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에밀리은주-
dc.creator유에밀리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교장임용제도의 적격자 선발기능과 우수교장 양성 기능을 진단해 보고, 교장임용제도가 전문성을 지닌 교장을 양성하고 선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가를 모색해 보는데 있다. 최근 몇 년간 교육계에서 교장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새로운 개선안들은 관련 단체들의 이익을 염두에 둔 소극적인 수정과 보완이 대부분이다. 물론 새로운 제도를 제시할 경우에는 최대한 단시일 내의 제도 정착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겠다. 그러나 백년대계를 논하는 교육계에서 조차 외부 정치적 압력에 의해 좌지우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즉, 교장임용제도의 개혁논의는 근본적인 제도의 목적과 기능을 기반으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 제도의 특징과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현 제도의 우수교장 선발기능과 양성기능을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새로운 개선안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의견수렴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교사들은 학교 공동체 형성에 커다란 역할을 해야 할 집단이며 교장임용과 양성제도는 이들의 자존심과 사기를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교장의 직무영역의 중요도와 현직 교장의 직무수행정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각각 어떠하며 개인 변인별(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 학교급별, 학교설립주체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교장의 각 직무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제 교장의 실행정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는 각각 어떠하며 개인 변인별(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 학교급별, 학교설립주체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현행 교장임용제도와 교장 자격연수제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개인 변인별(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 학교급별, 학교설립주체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교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장 양성제도의 도입에 관한 교사의 의견은 어떠하며 개인 변인별(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 학교급별, 학교설립주체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와 서울시의 초·중등학교 24개교 교사 400명을 무선 표집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ANOVA분석 후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이 학교에서 수행해야 하는 여러 직무영역들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경원외(2006)가 규정한 교장의 10가지 핵심역량을 현직교사들에게 제시하여 각각 5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교사들은 교장의 직무영역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특히,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중요시 여기고 있는 교장의 직무영역은 교장 개인의 속성이나 역량보다는 학교 교육의 질 관리와 학교 경영의 측면, 학교공동체 내·외부간의 관계 등이었다. 둘째, 교장으로서 수행해야 하는 직무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교장의 실행정도에 대한 교사의 평가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채택하여 사용한 교장의 직무영역 10가지 모든 항목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장으로서 지녀야 할 직무 능력의 중요도에 비해 실제 교장의 실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현행교장임용제도와 교장자격연수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현행 교장임용제도의 방식이 우수교장 선발에 적절하지 못하다는 견해를 보였으며, 현행 교장자격연수제도의 기간과 교육내용면에 있어 우수교장을 양성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넷째, 현행교장임용제도와 교장자격연수제도에 대해 교사들은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지만, 새로운 교장양성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보통이상(M=3.54)의 반응에 머물고 있었다. 또한 새로운 교장양성과정을 도입할 경우에도 현재 교장자격연수를 수정하여 기간연장이나 교육내용의 재구성 등의 제도 개선의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ointing process of qualified principal, to examine the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principal appointing system currently in practice, and to suggest for directional improvement for more efficient and more professional appointing process of principal office. In recent years, even though efforts to improve principal appointing process has shown active progress, most of such process were mere passive improvement, supplementing suggestions at best, to protect interest of affiliated organizations. Whenever new system is introduced, its proper implemental application must be considered. And far-sighted policies of educational community must not be influenced by external political pressures. Thus, reformation of principal appointing system requires a holistic approach with its root firmly based on its fundamental purpose and function of the system. And for this, characteristics and troubling issues of current system have to be closely analyzed, andcurrent scouting and training process for excellent principals carefully examined. In addition, opinions gathered from currently employed teachers in school will be useful because their concerted voice will have influential effect on decision making in school system. Ideally, decisions in school system should be made towards respecting teachers and to raise their moral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to approach the above-mentioned issues in principal appointing system: 1. How important do teachers consider their principals' office duty to be? How knowledgeable are the teachers of their principals' performance? And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 with respect to personal variables among each individual teacher surveyed (i.e. gender, experience, rank, primary/secondary, public/private)? 2. What difference exists between teachers'perception of importance of principals' occupational role and actual occupational performance of principals? And how can such difference be further differentiated with respect to personal variables among each individual teacher surveyed (i.e. gender, experience, rank, primary/secondary, public/private)? 3. How is perception of current principal appointing system and principal qualification certificate system? And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 with respect to personal variables among each individual teacher surveyed (i.e. gender, experience, rank, primary/secondary, public/private)? 4. How are the opinions of teachers on introduction of principal training system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And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 with respect to personal variable among each individual teacher surveyed (i.e. gender, experience, rank, primary/secondary, public/privat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over 400 teachers in 24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SPSS 12.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For more thorough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and Duncan verification method was implemented. In summar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in order to gather data on importance of principals' various office duty, 10 core office duties mentioned in Cho, Kyung Won et al. (2006) were presented to current teachers surveyed to give a score on scale from 1 to 5. Result indicated that most teachers considered their principals' office duty significant. Rather than principal's personal character or capability, teachers placed more significance on school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public relation capability of their principals. Secondly, scor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rincipals' occupational role and actual occupational performance of principals was examin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in each of 10 core office principal duty selected and used in this study, teachers surveyed perceived principals' actual occupationalperformance to be lower than the significance of principals' occupational role. Thirdly, teachers had pessimistic view on current principal appointing system and principal qualification certificate system. Teachers expressed that current principal appointing system is unfit for picking out excellent principals. Teachers also expressed length of current principal qualification certificate program offered and its content are inadequate in raising excellent principals. Lastly, although teachers surveyed expressed pessimistic view on current principal appointing system and principal qualification certificate system, they did not feel much need for new principal training system: their need for introduction of new principal training system scored little above average (M=3.54). Teachers hoped for new principal training program with improvements, such as, longer training hours and reorganized program cont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장의 전문성 = 5 B. 현행 교장의 임용과 양성 = 12 C. 외국의 교장 임용과 양성 = 30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측정 도구 = 39 C. 자료의 처리 = 42 Ⅳ. 연구결과 = 43 A. 교장의 직무영역의 중요도 및 실행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43 B. 현행 교장임용제도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 74 C. 교장 양성제도 도입에 대한 의견 = 81 Ⅴ. 결론 = 91 A. 요약 및 결론 = 91 B. 논의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8 부록 = 102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21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71-
dc.title교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장 양성제도 도입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PERCEPTION ON INTRODUCTION OF PRINCIPAL TRAINING SYSTEM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dc.creator.othernameYou, Emily Eunjoo-
dc.format.pageⅸ,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