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uthors
안현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교사학교장지도성 유형직무만족도교육행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아래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을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배경변인을 성, 연령, 직급, 학력, 경력, 학교규모, 학교 급별로 나누었고,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의 하위요인을 인화지향적, 목표지향적, 관료지향적 지도성 유형으로 두었고,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을 교직관, 행정적지원, 교육과정운영, 인간관계, 인사관계, 유인체제, 사회관계로 나누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보았다. 1.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은 어떠한가? 2.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의 초등·중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16개 학교에서 32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질문지는 노종희의 PLSQ와 김창걸의 직무만족도 측정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자료를 먼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본 다음에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 방법과 적률상관관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인 교사의 성별, 직급별, 경력별에 따라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에는 집단간 지각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교사의 모든 배경변인에 따라서 목표지향적 지도성 유형은 집단간 지각의 정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교사의 연령별, 학력별, 학교규모별,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인화지향적 지도성 유형 내지는 과업지향적 지도성을 또는 이 두 지도성을 지각하는 정도에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은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행정적 지원은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경력별, 학교규모별, 학교급별에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은 직급별, 학력별, 학교급별에 따라서, 인간관계는 경력별, 학교규모별, 학교급별에 따라서, 유인체제와 사회관계는 학교규모에 따라서, 교직관은 성별에 따라서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여기서는 학교급별에 따라서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모두가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교사의 배경변인과 나머지 하위요인들과는 집단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의 하위요인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과는 인화지향적 지도성 유형과 교직관, 관료지향적 지도성과 교육과정운영에서 P=0.05 수준에서 무의미한 상관으로 나왔지만 나머지 지도성 유형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는 모두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특이한 점은 관료지향적 지도성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들과의 상관은 대부분이 부상관이 나온것으로 보아서 관료지향적 지도성을 가진 학교장과 같이 근무하는 교사들은 학교장이 관료지향성이 높아질수록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지도성유형의 하위요인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에 모두 상관이 있다는 가설은 부정되었지만, 많은 부분에서 이 두 변수들은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의미가있고, 차이있는 상관들을 가지고 있어서 학교장이 그들의 지도성 유형을 상황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변경하여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I. Object The thesis subject to present effectiv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that can raise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proposition is principal's behavior can e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teachers.. To show this, taking a census the principal's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s and teachers satisfaction. II. Content This thesis devided teacher's specific object as sex, age, position class, scholarly attainments, career, size of school, school level, and the subvariables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devided by teacher oriented, goal oriented, bureaucratic oriented leadership type and the subvariabl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devided by recognition, school facilities and curriculum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 personnel administration, compensation amount and community relations. So taking a census of belows. 1. How does th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2. How does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3. How dose the correla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 and teacher's job satisfation? 4. How dose the correla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s and teacher's job satisfation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III. Method This study distribute the questionnares in 16 schools 320 members targeted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use the No Jong Hie's PLSQ and Kim Chang Guls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questionnares. Taking statistics the data of above, investigat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Using one way analysis varianc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SAS programe to recognize the correla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and teacher's job satisfation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IV. Result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by be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of group's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that is teacher's sex, position class, carrer, and there are no differences of goal oriented leadership behavior according to teacher's every specific objects. While, there are differences of perceptions of teacher oriented, goel oriented or bath of these according to teacher's age, scholarly attainments, size of school, school level Second, there are group differenc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sub valuables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that school facilities and services which is teacher's job satinfaction's subvaluables are according to sex, age, scholary attainment, career, size of school, 학교급별, carriculum management are according to position class, scholarly attainment, school level, interpersonal relation is according to career, size of school, school level, compersation and social relation are according to size of school, recognition is according to sex, there are group differences, especially here, erery job satisfaction's sub valuables here group dis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While there are no differences of teacher's specific object and other subvaluables. Third,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percepted by teachers subvaluable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ubvaluable have meaningless relation in teacher oriented, recognition, bureaucratic oriented leadership, curriculum management in the level P=0.1, but other leadership type subvaluables job satisfaction subvaluables have significance relation. Forth, bureaucratic oriented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subvaluable's correlation have almost no relation, so teachers who work with principal having bureaucratic oriented leadership have less and less job satisfaction as principal has more and more bereaucratic oriented. And the propostion that is leadership behavior subvaluable have relation are denied, but, many parts, these two valuables have meanings and different relations according to teacher's specific object, so this makes possible to predict that principal can contribute to raise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changing his leadership behavior according to con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