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국어교과서 소설작품의 주제와 가치관 연구

Title
국어교과서 소설작품의 주제와 가치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ubject and sense of value in the novel : focused on the revised 6th korean language course for high school
Authors
강남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국어교과서소설작품주제가치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의 심각한 문제는 가치관의 혼란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우리 사회의 가치관문제에 관심을 갖고, 본 연구는 제6차 개정된 고교 국어교과의 소설작품의 주제에 드러나는 가치관의 표출양상을 밝혀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당면하고 있는 기본적인 문제인 인간, 자연, 인생, 시간, 사회를 보는 가치관을 기준으로 소설주제의 가치관 표출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교육의 전과정이 결코 가치관과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의 문학교육이 간접적인 가치관 교육을 한다는 전제아래 문학과 가치관, 문학교육과 가치관의 관련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소설과 가치관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현행 제6차 개정된 국어교과의 소설작품의 주제를 여러 선행 연구자료를 살펴 이끌어내었다. 그 주제에 드러난 가치관의 표출양상을 연구방법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작품별로 논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개정된 국어교과의 소설작품들은 주제에서 정신과 물질지향적인 가치관 양상을 모두 보여주는데 대다수 작품이 주로 정신적인 가치관을 지향한다. 이는 여전히 우리사회가 지향하고 기대하는 가치관이 정신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짐작하게 한다. 둘째, 교과서 내 거의 모든 소설이 주제에서 개인과 사회지향 가치관과 무관할 수 없다고 보는데, 대체로 개인지향의 가치관이 보다 우세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현대 단편소설이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본다. 현대 장편, 대하소설은 그 특성상 개인, 민족, 사회를 아우르는 가치지향을 총체적으로 보여준다 할 수 있고, 고전소설은 주로 사회지향적인 가치관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연과 인간지향의 가치관이 한 작품에서 두루 비치기도 하지만, 교과서에 실려있는 다수의 작품이 주로 자연을 지향하는 가치관 양상을 보인다. 인간은 자연에 친화, 조화, 순응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인간 본위를 지향하는 가치관은 현실을 바탕으로 고난극복, 모순개혁의 의지측면을 부각시키는데, 자연지향의 가치관에 비해 열세라 할 수 있다. 넷째, 시간관은 과거, 현재, 미래지향이 고루 비중있게 보여진다고 할 수 있으나, 미래, 과거, 현재지향의 순서를 보여준다. 이는 오늘날 우리사회가 현대의 물질, 쾌락, 개인 중심의 현실속에서도 이보다는 과거의 전통문화나 정신적 가치에 더 의미를 부여하고, 궁극적으로는 보다 더 발전된 미래를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본다. 이상으로 우리 사회가 국어교과의 소설교육을 통해 물질보다는 정신, 사회보다는 개인, 인간우위보다는 자연, 현재·과거보다는 미래를 지향하는 가치관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았다. 소설은 문학양식의 예술적 특성에 의해 즐겁게 감상하도록 하며 감동적으로 인간 삶의 진실을 느끼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가운데 사회가 기대하고 지향하는 가치관은 자연스럽게 더불어 내면화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이때 내면화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치관교육은 사회가 지향하는 타당한 가치관의 신중한 선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가 기대하고 지향하는 소설을 통한 가치관 제시는 소설의 문학적 특성(예술의 즐거움)과 개인과 사회에 유용한 교육적 특성에 맞게 이루어지되, 그 사회가 인생, 자연, 인간, 사회, 시간 등을 바라보는 바람직한 방향성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It is considered that the serous problems of modern society come from the confusion of one's sense of value. Therefore,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aspects of expressing one's sense of value represented in the subjects of novels in the revised high school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Also, it is attempted to observe the aspects of expressing the sense of value in the subjects of the novels with the standard of viewing human beings, nature, life, time and society, which any society of any time faces as a basic problem. In this study, it is proven that the whole course of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one's sense of value. Also, under the premise that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does indirect value education,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ense of value, also, literature education and sense of value, Especially, I took a closer look at the problems of novels and sense of value. After this, I took out the subjects of novels in the 6th revised Korean textbooks by examining various precedent study materials. As a result, I've co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novels in the reviled Korean textbook show the aspects of both mental and material sense of value in the subjects, but most of the works mainly pursue mental sense of value. This suggests that the sense of value our society pursues think more highly of spirit. Second, almost all novels in the text are connected with the sense of value which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pursue, but mostly the sense of value pursued by individuals takes more proportion. Expecially, this trend is obvious in modern short novels. It can be said that modern long, large novels show the overall value orientation by individuals, nation, and society, and classic novels mainly presents the society-oriented sense of value. Third, nature and human-oriented sense of value is sometimes shown in one piece of work, but many works in the textbook show the aspects of pursing mainly nature. Human beings are revealed as friendship, harmony, and adaptation to nature. Human-based sense of value emphasizes overcoming difficulties and revolutionizing absurdity, but it is inferior in strength to nature-oriented sense of value. Fourth, the sense of time is considered to show the past, present and future equally, but the order of the future, past, and present orientation is presented. This means they put more value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mental value on the traditional culture or mental value of past than material, joy, and individual-centered reality, and eventually pursue the more developed future. It is observed that we pursue spirit rather than human beings and the future than human beings and the future than the present and past through nove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ovels should be pleasantly appreciated by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styles, and they should make us feel the truth of human life. And society can internalize its orienting sense of value naturally with me. Value education done through internalization should be conditioned by careful choice of proper sense of value pursued by society. Suggesting sense of value through novels expected and pursued by society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ovels(the joy of art), and educational goals useful to individuals and society. and also purse the desirable direction of society to view life, human beings, society, and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