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영실-
dc.creator허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2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2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문장성분 호응 관계 지도를 통하여 고등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어 교과의 성격과 목표를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신장으로 정하고 이를 위하여 기능, 지식, 방법, 내용, 문화 등의 다양한 관점들이 발전 지향적인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연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국어과 교육이 단순히 내용적 지식을 습득하거나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 실제 국어 사용에 기여하여 언어 문화를 조절하고 창조하는 능력 신장에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국어 교과의 목표가 지식의 습득을 통한 실제적 사용에 있다고 한다면 문법 교육의 목표 역시 이에 부응하여야 한다. 문법 영역은 국어 교과의 다른 영역 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문장성분은 문장을 이루는 기본 단위이고 문장 성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의미와 형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한 문법 지식이다. 이러한 문장 성분들은 호응을 이루느냐 이루지 못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정문(正文)과 비문(非文)이 가려지게 되는데 따라서 바른 문장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문장 성분 호응에 대한 문법 지식이 꼭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장성분 호응 관계 지도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현재 문장성분 호응에 대한 학습은 8학년 생활국어와 10학년 국어 과목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8학년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내용이 몇몇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에 대한 것뿐이므로 본고에서는 10학년을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10학년은 국민공통 기본 과정의 마지막 단계이므로 10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보다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우선 10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장오류 실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을 통하여 문장성분 호응 지식 정도를 살펴보았다. 문장성분 호응은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연결어미의 호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0학년 학습자에게 필요한 학습 내용은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에서는 높임 호응, 사동·피동 호응, 의미상 호응이었고,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에서는 수식어구의 나열에 의한 호응, 관형사형 어미에 의한 호응이었다. 또한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에서는 부정표현 호응 부사어에 의한 호응, 의미상 호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결어미에 의한 호응에서는 연결어미의 사용에 의한 호응, 문장과 문장 간의 호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상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교육과정 상 학년 간 위계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타 영역과의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기초 개념에 대한 학습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 맥락을 고려하여 예문을 풍부하게 제시하여야 한다는 점,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10학년 학습자에게 필요한 문장성분 호응의 학습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 상의 개선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by teaching desirable sequ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In 7th curriculum, the goal of Korean subject is to improve the creative ability of Korean learning. In addition, curriculum emphasizes that we have to connect the various views among function, knowledge, method, content and culture to contribute to the Korean culture creation. This means Korean teaching is not only understanding knowledge but also contributing to the practical using of Korean. This contribution leads the ability of controlling language culture. Therefore, the teaching of Korean grammar should answer the purpose. Grammar is the primary and basic part, especially in the lesson of writing section. Sentence constituent is the standard unit and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sentence meaning and form can be various according to how to use it. Sequence among the sentence constituents decides the grammaticality of the senten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peak correct sentences This thesis refers to an analysis of the actual teaching condition and a remedy of the problem. Students can learn the sequ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through Practical Korean subject in 8th grade and Korean subject in 10th grade. However, this study is for the 10th grade students. First, this article says the error analysis of 10th grade and survey their knowledge of constituent sequence by searching. There are three parts in constituent sequence - subject and predicate, modifier and modificand, adverb and predicate, the ending of a wor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ecessary learning for the 10th grade is to study the honorific, activeness and passivity, sequence of the context in the part of subject and predicate.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a pre-noun sequence and the modifier arrangement in the part of modifier and modificand. We have to consider the negative adverb sequence and the context sequence. In reference to the curriculum, textbook and problems of teaching method, teaching order among grades and integration among other parts should be considered. Also, we should teach the basic concept, give abundant examples to the students and develop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improve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 method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learning contents in 10th grade stud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4 C. 연구방법 = 9 Ⅱ. 문장성분 호응 지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2 A. 문장성분 호응 지도의 이론적 배경 = 12 1. 문장능력과 문장성분 호응 지도 = 12 2. 문법적 호응의 개념 = 14 3. 의미적 호응의 개념 = 20 B. 문장성분 호응 지도의 교육적 접근 = 24 1.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 25 2.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 26 3.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 27 4. 연결어미에 의한 호응 = 28 Ⅲ. 문장성분 호응 지도 실태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9 A. 고등 학생들의 문장성분 호응 의식 실태 = 29 1. 문장 오류 실태 = 29 2. 문장성분 호응에 대한 지식 실태 = 39 B. 문장성분 호응 지도의 문제점 = 54 1. 문장성분 호응 교육 현황 = 54 2. 교육과정과 교과서 = 58 3. 교수학습 방법 = 68 Ⅳ. 문장성분 호응 지도의 개선 방안 = 74 A. 교육과정 = 74 B. 교과서 = 76 C. 지도의 실제 = 77 Ⅴ. 결론 = 79 참고문헌 = 81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27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문장성분 호응 지도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ntential constituents concord teaching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dc.creator.othernameHur, Young Sil-
dc.format.pageⅸ,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