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영숙 .-
dc.creator강영숙 .-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4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인지 발달론적 입장에서 본 도덕 판단의 발달을, 콜버그를 중심으로 이론적인 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검토한 바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비판적 검토의 초점이 된 문제들은 콜버그의 6단계의 연속성 및 비역행성, 인습 이후 수준의 보편성, 그리고 도덕 발달에 있어서 인지 성숙 외의 다른 요인들인 성 및 사회 계층, 훈육 방식, 종교적 요인 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제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속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서 콜버그의 도덕 단계들은 차례대로 발달하는가? (2) 특히, 인습 이후 수준에 해당하는 5, 6단계에로의 발달은 얼마나 일반적인가? (3) 그들에게서 후퇴 현상이 나타나는가, 나타난다면 언제 나타나며 얼마나 지속적인가? (4) 도덕 판단력의 발달과 개인의 교육 정도, 성, 사회 계층, 훈육 방식, 개인의 종교 등은 상관이 있는가? (5) 5, 6단계로의 발달에 관련이 있는 변인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들 중 (2), (3), (5)는 가설 검증을 하지 않고 다만 조사 결과를 통하여 논의하고자 했으며, (1)과 (4)는 가설을 세워 검증하였다. 세워진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도덕 판단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할 것이다. 가설 2 : 도덕 발달과 개인의 교육 정도는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3 : 남녀 성에 따라 도덕 발달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 계층에 따라 도덕 발달은 차이가 날 것이다. 가설 5 : 훈육 방식과 도덕 발달은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6 : 개인의 종교와 도덕 발달은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들과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예비조사를 통해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도덕 판단력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콜버그의 '도덕적 갈등 이야기'를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고 대상자의 생활 환경에 맞는 갈등 이야기를 성인용 7개, 학생용 7개를 만들었다. 그 중 각각 2개는 콜버그의 갈등 이야기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였다. 훈육 방식의 분류와 측정 방법은 호프만(M. L. Hoffman)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생용과 성인용은 같다. 12 - 17세 대상자들에게는 학생용 질문지를, 18 - 30세 대상자들에게는 성인용 질문지를 사용하여 1981년 4월 16일에서 5월 15일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통계 처리에 합당한 것은 383명이었으며 각 연령 집단의 구성은, 12 - 14세 남녀 합하여 100명, 15-17세 남녀 100명, 18 - 20세 남녀 50명, 21 - 23세 남녀 50명, 24 - 30세 남녀 83명이다. 조사 결과, 가설 1, 가설 2, 가설 3, 가설 4는 긍정되었고, 가설 5, 가설 6은 부정되었다. 도덕 판단력 발달과 가장 의미있는 관련을 지니는 요인은 연령이었으며, 개인의 교육 정도, 성, 계층 등의 변인들도 도덕 발달과 의미있게 관련되어 있었다. 훈육 방식, 종교는 모두 도덕 발달과 무관하였다. 5단계로의 발달에 관계가 있는 변인들은 18세 이상의 연령, 대학 교육, 상층 계층, 어머니의 고등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속하는 한국인의 도덕 발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인습 수준이 88%, 인습 이후 수준(5단계)이 12% 정도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습적인 도덕 판단에 머물고 있었다. 콜버그의 단계들은 순서대로 발달하였으나, 제6단계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21 - 23세 여자 집단에서는 4단계에서 3단계로의 일시적인 후퇴가 나타났으며, 24-30세 여자 집단에서는 5단계에서 4단계로의 후퇴가 나타났다. 6단계의 부재 현상 및 후퇴 현상이 나타났다는 사실과, 교육, 성, 계층 등의 요인들이 도덕 발달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다는 사실은 콜버그의 이론이 좀더 넓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그리고, 본 연구 대상자들은 중, 고등학생들이거나 고졸 이상의 학력을 지닌 30세 이하의 사람들이므로, 교육 정도가 더 낮은 사람들과 30세 이후의 연령층을 포함시킨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국에서의 콜버그 6단계 이론의 보편성이 확증될 것이라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L.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and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se criticisms empirically. Criticisms are focused on Kohlberg's assertions of an invariant sequentiality in his 6 stages, the impossibility of regression, and the universality of stage 6, with attention being given to other viewpoints which emphasize the influence of such variables as sex, social stratification, parental discipline, and religion on moral development. The problems presented are as follows : a. The pattern of moral development those Korean people who belong to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b. The general applicability of the 5th and 6th stages, i.e. the post-conventional level. c. Sequentiality of Kohlberg's 6 stages. Can regression be found? d.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and one's own education level, sex, class, parental discipline method, and religion. 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movement to the 5th and 6th stages. Postulated hypothese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Moral judgement will develop orderly according to age development (Hypothesis 2) One' won educational level and moral development will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Hypothesis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development between male and female. (Hypothesis 4) Moral development will differ between different classes. (Hypothesis 5) Parental discipline method and moral development will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Hypothesis 6) One's won religion will influence on one's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To test these hypotheses, I prepar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on the basis of the pretest. They were used for paper-pencil test. One of them was made for people of age 12 to age 17 and the other for age 18 age 30. Kohlberg's two moral dilemma stories were used to measure moral development and besides, 5 dilemma stories were adapted by me for each type. To measure the parental discipline method, both Hoffman's classification of and his method of measuring the discipline technique were used. Parent'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and income were included, in order to determine one's class. Five age groups involving both sex and number of subjects are as follows : Age 12 - 14 : 100 Age 15 - 17 : 100 Age 18 - 20 : 50 Age 21 - 23 : 50 Age 24 - 30 : 83 Total 383 Subjects are students of middle-schools, high-schools, freshmen, seniors, and various salary men and wome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6 to May 1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Hypotheses 1, 2, 3, and 4 were accepted. Hypotheses 5, 6 were rejected. As a whole, age w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Next came one's educational level, sex, and class. One's religion and the parental discipline method were not relevant to moral development. The pattern of my subjects' moral development was as follows : Most people belong to the conventional level(88%) and 12% belong to stage five. Regression was found in the 21-23 female group and 24 - 30 female group. Its durability was not certain. Results of the study of age 12 to age 30 support Kohlberg's theory, but its universality may perhaps be proved valid after a study of people over age 30 of those who have lower educational leve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의 개요 = ⅰ Ⅰ. 문제 제기 = 1 Ⅱ. 이론적 배경 = 6 A. 인지 발달론적 입장의 기본 전제 = 7 B. 삐아제의 도덕 발달 이론에 대한 콜 버그의 비판적 수용 = 9 C. 콜버그의 6 단계 이론 = 13 D. 콜버그의 6 단계 이론에 대한 비판 = 19 Ⅲ.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 30 Ⅳ. 연구 방법 = 32 A. 예비 조사 및 측정 도구 = 32 B. 대상자 = 37 C. 연구 절차 및 제한점 = 38 Ⅴ. 가설의 검증 = 39 Ⅵ. 논의 및 결론 = 49 A. 논의 = 49 B. 결론 = 54 참고문헌 = 55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00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청년기-
dc.subject성인기-
dc.subject콜버그-
dc.subject도덕 판단력-
dc.title청년기에서 초기성인기에 걸친 한국인의 도덕 판단력의 발달 양상에 관한 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OREAN'S DEVELOPMENT PATTERN OF MORAL JUDGEMENT BETWEEN THE PERIOD OF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dc.format.page62 p. : 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