別로 道德的 判斷에 별로 差異를 나타내지 않는다. 다만, 남자 아동에 비하여 여자 아동이 同情心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3. 어머니의 獨斷性 정도의 上下 집단별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은 명백히 理論的으로 기대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문항별 도덕적 판단능력 점수의 평균은 獨斷性이 높은 集團이 2.52, 낮은 集團이 2.94로서, 獨斷性이 낮은 어머니는 아동의 自律的 判斷을 促進하는 경향이 있다. 4. 獨斷性 上下 集團은 아동의 道德的 判斷能力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가정의 職業이나 부모의 敎育程度에 있어서 상당한 差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세가지 변인 사이에는 明白한 相關이 成立한다. 本 硏究의 結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道德敎育에서 어머니나 敎師가 權威的으로 德目을 强要할 것이 아니라 道德的 問題事態에 관하여 아동과 "相互的인" 立場에서 兒童 自身이 判斷하도록 격려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나 道德性의 發達에 관한 心理學的 硏究結果가 주는 示唆를 敎育課程에 適用하는 데는 장차 많은 硏究가 필요하다. 그 중의 적어도 한가지로서, 道德性이 높은 어머니와 낮은 어머니의 適德的 育兒方式의 차이를 실지 育兒場面에서 확인하는 硏究를 들 수 있다.;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ren's moral judgment as studies by Piaget(1932) can be explained by an aspect of child-rearing practices. The children-rearing practices variable in this study is the level of mother's dogmatism or dogmatic thinking, conceptualized by Rokeach(1960): Under the assumption that both the high-dogmatic and low-dogmatic mothers do fact expose their typical way of thinking in their daily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 negative correlation is theoretically expected between the level of mother's dogmatism and the level of chil-dren's moral judgment. Specifically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Is the level of mothers' dogmatism related to the level of children's moral judgment? 2. Is the level of mothers' dogmatism (or the level of children's moral judgment0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family?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7-year old Korean children? 4.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plaining and implementation of moral education in home and in school?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children of the mothers with high-dogmatism show more heteronomous moral judgment, as compared to their low-dogmatic counterparts who show more autonomous moral judgment. And secondarily it is hypothesized that the level of mothers' dogmatism or the level of chilaren's moral judgment is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family. The Sample consisted of 12 high-dogmatic and 12 low-dogmatic mothers and their children, out of 100 mothers who initially responded to the Dogmatism Scale(E Form). The 24 children were interviewed with four problem situation stories by Piaget, and their responses were scored along a 4-point rating scale of heteronomous-autonomous dimension. A comparison was made of the high-dogmatic and low-dogmatic groups in terms of the children's morality scores 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families. The results seem to justify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7-year old Korean children generally show a relatively autonomous morality, even 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which vary in different problem situations. 2. At this stage of development, the children show little sex difference in moral judgment, except that girls are prone to be swayed by sympathy toward the moral violators. 3. Children in the high-dogmatic and low-dogmatic groups show difference in the level of moral judgment in the theoretically expected direction. The average morality scores in the two groups are 2052 in the high-dogmatic and 2.94 in the low-dogmatic groups. This suggests that the mothers of low dogmatism te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moral judgment in their children. 4. The high-dogmatic and low-dogmatic groups show difference, as with the case of the children's moral judgment, in the family occupation and the level of education of both fathers and mothers. There is a clear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of dogmatism, morality and family background.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 to imply that in moral education in home and in school, it is important for parents and teachers to encourage children to make their own judgment on an equal and "reciprocal" basis with the adults, rather than enforcing moral rules in an authoritarian way. But the application of such implicatios to moral education curriculum must wait for a large collection of empirical evidencec and logical analyses. one example would be a to identify the actual child-rearing practices of both high-dogmatic and low-dogmatic m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