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경-
dc.creator이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15-
dc.description.abstract매체에 익숙한 신세대들에게 인쇄매체만으로 이루어는 학교수업은 학생들의 현실과 학교사이의 거리를 더욱 멀어지게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매체에 대한 교육이 매체에 대한 접근을 막는 것만으로는 적당한 대안이 되지 못하며, 매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절실한 현실이다. 여러 매체 중 애니메이션은 학생들이 어렸을 때부터 가장 쉽게 접하는 것 중 하나로, 여러 명작을 애니메이션으로 먼저 감상하게 하며, 어른들도 함께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매체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자 중심의 교육관과 총체적 언어교육관과, 열린교재관 등의 입장에서 국어 교과에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국어교과의 학업 성취도와 교과에 어떤 인식 변화를 일으키는가,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연구 분석해 보았다. 우선 Ⅰ장에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 방법이 필요한 이유와 연구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작품 선정의 기준을 밝히고 실험할 작품으로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한 애니메이션은 KBS 방송국에서 진행한 'TV 동화행복한 세상'에 방영된 작품으로 학생들 수준과 교과내용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13편의 작품을 수업에 활용하였다. Ⅱ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학습자 중심 이론, 총체적 언어교육관, 문학교육에서의 문화 수용의 문제를 고찰하고,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방안으로, 문화체험 확장 모형, 대중 문화의 주체적 수용 모형, 인쇄 텍스트와의 병행 활용모형으로 정리하여 수업 모형에 대한 정리를 하였다. Ⅲ장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제 교수 학습 활동을 다루면서 학생들의 반응과 작품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한 비교 집단의 국어과 학업에 대한 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어교과에 대한 인식변화의 정도,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변화 등에 대한설문 조사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을 실시한 결과,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학업성취도와 국어과 학습태도 및 대중매체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며, 따라서 교사들은 현장에서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다른 매체를 활용한 수업자료개발이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국어과 교육과정에 '보기'과정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매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It is unrealistic to teach new generation who are accustomed to mobile images like cartoon, television, and the 3rd generation handheld phone through the printed media only. In fac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education system using image media in order to induce interest from students and to invest enormous amount of money in short period. Fortunately, there is a movement to follow up the change of social life environments through, so called the 7th education procedure. The animation is chosen among the mass media because it is in contact and naturally absorbed in our life and interested in from child to old. It is investigated for the Korean education using animation to stimulate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to change recognition for the text understandings and the mass media in the viewpoints of customer-oriented education, global language education, open teaching stuffs. First, it is suggested in chapter I that the necessity of education using animation, research purpose, and investigation methodologies. The work selection criteria is clarified in the investigation methodologies, and the animation contents entitled ' the happy world', broadcasted by the KBS (Korea Broadcasting System), is used in this study, of which 13 subtitles are used considering the students' education level and contents of the textbook. In chapter Ⅱ, the 7th education procedure and customer-oriented education theory, global language education, the problems of culture acceptance in literature education are described, and then analysis models like culture experience extension model, subjective acceptance of popular culture model, parallel application with printed text model are summarized. In chapter Ⅲ, the practice conducted using animation is described. And in situ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the response of students and work stuffs are described in detail.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learning achievement are analyzed for the two groups, one for test experiment using teaching method with animation and the other for the convention4 teaching method. The results of question surve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 and recognition change for the mass media are analyzed.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education method using image animation as an auxiliary tool is superio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ools for the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for the Korean education and for mass media.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develop and use the image teaching stuffs in the class, which is systematic and useful for the new genera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the 'sample' procedure for students to attend a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대상 = 3 Ⅱ.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애니메이션 활용의 의미 = 6 A. 학습자 중심 교육과 애니메이션 활용 실태 = 6 1. 학습자 중심 교육 = 11 2.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이해 = 12 3. 총체적 언어교육관 = 16 B. 문학교육과 애니메이션 활용의 의미 = 21 1. 문학교육의 의미 확장 = 21 2. 애니메이션 활용의 의의 = 27 C.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 방안 = 30 1. 문화체험 확장 모형 = 30 2. 대중문화의 주체적 수용 모형 = 30 3. 인쇄 텍스트와의 병행 활용 모형 = 31 Ⅲ.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방안의 연구 = 33 A. 'TV 동화 행복한 세상'을 활용한 수업의 실제 = 33 1. 'TV 동화 행복한 세상'의 성격 = 33 2. 'TV 동화 행복한 세상'에 나타난 코드 읽기 = 42 3. 'TV 동화 행복한 세상'의 교재 선정 이유 = 47 B. 'TV 동화 행복한 세상'을 활용한 수업의 실제 = 54 1. 문화 체험 확대 모형 수업 = 57 2. 대중 문화의 주체적 수용 모형 수업 = 64 3. 인쇄 텍스트와의 병행 활용 수업 = 66 Ⅳ. 'TV 동화 행복한 세상'의 학업 참여도 양상 = 71 A. 'TV 동화 행복한 세상' 활용 수업 결과와 국어교과에 대한 인식변화 = 71 B.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 변화 = 78 Ⅴ. 결론 = 81 참고문헌 = 83 부록 = 85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244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애니메이션-
dc.subject국어과-
dc.subject수업-
dc.subject국어교육-
dc.title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Animation Applic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c.format.pagevi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