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텔레비전 심층보도 프로그램의 현실성(reality)과 영상기법

Title
텔레비전 심층보도 프로그램의 현실성(reality)과 영상기법
Other Titles
Reality and Visual Techniques of In-Depth Reporting Program : A text analysis on the MBC
Authors
김신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텔레비전심층보도현실성reality영상기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re is a tendency that many audiences easily believe that a non-fiction program on TV presents an undistorted reflection of the real, but no media text can show 'undistorted and unfeigned representation of the real'. It can just convey a 'constructed reality'. An in-depth reporting program as a non-fiction text also shows a 'constructed reality', but in many cases it is accepted by audiences as a 'real itself' or 'reflective truth of the real'. This contradictive process can be explained by three main elements. First, it is realness of materials. In-depth reporting programs, belongs to a non-fiction genre, deals not with fabricated fictions but with actual events. Secondly, it is high sense of reality obtained by visual medium itself. Television, as a mediation tool, can provide high sense of reality because it uses electronic beam and takes intimate status in everyday life. In third, it is using visual techniques which are conventionalized to express non-fictional fact. Among these elements, specially techniques for the visuals can be varied and manipulated according to producers' intention. In particular, an in-depth reporting program takes a unique status as broadcast journalism, and the goal of the program is to suggest solution as well as to make an issue of social problem. Therefore, the accordance between the goal and the visual technique used in the text need to be examined.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reality constructed and the visual techniques used in an in-depth reporting program, and also their accordance with production goal. The text from MBC are chosen for this study. The theme of these three selected texts are , , respectively. Visual code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are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text analysis indicated that constructed and suggested reality in three different ways. First of all, dramatically showed a constructed reality by using visual techniques which are unsuitable for expressing the objectivity of non-fictional fact. These techniques, generally adapted in a fiction genre, made audience deeply involved in text emotionally. Secondly, constructed a reality by abusing conventionalized visual techniques proper to express objectivity of non-fictional fact. In general these techniques presuppose situational inevitability, in other words, the techniques are put into use in spite of high possibility of image distortion. By using these visual techniques, the text implicated existence of 'uncontrollable urgent spot' or 'concealed truth'. The deliberate use of the visual techniques intensified the sense of reality of text regardless of its actual truthfulness. Thirdly, constructed a reality by showing authoritative and objective images for reporters and experts. They played a role as a text objectifying mechanism, which concealed the fact that text was constructing a reality dramatically. As a result, a constructed reality of didn't correspond to its production goal. Exaggerated sense of reality of hindered the audience from judging the problem objectively. Also text objectifying mechanism produced the illusion of objectivity in audiences' mind.;일반적으로 많은 시청자들은 영상 보도물을 볼 때 그것이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왜곡없이 반영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매체를 통한 보도물은 '존재하는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반영'이 아닌 '구성된 현실'을 전달할 수 밖에 없다. 영상 보도물인 심층 보도프로그램 역시 '구성된 현실성'을 보여줄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그 전달 내용이 '있는 그대로의 현실반영'으로 받아들여지는 원인은 무엇일까? 여기에는 크게 세 가지의 원인이 있는데 첫째, 사실적 장르로서 다루는 소재 자체가 현존하는 실제 사실이라는 점, 둘째, 전달 매체인 텔레비전매체자체의 사실감이 높다는 점, 셋째, 사실성을 강조하는 영상기법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소재와 매체의 사실감이 높다는 것은, 모든 영상 보도물이 필연적으로 가지게 되는 고정 불변의 사실이다. 그러나 영상 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개별 프로그램마다 제작진의 의도에 따라 조작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심층 보도프로그램은 방송에 언론으로서의 전문성을 부여하는 독특한 위상을 가지며, 현실고발과 현실개선의 대안 제시를 제작목표로 삼고있다. 따라서 사용된 영상기법의 특징과 그로 인해 구성되는 현실성의 특성 과연 이러한 프로그램의 성격에 부합되는 것인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심층 보도프로그램의 하나인 MBC-TV의 중 1997년 8월에서 9월 사이 한달간 방영된 3편의 텍스트 <아버지의 친구들 그들은 무죄인가?>, <추악한 범죄 그날이후> <적색경보 여학생 흡연>을 대상으로 하여 영상 코드 분석과 서사체계 분석을 함으로써 심층 보도 프로그램의 현실성과 사용된 영상기법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은 크게 3가지 방식으로 현실성을 구성하고 제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사실성 표현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현실성을 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드라마 등 허구의 장르에서 보는 이를 감정적으로 몰입시킬 때에 사용되는 영상기법을 이용하여 현실성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법은 일반적으로 객관성을 추구하는 사실적 장르, 특히 보도물에서는 사용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극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둘째, 객관적 사실성 표현에 적합하다고 관습적으로 여겨지는 영상기법을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남용하여 사용함으로써 현실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사용된 영상기법은 이미지 왜곡의 가능성은 높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될 수 밖에 없는 필연성을 전제로 한다. '현재 진행되는, 통제 불능의 긴박한 사건 취재'나 '은폐되어진 진실 탐색'의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상기법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영상기법을 상황적인 필연성이 없는 경우에도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실성의 느낌'만을 강조하는 것이 현실성 구성의 두번째 방식이다. 이것은 연출된 것처럼 보이지 않아야 한다는 일종의 강박관념이 작용되어, 특정의 영상기법을 인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곳에 객관적인 제 3자의 입장에서 사건을 관찰하는 카메라의 존재가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셋째, 취재자와 전문인의 영상이 주는 객관적인 느낌을 이용하여 현실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권위적이고 객관적인 이들의 영상은, 텍스트가 전술했던 두가지 방식을 통해 과장되게 표현된 현실성을 제시하며 극적인 현실감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은폐하는 객관화 기제의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제시되는 현실성은, 현실고발과 현실 개선의 가능성 추구라는 본연의 제작목표에 부합되지 않는다. 의 극적으로 제시되는 현실성은 보는 이가 문제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더구나 취재자, 전문인과 같은 객관화 기제를 통해 객관적인 판단이 어렵다는 사실을 잊고, 마치 문제를 가장 객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본 것 같은 착각을 하게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