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보영-
dc.creator이보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9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 가족생활 단원 교육목표가 학습자에게 어느 정도 중요시되며, 어느 정도 성취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그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가족생활 교육에서 어떤 측면의 교육적 보완이 요구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족생활 교육목표는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지각되는가? 2. 가족생활 교육목표는 어느 정도 성취되었다고 지각되는가? 3. 가족생활 교육목표의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차이는 어느 정도인가? 본 연구는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가족생활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으로 가족생활 교육을 이수한 서울시내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218명을 표집하여 실시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생활 교육목표에 대해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내용역역별로는 '가족발달과 가족관계' 단원을 '가족의 본질' 단원보다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행동영역별로는 정의적 영역을 지적영역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가장 중요시되는 영역은 '가족의 정의'의 정의적 영역이었고, 가장 낮은 순위의 중요도를 보인 영역은 '가족생활의 변천'의 지적영역이었다. 2. 가족생활 교육목표의 성위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을 나타내었다. 내용영역별로는 '가족의 발달과 가족관계' 단원이 '가족의 본질' 단원보다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 행동영역별 성취도는 지적영역의 목표가 정의적 영역의 목표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순위의 성취도를 보인 목표영역은 '가족의 정의'의 정의적 영역이었고, 가장 낮은 순위의 성취도를 보인 영역은 '가족복지'의 지적영역이었다. 3. 전반적으로 가족생활 교육목표의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남으로써,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격차는 모두 통계상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내용영역에서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격차는 '가족발달과 가족관계' 단원이 '가족의 본질' 단원보다 크게 나타났다. 행동영역에서의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격차는 정의적 영역의 목표가 지적영역에서보다 컸다. 전체적으로 가장 큰 격차를 보인 목표역역은 '가족관련 법규'의 지적영역에서였고, 가장 작은 격차를 보인 영역은 '가족의 형태'의 지적영역이었다.;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gh school girls' perceptions about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on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and providing the referential data for the setting-up of the objectives on family life education. The problem in study were as follows; 1. Degree of importance on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2. Degree of achievement on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3. Analysing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on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Ⅱ. Methods Opinions of 218 female sophomores from four(4) high school in seoul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aires. Ⅲ. Results Major findings o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enerally,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were perceived to be 'important'. In content area of the objectives, 'family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unit was perceiv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nature of family' unit. In behavioral area of the objectives, affective domain was perceived to be more important than cognitive domain. Entirely, the objective which was perceived to be most important was in affective domain of 'the definition of family'. The objective which was perceived to be least important was in cognitive domain of 'the change of family life'. 2. Generally,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were perceived to have been achieved in normal level. In content area of the objectives, 'family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was less achieved than 'the nature of family'. In behavioral area of the objectives, cognitive domain was less achieved than affect i ye domain. Entirely, the objective which had achieved in the highest level was in the affective domain of 'the definition of family'. The objective which had achieved in the lowest was in the cognitive domain of 'family welfare'. 3. Generally,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on the objectives of family life education. The other words, the achievement value showed even lower level than the importance value. In content area of the objectives,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was larger in 'family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unit than in 'the nature of family' unit. In behavior area of the objectives,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was larger in affective domain than in cognitive domain. Entirely, the objective which had the largest gap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was in cognitive domain of 'the law of family'. The objectives which had the smallest gap between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achievement value was in cognitive domain of 'the type of fam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취지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과정의 목표설정 = 4 B. 고등학교 가정교과 교육과정 = 1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1 A. 조사도구 = 31 B. 조사대상 = 33 C. 조사방법 = 34 Ⅳ. 결과 및 논의 = 35 A. 가족생활 교육목표의 중요도 분석 = 35 B. 가족생활 교육목표의 성취도 분석 = 42 C. 가족생활 교육목표의 중요도와 성위도간의 차이 분석 = 49 Ⅴ. 요약 및 결론 = 56 참고문헌 = 60 부록 = 64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9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title고등학교 가정교과 가족생활교육 목표에 대한 현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