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금숙-
dc.creator박금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4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학교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현행 미술 교과서는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며, 자기주도적인 미술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현행 미술 교육과 미술교과서가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을 위한 미술교수-학습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이에 따른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현행 미술 교육에 대한 실태 분석에서 보여지는 바는 아직도 한국 미술 교육은 교사 주도적 미술교육과 자유방임적 미술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점으로, 이는 모두 아동의 미적 능력을 올바르게 길러주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교사주도적 미술교육과 자유방임적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인 미술교육의 방향으로, 아동의 자발적 표현과 미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을 위한 미술 교수-학습전략을 구안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미술수업에 시험적 적용을 해보는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을 위한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의 조건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근거하여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의 대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행 미술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미술 교과서가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현장관찰과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와 영국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미술 교과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자, 자기주도적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한 미술 교수-학습자료의 조건을 탐색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을 위한 전체적인 관점과 통합적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자기주도적 미술 교수-학습 전략을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미술 작품과 수업자료들과 수업중 이루어진 교수-학습 과정과 상호작용 내용을 토대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한 미술교과서 대안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 대안 모형이 원래 목적에 비추어 타당하고 적절한 것인지 평가하기 위해, 소규모 집단에 개발된 전략 및 미술 교과서 대안 모형을 시험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와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산출된 작품을 감식안 평가모형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자기주도적 미술수업에서 아동들의 자기주도적 행동은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그러한 행동들이 아동들의 미술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관찰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 증진을 위한 새로운 미술 교과서의 대안 모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목표설정에 아동의 참여가 부족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영상매체 정보 및 다양한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능동적 자발성의 원리와 관련하여, 새 교과서는 작업 계획과 목표 설정에 아동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사진이 제시되어야 하며, 목적이 분명한 프로젝트와 아동들의 내적 동기를 촉진 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현행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집단제작 활동이 부족하고 공동목적을 위한 작업과정과 미술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협동적 상호작용의 원리와 관련하여, 새 교과서는 공동목적을 위해 학습자 상호간에 도움을 제공하는 내용과 집단 제작 활동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미술가의 결과물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활용되는지 탐색할 수 있는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현행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환경 속에서 관찰하고 체험하는 내용과 환경을 변화하는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교과서는 체험적 활동성의 원리와 관련하여 주변의 자연적이고 인공적인 여러 사물을 응용하여 환경을 변화시키는 체험활동과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연합조형놀이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현행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문제 중심 학습 과제가 부족하고 장르를 연계하는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교과서는 창의적 문제해결의 원리와 관련하여, 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길러줄 수 있는 인지갈등 요소와 문제중심의 학습과제가 제시되어야 하며, 장르를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하는 작업과정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행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타 교과와의 연계가 부족하고,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이해를 통합하도록 촉진하는 안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성의 원리와 관련하여, 새 교과서는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이해를 통합 할 수 있도록 주제를 다양한 양식과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재 탐사하고 순환적으로 전개되도록 조직되어야 한다. 여섯째, 현행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미술작품을 해석하고 미적 사고력을 증진 시키기 위한 탐구과정과 질문이 부족하고, 자신의 활동에 대한 통찰을 근거로 활동 할 수 있는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 탐구의 원리와 관련하여, 새 교과서는 탐구과정을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이 제시되어야 하며, 처음과 결과물을 비교하는 내용과 설계도와 중간 결과물을 제시하여야 한다. 또한, 작품을 제시할 때는 아동의 미적 사고력을 증진 시키기 위해 아동들이 배우게 될 미학적 개념은 무엇이고 획득하게 될 미술능력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작품을 보고 토론할 내용, 관점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설계과정에서 자기주도성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정시점에 맞추어 일회적으로 개편되는 현행 교과서의 개발제도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또한, 평가 체제에 있어서도 평가 결과를 이용할 의사결정자가 평가의 계획과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평가 결과를 이용할 의사결정자가 평가의 계획과 과정에서 제외되는 현행 국정 교과서 제도는 '실질적인 사용 당사자의 이해방식'이 고려되지 않는 제도로서, 결과적으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체제를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현행 국정 교과서 체제는 검인정 체제나 혼합체제로 전환되어, '실질적인 사용 당사자'의 참여와 평가에 의해 교과서가 존립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lternatives to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ssues related to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alt with. 1. What are the problems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confronts? 2. What are the ar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3. How should the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be compiled for self-direct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o overcome problems of both traditional teacher-directed and non- interferential art educations, som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children' s autonomous expressions and aesthetic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were conceived. And through a process of experimentally applying them to elementary school art lessons, alternative models of art textbook to promote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presented. At first, precedent field studies were analyzed to see the actual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of the present art education and problems related to art textbook. Also the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of Korea and that of England were compared with and analyzed in the aspect of promoting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these analyses, preconditions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were groped on the ground of self- directed teaching/learning principle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In what concrete ways the 7th art textbook should be compiled? - and the overall perspective and integrated directions for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were provid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os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elementary school art lessons, alternative models of art textbook based on self -directed teaching/learning principles were explored. And then to evaluate the validity, effects and appropriateness of these alternative models in terms of its original aim, developed strategies an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were experimentally used. And the results of exploring alternative new models of art textbo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active autonomy, new art textbooks should present photos that can induce children's participation and projects with clear targets for children to voluntarily set up their own problems and seek answers to them. Second,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cooperative interaction, new art textbooks should provide contents that help learners' interaction and group activities for common purposes and understanding of the social utility of artistic products. Third,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experiential activity, new art textbooks should present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can apply the natural or artificial things around us to learning and change environment together with associative formational plays for visual and tangible experiences. Fourth,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new art textbooks should provide factors causing perceptional conflicts to cultivate children's sensitivity to problems and tasks for problem-solving. Fifth,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new art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in a way that children integrate their understanding, by themselves, explore themes through repeat approaches to various modes and forms and make expressions in a circular way. Sixth,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statistical exploration, new art textbooks should present questions that can lead children to think about the process of exploration, tools to compare raw materials and products of artistic creation, design drawing processes, and intermediate results. Also in the presentation of artistic works, concept of aesthetic learning should be exactly and clearly defined to promote children's aesthetic thinking ability, kinds of artistic ability to be acquired should be set up, and issues and perspectives for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Ⅱ.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 개발의 이론적 배경 = 5 A. 자기주도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 = 5 B. 미술교육 실태와 교과서 개선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 18 C. 한국과 영국의 초등 미술 교과서 비교 분석 = 20 Ⅲ. 미술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 전략 설계 및 교과서 개발 = 34 A. 미술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 전략의 필요성 및 목적 = 34 B. 초등 미술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 전략 설계 = 36 C. 자기주도적 초등 미술 교과서 대안 모형 개발 = 50 Ⅳ. 자기주도적 미술 교과서 대안 모형의 시험적 적용 = 67 A. 연구방법 = 67 B. 연구 결과 및 해석 = 75 Ⅴ. 결론 및 제언 = 91 A. 요약 및 결론 = 91 B. 한계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7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68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기주도학습-
dc.subject학습력 증진-
dc.subject초등 미술 교과서-
dc.subject교육행정-
dc.title자기주도적 학습력 증진을 위한 초등 미술 교과서 대안 모형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loration of Alternative Models of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c.format.pagevii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