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 연구

Title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Authors
전고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fter the review on the research history,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instruction model to be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Therefore, in advance of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development, chapter Ⅱ looks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tudies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reading and literature education. Chapter Ⅱ also looks at how reading course and literature reading course are understood in reading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brings out their common factor to build it as the first basi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The second basis is drawn from the constructive reading education and transactional theory, which are reading and literature education of these days. It seeks for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reading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argue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referring to vernacular education curriculum in foreign countries. Chapter Ⅲ describes how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is performed in schools. The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textbooks for advanced elective reading and literature courses are review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is examined through analysis on reading and literature part of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2007. Chapter Ⅳ finally develops a instruction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models are describe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Then, 'response-based approaches', 'process-centered reading', 'reading discussion study', and 'classroom discourse' are introduced. These are the strategies that are used in instruction model for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 development, which i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This is followed by an introduction of new instruction model development along with a case presentation using a unit fro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inally, based on an analysis on the prospect of new instruction model application, the study sums up by inquiring the limita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literature.;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따로 지도되고 있는 읽기와 문학 영역의 통합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연구사를 검토한 결과 중·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읽기와 문학 통합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에 앞서 Ⅱ장에서는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배경이 되는 이론들을 살펴보고,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효과를 읽기 교육과 문학 교육의 관계 속에서 알아보았다. 읽기 교육 이론과 문학 교육 이론에서 읽기의 과정과 문학 읽기의 과정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공통점을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첫 번째 근거로 삼았다. 또 최근의 읽기 교육 방법론과 문학 교육 방법론인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과 상호교통 이론을 바탕으로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두 번째 근거를 찾았다. 그리고 읽기 교육과 문학 교육의 관계 속에서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효과를 찾고,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통해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Ⅲ장에서는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이 학교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각 학교급 국어과 교과서 편재의 특징에 따라 중학교 「국어」교과서와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그리고 심화 선택 과목인 독서 과목과 문학 과목의 교과서를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과 문학 영역의 분석을 통해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Ⅳ장에서 본격적으로 읽기와 문학 통합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우선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피기 위해 교수·학습 모형의 구성 요소를 알아보고,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사용되는 전략인 반응 중심 접근법과 과정 중심 읽기, 그리고 토의 학습과 대화 전략을 소개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국어과 교과서의 한 단원을 선정하여 실제 적용의 예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 적용의 예상 결과를 분석하고, 읽기와 문학 통합 교육의 한계와 유의점에 대해 고찰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