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김기림시의 상상력 연구

Title
김기림시의 상상력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Imagination in Kim gi-rim's Poem
Authors
이경란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김기림상상력어학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김기림 시 세계의 내적구조를 작가의 시간의식과 공간 의식의 분석을 통해 체계화하고 상상력의 질서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Ⅱ장에서는 분석의 출발점을 마련하기 위해 「태양의 풍속」과 「바다와 나비」에 수록된 시 가운데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와 <바다와 나비>를 상세히 고찰하였다. 그 결과 「태양의 풍속」에 수록된 시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는 오전과 오후를 대립시켜 미래지향의 시간의식과 '나아감'의 운동성을 보여주고 「바다와 나비」의 시는 과거대 현재의 대립을 통해 과거회상의 시간의식과 '돌아옴'의 운동성을 보여주었다. Ⅲ장에서는 먼저 이항대립적 요소들로부터 시간의식의 기초를 마련한다. 「태양의 풍속」에서는 '이슬'로 나타나는 태양과 '검은 바다'로 나타나는 어둠에 의해 오전과 오후의 세계가 대립되어 나타났다. 그때 오전은 모든 이상적인 것의 표상으로서 미래를, 오후는 모든 부정적인 것의 이미지로서 현재를 가리키는 것이 되고 이것이 곧 미래를 지향하는 시간의식이 된다. 「바다와 나비」에서는 시적자아가 세계를 직접 체험한 후 변모되어 과거의 공간에 되돌아오는 구조를 보여준다. 그리고 떠나기 전의 기대와 환상상태, 돌아온 후의 회한과 깨달음의 상태가 서로 대비되면서 과거를 회상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 미래지향과 과거회상의 시간의식은 세계관, 미래관, 정서면에서 대립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색채어의 빈도를 비교하여 이를 푸른 빛의 세계관과 무채색의 세계관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한편 이 미래지향과 과거회상의 시간의식은 현재와 미래, 과거와 현재가 연속성과 동질성을 찾을 수 없이 단절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이 시간의 단절감은 '신화의 세계'를 통해 연속성과 동질성을 회복하게 되고 '바퀴'로 표상되는 순환적 구조와 '역사의 새벽'과 '창세기'로 나타나는 재생구조에 의해 재생하고 순환하는 영원의 시간의식으로 발전해간다. Ⅳ장에서는 개방공간, 여행공간, 귀환공간으로 이행해가는 공간의식을 살폈다. 그 공간의식은 나아감과 돌아옴의 운동을 두 축으로 한다. 개방공간으로의 나아감은 '날개'이미지와 '나무'이미지의 대응을 통해서, 여행공간으로의 나아감은 '이리'와 '식물'로 나타나는 지상적 삶의 거부를 통해 나타나고 이 나아감의 움직임은 '바다'와 '이국지명'으로 그려진 무한을 향해 수평으로의 확산작용을 한다. 그러나 귀환공간으로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눈동자'로 나타나는 냉철한 인식의 단계에 이르게 되고 공간의 축소화와 수직성의 회복으로 대상의 내면화가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인이 도달한 시간과 공간의식의 종합으로 <못>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눈동자로 나타나는 응집과 응시의 기능, 원 형태를 통한 완전성의 도달, 심연이 보여주는 진흙의 물질 상상력등을 통해 확대와 축소의 반복에 의한 재생의 이미지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시인의 초기의 '미래'와 '앞'을 향했던 수평적 확산의 의지가 귀환의 시에 이르러 변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면서 그의 시는 시간적 단절감을 극복하고 시적자아와 대상의 일체화, 세계에 대한 통찰의 단계에 이르게 되면서 시공간적 영원성과 완전성을 획득해 간다 할 수 있다.;The thesis is to organize the inner framework of the world of Kim's poem and to examine the regularity of his imagination, by analyzing his time-conciousness and space-conciousness. First of all, in chapter 2, I introduse each of one poem written down in the collection of his poems called 『the custom of sun』 and 『sea and butterfly』 as the stanting point of this thesis Then the interesting mutual conflict between each material is found. For one thing, the poems in 『the custom of sun』 show the forward time consiousness amd the movement of 'advancement'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the past vs the present while the poems in 『sea and butterfly』 suggest the backward time consiousness and that of 'return' through that of the past vs the present. In chapter 3,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ime consiousness is based on the element of bilateral conflict. In 『the custom of sun 』, the sun represented by dew and the darkness done by black sea is compared correspondingly with the world of 'morning' which is symbolized by the idea and that of 'evenig' which is done by all negativity. After all, this results in the conflicting time-conciousness. Meanwhile 『sea and butterfly』 showes the fact after experiencing the reality , the changed self came back to the original space which the poet belonged to. An antipation and an fantasty which he had before leaving outward is quite contrasted with the regret after after his coming back from the exprience. the self looks back on the past in other view. the time conciousness, in that future oriention is contrasted with past retrospection becomes discrete. In other word, the present vs the future and the past vs the present is not continous and not homogeneous. However, thes descreteness recovers the continuity and homogeneity of time consiousness through a legend. In the examination of the process that he procures the circular time-conciousness symbolyzed as 'wheel' by which objective time regularity is made, He reached the eternity of time through the repetitous history and the Genesis which at last result from the behavior of procurity of circular time-conciousness. In chapter 4, I examine how the space-conciousness is transformed into the space of openness, that of journey and then into that of return. Flrst of all, the space of openness symbolized by the image of wing and the of tree is transformed into the space of journey represented by 'the wolf' and 'the plant' which refuse to live in the land. The movement of both space makes a horizontal extention for infinity expressed by 'sea' and 'the name of the foreign country and city'. However, after experience, such a horizontal movement gets to endand is changed into a circular movement and vertical movement amd then he attempts to swich to the space of return. Due to such change, he gets to reach the stage of cool recognition represented by 'apple of eye' in . I confirm that he obtains the circularity, the state of 'return', the procurity of completion, the stage of cool recognition by integratlng the time conciousness into the space con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 Conclusively the poem world of Kim gi-rlm is that poetic self tries to obtain eternity and completion by integrating time consiousness into spacec onsiousness. the unification of the object, the insight into the object and the world get him to the stage of perfect recognition and to gain the eternity beyond time & space and full completion, the horizontal movement toward the future and the forward being developing into circular mo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